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시

(원산에서 넘어옴)

원 뿔러스 원의 캐릭터에 대해서는 원산(원 뿔러스 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강원도(북한)의 시, 군
원산시문천시
철원군평강군김화군창도군
금강군고성군이천군세포군
회양군통천군판교군법동군
고산군안변군천내군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元山市 / Wonsan City

000006.jpg
[1][2]
%BF%F8%BB%EA%BE%DF%B0%E6.jpg
↑ '조선의 오늘'을 통해 공개된 원산의 야경. 물론 언플용으로, 일부러 LED 전등을 붙여 만들어낸 모습이다.
파일:2016-10-30 00.11.44.png
↑원산항의 모습.

원산시
元山市 / Wonsan City
국가북한
면적314.4㎢
광역시도강원도
행정구역45동 14리
시간대UTC+8:30

1 개요

파일:Attachment/Wonsan-si-Map.jpg
원산이 락원이지~[3]

북한 강원도에 위치한 항구도시. 면적은 314.4㎢. 강원도(북한)의 도청 소재지이다.

원래 함경남도에 속했으나 1946년 소련군정에 의해 강원도에 편입된 이후 현재도 강원도(북한) 소속이다.

2 기후와 지형

평양직할시와 비슷한 위도에 있지만 산맥과 바다의 영향으로 기후는 비교적으로 온화한 편이다.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으로 원산만에서는 이류(移流)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안개일수 자체는 적어서 안개가 끼는 날은 1년 평균 9일에 불과하다. 3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항구도시치고는 바람이 약하다.

해안선이 단순한 동해안의 다른 항구도시들과는 달리 원산만은 주변이 갈마반도(사진에서 북쪽으로 나 있는 반도), 호도반도 그리고 여도(麗島), 신도(新島), 웅도(熊島), 황토도(黃土島) 등의 여러 들로 둘러싸여 있어서 조선 때에도 천혜의 항구가 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한편 원산과 평양을 잇는 평원선은 한반도에서 동서 거리가 가장 짧은 철도다.

3 역사

1437년(세종 19년)에 덕원군이 설치되었으며, 8년 후 덕원부로 승격되었다. 조선 후기 상업활동이 이전보다 발전하면서 장이 들어섰고, 덕원의 원산장은 조선의 상업중심지로 떠올랐다. 1880년에 개항했는데 러시아식 명칭은 포트 라자레프(Port Lazarev)로 불리기도 했다. 1910년 경술국치와 함께 원산부로 개칭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개항장 지역만을 원산부로 남기고, 잔여지역(면 지역)을 덕원군으로 분리시켰다. 이 때 안변군 영풍면이 편입되어 풍상면, 풍하면으로 분리 설치되었다. 이후 1942년 덕원군 적전면, 현면을 원산부에 편입하고, 덕원군의 남은 지역인 덕원면, 북성면, 풍상면, 풍하면을 문천군에 편입시킴으로서 덕원군은 폐지되었다.

사실 원산은 천혜의 항구조건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의해 강제 개항하기 전까지는 덕원부 원산'촌'이라는 작은 마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1876년 일본이 강화도 조약으로 원산항을 강제로 개항한 3대 항구 중 하나가 되었으며, 경원선을 부설하고 공업지대를 조성해서 흥남과 함께 일제강점기시절의 대표적인 공업지역이자 항구로 성장했다. 구한말에는 방곡령 사건의 무대이기도 했고 1929년에는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 일어났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사립 학교인 원산 학사가 설립된 곳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한반도가 광복을 맞자 원산은 38선 이북지역이어서 북한의 지배하에 들어갔다가, 한국 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1950년 10~12월 사이 잠시나마 UN군의 세력에 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중공군의 개입으로 인해 다시 전세가 역전되어 북한이 원산을 다시 점령하게 되었고, 이후로도 현재까지 북한의 지배하에 남아있다. 원산은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한국전쟁이 개전하기 전까지는 정유시설을 비롯한 각종 중화학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므로 한국전쟁이 개전된 다음부터 종전될 때까지 지속적인 폭격과 함포사격을 맞는 비극을 맞이하고 만다. 때문에 원산의 구시가지와 대부분의 시설은 사라졌으며, 원산의 철도시설도 완파되었다. 그래서 원산의 철도시설은 전후에 복구 및 이설된 곳이며, 원산역도 외곽으로 이전한 상태다. 자세한 내용은 원산폭격을 참조하기 바란다.

