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사로병진 작전/Example.jpg
임진왜란(정유재란기) 조선-명나라 연합군이 일본군에게 펼친 총공세, 성공했다면 조선 주둔 일본군을 끝장 낼 수 있는 작전이었다.
1 배경
1598년 8월 18일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 직후에 5봉행(奉行)과 5대로(大老)는 일본군의 철병을 결정하였다. 이것이 조선에 알려지면서 조·명 연합군은 철병하는 침략군을 추격하는 것으로 전략을 전환하였다.
2 작전 전개
1598년 7월 경략(經略) 형개(邢驚)[1]가 한성으로 당도하면서, 명군은 조선군과 함께 울산왜성에 주둔한 가토 기요마사 군을 공격목표로 한 동로군과, 사천왜성의 시마즈 요시히로 군을 공격목표로 한 중로군, 왜교성의 고니시 유키나가 군을 공격목표로 한 서로군을 편성하여 동시에 남진하였다. 이와 아울러, 진린의 명수군과 이순신의 조선수군을 하나로 묶어서 수로군을 따로 편성한 다음 순천의 왜교성을 함께 공격하도록 하는 작전계획을 수립하였다.
즉, 육상의 삼로군과 수로군을 동시에 병진하게 하여 일본군을 공격한다는 '사로병진작전(四路竝進作戰)'을 세웠다. 9월부터는 일본군의 상호간의 구원전략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면서 남해안 일대의 적군에 대한 공격을 일제히 개시하였다.
그러나 울산성 전투는 승리에 근접했으나 일본군의 원군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실패했고, 사천성 전투 또한 동일원(董一元)의 조급한 작전으로 패퇴하였다.
이 때 서로군의 제독 유정은 8월에 들어와 대군을 거느리고 한성을 출발하여 수원을 경유, 전주로 내려온 다음, 순천 왜교성의 적을 치기로 하였다. 그는 9월 19일 도원수 권율과 전라병사 이병악 등이 이끄는 1만여명의 조선군을 포함, 3만 6,000의 병력으로 왜교성 공격을 서두르고 있었다.수로군은 1598년 7월 16일 고금도에서 명나라의 진린이 이끄는 수군과 합세한 이순신 휘하의 조선 수군이 합세하였다. 그리고 7월 24일 조명연합 함대를 편성하여 흥양의 절이도 해전(折爾島海戰)에서 승리 후, 9월 하순에 이르러 마침내 조-명연합육상군과 연합 전선을 구축함으로써 정유재란의 최후의 총격전을 펼치게 되었다.
그러나 음력 10월 3일 고니시 유키나가의 뇌물에 매수된 유정이 군사를 움직이지 않고 결국 이순신과 진린의 수군만이 단독으로 왜교성을 공격했다(왜교성 전투).이 전투에서 30여 척의 왜선을 격침시키고, 11척을 나포하였으며, 왜군 3,000명을 무찔렀다.(장도해전) 일본에 의하면 약 800명의 조명 수군에게 사상을 입혔으며 조선 기록에 의해 사도 첨사 황세득과 군관 이청일, 휘하의 조선군 130명도 전사했다.뒤이어 펼쳐진 노량해전에서도 소서행장을 구원하기 위해 투입된 시마즈 요시히로의 함대는 전멸했지만, 정작 목표였던 소서행장은 놓쳤고, 여기에 조선측도 이순신 본인이 전사한 것을 포함해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