진흥왕 순수비

(북한산비에서 넘어옴)
대한민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대한민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공식명칭한글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공식명칭한글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한자-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한자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영어Bukhansan Monument영어-
분류번호국보 3호 분류번호국보 33호
소재지대한민국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소재지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번지
분류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분류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시설1기시설1기
지정연도1962년 12월 20일지정연도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신라시대, 561~568년 사이제작시기신라시대, 561년

1 개요

신라 24대 국왕 진흥왕은 신라 역사상 손에 꼽히는 정복군주였는데, 경상북도 전역과 경상남도 동부, 충청북도 남부 정도의 영역에 한정되어 있던 신라 영토를 끝없는 정복전쟁을 통해 확장했다. 그리고 새로 차지한 땅 이곳저곳에 직접 행차하여 구구절절 자신의 업적을 칭송하는 비석을 세웠다.

2 목록

참고로 같은 진흥왕 시기에 세워진 비석인 단양 신라 적성비는 순수비가 아니다. 적성비란 명칭대로 성을 쌓은 다음에, "만일 무너지면 공사한 놈은 디진다"라고 한 축성비이다. 삼국사기 내용을 토대로 545~550년 경 축성한 것으로 추론시 북한산비보다 시기가 먼저이다. 단양 점령 뒤, 북상해 한강 점령

2.1 북한산 순수비

대한민국의 국보
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3호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
파일:Attachment/JHking01.jpg
북한산 비봉 순수비. 대한민국의 국보 3호.[1]
175043_85231_1543.jpg
1972년 진흥왕순수비를 옮기는 작업을 찍은 사진.[2]

한강 하류를 고구려백제에게서 빼앗은 후 555년에 지금의 서울특별시 북한산에 세운 순수비이다. 조선 때는 무학대사의 비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곧 김정희에 의해서 진흥왕 순수비로 알려졌고 김정희는 비석 옆에 글씨를 새겼는데 오늘날 기점으로 보면 엄밀히 문화재 훼손이다(...).

이 비석의 뒷면을 보면 유난히 총탄자국이 많이 있는데 6.25 전쟁 때 총알에 맞은 흔적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흥왕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2.2 창녕 척경비

가야의 일파 세력이 있었던 경상남도 창녕군 지역을 정복하고 561년에 세웠다. 대한민국의 국보 33호. 왕을 수행한 신하들의 명단이 직관, 직위, 소속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창녕객사와 함께 만옥정공원 내에 있다. 주소는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3 황초령 순수비

고구려가 지배하고 있던 함경남도 장진군 지역을 정복하고 568년에 세운 순수비. 북한의 국보 110호. 진흥왕 때 신라함흥평야 일대까지 진출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함경남도 지역은 원산만 북쪽으로, 나중에 삼국통일을 한 뒤에도 다시 차지하지 못했다. 비석은 지금은 함흥시에 있는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되고 있다.

2.4 마운령 순수비

고구려가 지배하고 있던 함경남도 리원군 지역을 정복하고 568년에 세운 순수비. 내용으로 보아 황초령비와 거의 같은 시기에 세워졌다. 북한의 국보 111호. 이것도 현재는 함흥역사박물관에 보관 중.
  1. 단 오늘날 비봉에 있는 비석은 모조품이고 진짜 순수비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지만 저 장소 자체는 사적 228호로 지정되어 있다(진흥왕 순수비 유지). 비봉(碑峯)이라는 봉우리 이름 자체가 진흥왕순수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비봉의 저 장소는 그냥 하이킹한다는 생각으로 올라가면 피본다. 해발 560m 지점이지만 여기 올라가려면 거의 암벽등반을 해야 한다. 다만 저곳에 올라가면 서울 도심과 한강은 물론이고 날씨가 좋은 날에는 멀리 인천 앞바다까지 볼 수 있다. 저런데다 비석세울 생각을 어떻게 했을까
  2.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