한국전쟁이 휴전된 다음에는 사실상 완전한 공터에서 다시 시가지를 조성하였으나 2011년인 지금까지도 과거의 영화를 완전히 되찾지는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도 현재 인구 36만으로, 남한 강원도 보다 인구가 훨씬 많다. 통일 이후 강원도함경남도와의 분쟁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으나, 만약 남한의 주도 아래 통일이 될 경우,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규정한 이북 5도 체계 하에서 원산시는 엄연히 함경남도 소속 도시이므로 통일 이후 행정구역 개편을 하지 않는 한 원래대로 함경남도로 귀속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저건 환원론의 예시이고, 존치론이 선택되는 순간 원산은 강원도의 도시가 된다. 둘 중 무엇이 선택될지는 아직 모르는 일이다. 환원론과 존치론에 대해서는 이북 5도 항목과 남북통일/행정문제/북강원권을 참고하자. 강원도는 지금의 행정 구역도 험준한 지세 때문에 곤란한 상황이다.[* 하지만, 원산의 경제적, 지리적 이점을 생각하면 함경남도에 넘겨주는 것 보다는 가져가는 것이 강원도 입장에서는 더 이득이다. 현재 강원도가 전략적으로 육성할 도시가 전무하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4 인문

1924년 당시 조사에 따르면 원산 토박이는 40% 정도밖에 되지 않았으며, 외지 출신으로는 함경남도 외에 평안남도, 강원도, 경기도 출신자들이 많았다. 광복 당시 종교상황으로는 개신교 신자들이 많은 편이었다.

최초의 근대 사립 교육기관 중 하나인 원산학사가 세워지기도 했었고, 1903년에는 루씨여학교가 세워져 공산화 전까지 여성교육에 큰 역할을 했다.

5 교통

다른 강원도 도시들과 다르게 원산은 제일 먼저 철도가 뚫리는 등 다른 강원도 도시들보다 교통의 혜택을 먼저 얻었다. 왜냐하면 강릉같은 도시는 해안선이 단조로워서 항구가 발달하기 어려웠고 험준한 태백산맥 동쪽에 위치해서 서울로 이동하는 교통이 불편할 수 밖에 없었지만, 원산은 항구가 발달하기에 알맞은 지형이었고 서울 방면으로 가려면 추가령구조곡을 통과하면 됐기 때문에 강원도 다른 지역들과 다르게 교통이 발달할 수 있었다.

철도는 경원선, 강원선이 통한다. 그리고 강원선평라선과 연결된다.

북한 정권 수립 후 평양과의 사이에 평양원산간 고속도로가 뚫렸다. 평양-원산 구간은 북한에서도 나름 고속버스가 흥했던 구간이기도 하다. 평라선 철도는 화물 물동량 처리하기에도 벅찬데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평양-원산 사이를 2시간만에 주파할 수 있으니까.... 한편 광복 당시의 원산역은 건물만 남긴 채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

현재는 갈마반도에 원산공항이 있으며 이를 3,500m의 활주로를 갖춘 국제공항으로 확장하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이 공항을 안변군으로 이전하려는 모양이다.##

6 관광과 산업

2481187471382086944.jpg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당시까지만 해도 서울이나 평양에서 동해로 놀러 간다고 하면 으레 원산으로 가는 것을 생각했었다. 경원선을 타고 가면 되니까. 원산의 송도원(松濤園) 해수욕장은 분단 전에는 한국 제일의 해수욕장으로 유명했다. 갈마역의 명사십리 해수욕장도 유명하다.

