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ener System
Empty System
1814~15년 빈 회의 이후 유럽에 성립된 체제. 메테르니히 체제(Metternichsches System), 유럽협조체제(Concert of Europe), 또는 5두 체제(pentarchy)[1]라고도 한다.
온 유럽을 전쟁의 불바다로 만든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난 원인을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확산으로 보고 구 체제로 되돌아가자는 것이 이 체제의 주요 골자이며 만약 각 국에서 이런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날 경우 유럽 국가들은 이런 운동을 진압해야 할 책임이 있었다. 각 국은 비밀경찰과 언론 검열 등을 펼쳤고 나폴레옹 전쟁 이전의 정부 체제를 복귀시켰다.
그러나 이 체제는 이미 변하고 있는 시대적 배경을 무시하는 조치였다. 이미 유럽 각국에서는 나폴레옹이 퍼트린 프랑스 혁명의 이념들인 자유, 평등, 박애가 깊게 자리잡고 있었다.
곧 유럽 각지에서 빈 체제에 대한 반발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지식인들은 빈 체제가 역사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려는 말도 안되는 시도라고 반발했고 분열되어 있던 독일과 이탈리아에서는 민족주의 열풍이 불었으며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이 일어나 루이 18세의 뒤를 이은 샤를 10세가 폐위되었다.
또한 이 체제에서 중요 역할을 맡았어야 할 영국은 산업 혁명과 해외 식민지 진출에 골몰하느라 관심이 없었으며[2] 러시아도 그다지 협조적이지 않았다. 또한 그리스 독립전쟁에서 영국과 러시아는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빈 체제의 이념을 무시하고 그리스의 독립을 지원했다. 게다가 그리스 독립전쟁으로 유럽에는 다시 열병에 가까운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이 불기 시작했다. 샤를 10세의 뒤를 이은 것은 친 혁명 성향의 루이 필리프였으나 1848년에 프랑스 2월 혁명이 벌어져 프랑스에 공화정이 세워졌고 오스트리아에서도 3월 혁명이 벌어져 메테르니히가 축출되면서 빈 체제는 막을 내렸다. 외교적으로 본다면 오스트리아-프러시아-러시아의 신성 동맹이 붕괴된 크림전쟁(1854년)이 결정타였다.[3]
빈 체제는 보수주의를 기반으로 구 체제 복원을 외쳤지만 빈 체제가 성립되고 무너져내리는 과정을 보면 이 체제의 목적은 상호 견제와 세력 균형이였고 결국 각 국의 이해관계로 인한 협력 체제의 분괴와 내부에서의 반발이 맞물려 무너져 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위와 같은 성격 때문에 빈 체제를 국제기구의 첫 사례로 보기도 한다. 국제공조란 역시 어려운 법이다.
국제정치학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시기이기도 하며 현실주의 외교의 거두이자 빈 체제 연구에 큰 공헌을 한 헨리 키신저는 그의 여러 논문과 저서에서 메테르니히에 대한 빠심을 열렬히 표출하기도 했다(...).
- ↑ 빈 체제를 지탱한 프랑스, 오스트리아, 영국, 러시아, 프로이센의 다섯 강대국을 말함
- ↑ 게다가 영국은 오랜 세월에 걸친 왕권과의 투쟁의 결과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자유로운 사회 환경이 갖춰져 있었으므로 타국에 비해 '탄압'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 ↑ 그러나 오스트리아가 정치체제 상 자유주의, 민족주의 운동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한 빈 체제로 인해 받는 수혜가 가장 큰 나라였기에 발칸 반도에서 이익을 지키겠다고 스스로 빈 체제를 무너트린 것은 장기적으로 보면 어리석은 짓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유럽의 평화 질서가 완전히 붕괴된 제1차 세계대전으로 오스트리아 제국은 붕괴하게 된다.
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