지도를 보면 원산의 송도해수욕장이 중심지인 원산항 일대와 매우 근접하여 있는데, 당시에는 송도라는 이름을 가진 해수욕장들이 흥했으며, 각 지역의 송도해수욕장이 지금도 모두 항구도시 중심가와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원산뿐만이 아니라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포항시에도 송도라는 지명이 남아있는 것이 그 이유다. 물론 셋 모두 도심과 너무 가까워서 심각한 난개발로 인한 수질악화, 매년 쓸려나가는 모래로 인해 현재는 부산을 제외하고 모두 폐장 상태이며, 포항 송도는 모래사장이 아예 사라졌고 인천은 매립 끝에 유원지로 재개발 중인 상황이다. 부산 또한 한동안 폐쇄 상태였다가 최근 들어 재개장 한 것이므로, 분단이 안 되었을 경우 원산의 송도원도 비슷한 운명을 맞이했을 가능성이 높다. 부산광역시의 주 해수욕장이 송도→광안리(또는 수영)→해운대로 바뀐 만큼 여기도 명사십리 해수욕장으로 기능이 옮겨갔을 것이며, 원산의 갈마는 부산의 해운대에 비견되는 관광도시로 명성을 떨쳤을 것이다.

1990년대 북한이 경제난을 겪고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원산은 다른 도시와 달리 한국전쟁 이후 유례없는 호황을 맞이했다. 일본과 가장 가까운 항구이기 때문에 일본산 중고 가전제품, 자전거, 자동차 등이 쏟아져 들어온 것이다. 이 시기 원산의 영화는 고작 중국산 식료품과 잡화류, 잘 해봐야 중국산 자전거나 자동차를 수입하는 정도인 신의주나 다른 국경 연선 도시들과는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2006년에 일본이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한 보복으로 만경봉호니가타항 입항을 불허하면서 불황을 맞이하게 된다. 개인 사업차 원산을 자주 방문했던 한 탈북자유령도시라고까지 표현했다.

그러나 김정은 집권 이래 원산은 "김정은 (계획)도시"로 반전을 꾀하고 있다. 실제로 김정은이 원산을 제2의 평양으로 개발하라고 교시를 내렸다고 한다. 송도원에는 2013년 현재 김정은의 7성급 별장이 있으며, 송도원 청년야외극장과 1960년 김일성이 만들었다는 "송도원 국제소년단 야영소"가 있어 체제선전에 사용되고 있다. # 물론, 특권계급을 위한 곳이다. 데니스 로드먼이 놀러간 그 휘황찬란한 별장이 여기로 추정되었다. # 외국인 호스텔 구역을 지었다.
이처럼 김정은이 원산을 적극 밀어주는 이유는 대체로 김정은 혹은 생모인 고영희가 원산과 깊은 연관을 지니고 있어 일종의 우상화 작업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기사 좀 삐딱하게 바라보자면 일본 물을 먹을대로 먹은 동네를 이런 유령도시 꼴로 냅뒀다간 앞으로 뭔 일이 벌어질지도 모르고....

인근 문천군 덕원면(구 덕원군 덕원면)에는 베네딕토회 수도원[4]과 수도원 소속 가톨릭 신학교(덕원 신학교)가 있었다. 원래 덕원과 원산 일대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에서 관리하는 원산교구에서 분리된 덕원수도원자치교구였다. 분단 이후에는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 인근에 수도원을 재건했으며, 원산에 남아 있는 당시의 건물은 원산농업학교로 쓰이고 있다. 성당은 헐렸지만 신학교 건물들은 개조된 채 남아있다.

1917837671382086855.jpg

조선 최초의 스키장(신풍리 스키장)이 생긴 곳도 여기였다. 1903년 개항 후 핀란드인 두 명이 신풍리에서 스키를 탄 것을 시초로 1926년조선총독부철도국 국우회에 의해 원산 신풍리 스키장이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스키대회 역시 1930년 2월 16일 원산 신풍리 스키장에서 개최된 제1회 전 조선스키선수권대회였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 마식령[5]에 대규모 스키장인 마식령 스키장을 세우고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10만 군중 대회#까지 벌이면서 김정은의 치적으로 삼을 모양이다. 하지만 스위스 정부는 스키장 자재 수출을 금지했다. #

조선에 골프가 처음 들어온 것도 여기. 1900년, 고종 37년 황실의 고문으로 온 영국인들에 의해서였다. 그들은 원산 바닷가의 세관 구내에서 6홀의 코스를 만들어 놓고 골프를 즐겼다. 현재도 송도원엔 골프장이 있다.

명승지 일람

201309090500021_3-650x470.jpg

한편 광복 당시까지는 한반도 유일의 정유시설인 스탠다드 정유공장, 철도차량공장 등이 들어선 공업도시이기도 했다.

7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함경남도의 하위행정구역 (이북5도위원회)
함흥시원산시흥남시
함주군정평군영흥군고원군
문천군안변군홍원군북청군
이원군단천군신흥군장진군
풍산군삼수군갑산군혜산군

광복 당시 88개 동으로 구성되었다. 해방 직후 남한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고 바로 북한 치하에 들어갔기 때문에, 신의주시 등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이북 5도 체계 하에서는 일제강점기 당시의 지명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 춘일동(春日洞) - 시청 소재지
  • 해안로1가~6가동(海岸路一街~六街洞)
  • 욱1~3가동(旭一~三街洞)
  • 수1~2가동(壽一~二街洞)
  • 행동(幸洞)
  • 중1~3가동(仲一~三街洞)
  • 본1~5가동(本一~五街洞)
  • 천1~4가동(泉一~四街洞)
  • 영동(榮洞)
  • 경동(京洞)
  • 명치동(明治洞)
  • 녹동(綠洞)
  • 대화동(大和洞)
  • 명석동(銘石洞)
  • 상동(上洞)
  • 광석동(廣石洞)
  • 산제동(山祭洞)
  • 남촌동(南村洞)
  • 신흥동(新興洞)
  • 북촌동(北村洞)
  • 상리1~2동(上里一~二洞)
  • 남산동(南山洞)
  • 용동(龍洞)
  • 교하동(橋下洞)
  • 중리1~4동(中里一~四洞)
  • 하촌동(下村洞)
  • 장촌동(場村洞)
  • 신촌동(新村洞)
  • 포하동(浦下洞)
  • 와우동(臥牛洞)
  • 송흥동(松興洞)
  • 송하동(松下洞)
  • 신풍동(新豊洞)
  • 두방동(斗方洞)
  • 두산동(斗山洞)
  • 중청동(中淸洞)
  • 당상동(堂上洞)
  • 당중동(堂中洞)
  • 당하동(堂下洞)
  • 무라동(武羅洞)
  • 삼태동(三台洞)
  • 낙수동(洛水洞)
  • 중평동(仲坪洞)
  • 신동(新洞)
  • 송상동(松上洞)
  • 송중동(松中洞)
  • 용계동(龍溪洞)
  • 용주동(湧珠洞)
  • 관풍동(館豊洞)
  • 내원산동(內元山洞)
  • 세동(細洞)
  • 장흥동(長興洞)
  • 견산동(見山洞)
  • 지경동(地境洞)
  • 포평동(浦坪洞)
  • 사둔동(沙屯洞)
  • 춘악동(春岳洞)
  • 춘산동(春山洞)
  • 현동(峴洞)
  • 방하산동(訪霞山洞)
  • 용평동(龍坪洞)
  • 성라동(星羅洞)
  • 성북동(城北洞)
  • 두남동(斗南洞)
  • 여도동(麗島洞)
  • 웅도동(熊島洞)
  • 신도동(薪島洞)

8 기타

소설가 복거일이 대단히 좋아하는 북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일제강점기가 1987년까지 지속된다는 설정의 비명을 찾아서에서는 주인공의 처가가 원산에 있었고, 송도원이나 근처의 금강산, 설악산설봉산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역사 속의 나그네>에서는 주인공이 2050년대 원산에 있는 해군사관학교를 나와 (육군사관학교평양에 있던 것으로 설정) "원산 괭이갈매기"라는 실업야구단의 팬이 되었다는 설정이 있다. 주인공이 조선으로 타임슬립후 위엄을 보일 때마다 쓰는게 괭이갈매기의 빨간 모자.

최인훈회색인의 주인공 독고준도 원산 출신이다.

대한민국 해군의 유일한 기뢰부설함인 원산함(MLS-560)은 이 도시에서 이름을 땄다. 함경남도 원산시민회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9 통일 뒤 전망

원래 원산은 함경남도 소속이었는데 소련군정 치하에서 강원도로 편입되었다. 원산을 강원도에 둘 수도 있겠지만 과거의 색채와 원산이 함경도로써의 역사가 매우 길기 때문에 함경남도로 환원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환원론에 따른 것이다. 혹시 존치론을 택하면 강원도로 그대로 남을 수도 있다. 다만 알 길은 없다. 애초에 남이나 북이나 강원도 자체가 상대적으로 무시당하던 곳이었기 때문에, 강원도로 유지시키면서 강원도를 띄워주는 것도 좋긴 하다. 물론 강원남도와 강원북도가 신설될 가능성도 피할 수 없고, 원산시의 위치나 위상이 발전하면 광역시로 격상될 가능성도 다소 있다. 물론 지금은 아무것도 확정된 것도 없고 따라서 아무것도 모른다.

남북 통일 이후 원산은 항구도시이자 관광도시로서 급격하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서해안인 인천보다는 조수간만의 차가 적고 수심이 깊다는 점에서, 부산보다는 수도권과의 거리가 훨씬 가깝다[6]는 점에서 우위을 지니고 있으므로 큰 항구도시이자 해군 기지로 성장할 듯 하다. 그리고 평안남도수도권의 주민들이 피서지로 이용할 수 있는 해수욕장이 있다는 점에서 관광도시로 성장할 가능성도 크다. 이는 부산과 속초뿐인 피서지 선택권이 넓어질 전망과 아울러 평양과의 접근성 때문에 발전성이 상당히 높은 지역이라는 의미로도 설명 가능하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남북통일서울, 평양, 원산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통일 한국의 대수도권으로 설정하여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교로운 것은 이들 대 수도권 삼각권역 안으로 사리원시개성시가 들어간다는 점이다. 결론은 이 대 수도권 삼각권역 개발에는 이 두 도시도 동시에 개발될 운명이라 엄청난 변혁을 가져올 것.
  1. 출처
  2. 이 도시의 모든 건물들은 다 1953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3. 그런데 이건 좀 은근 많이 써먹던 소재로, 가곡 명태에선 살기 좋다는 원산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4.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남자 수도회.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8대 교구장 귀스타브 샤를 마리 뮈텔 주교의 요청으로, 독일에서 진출해 왔다. 본래 서울 백동(現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자리)에 있었다가 덕원으로 올라갔고, 이후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자리를 잡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분단과 한국전쟁을 겪는 동안 많은 수도자들이 순교했다. 공지영 마리아 작가의 장편소설 <높고 푸른 사다리>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5.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 문천군 덕원면~풍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고개
  6. 서울에서 원산은 동해시보다 가깝다.(서울-원산 직선 180km, 철도 227km < 서울-동해 직선 190km, 도로 265km, 철도 305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