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파 추리소설

(사회파에서 넘어옴)

일본 추리소설계의 큰 흐름 중 하나. 일본 추리소설계의 흐름을 아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본격 - 사회파 - 신본격&신사회파 미스터리의 순으로 큰 흐름이 변화해왔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 시작

1950년대에 41세의 늦은 나이로 등단한 마쓰모토 세이초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의 일본 추리소설계는 '추리소설의 아버지' 에도가와 란포나 명탐정 긴다이치 코스케를 탄생시킨 요코미조 세이시 같은 추리소설의 황금기를 대표하던 작가들이 활동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들은 주로 트릭과 사건 그 자체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본격 미스터리를 썼고, 이는 영미권의 추리소설계도 비슷한 상황이었다.
원래 등단 이전부터 이러한 탐정소설을 즐겨 읽었던 세이초는, 여러 작품을 탐독하면서 사건이나 기발한 트릭의 재미도 좋지만, 작품 내에 등장하는 인간과 그 인간성을 깊이 파고드는 추리소설을 쓰고싶다는 욕구가 있었다.[1] 그리고 이러한 욕구가 집필의지에 반영되어 그의 첫 단편 추리 소설 '잠복'이 발표됐고, 세이초 본인도 본격적으로 집필에 몰두하여 여러편의 단편과 장편을 발표하면서 하나의 거대한 붐을 일으켰다. 그리고 아래에 설명할 이야기처럼 사회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서 사람들이 '사회파'라는 명칭을 붙였다. [2]

2 의의

사회파 미스터리는 당대의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왜냐하면 이제껏 대개의 추리소설은 어딘지 모르게 비현실적이거나 독특해야 하며, 사건 또한 어떤 특수한 집단 혹은 개인에게 발생하는 특이한 일들을 주로 다룬다는게 보통의 인식이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건을 일으키거나 또는 해결하는 사람들은 남들보다 뛰어난 지능이나 광기[3]혹은 직관력이나 이성을 가진 사람[4]인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그외에 간적접인 사회나 당시의 흐름은 간단히 설명되거나 보통은 생략되었다.
그런데 세이초는 사건의 배경을 당대 현실과 밀접하게 연관시켰을뿐만 아니라, 현실사회나 정치의 흐름을 스토리와 밀접하게 연관시켰고, 흔히 볼수있는 당시 사회의 여러 계층들을 주인공으로 삼았다. 또 종종 기발한 트릭들이 사용되고, 사건이 중시되기도 하지만, 그만큼 사건의 주체가 되는 범인 혹은 가해자나 피해자, 주변인물들을 깊게 파헤치면서 그들의 심리나 동기에도 주목했다. 이러한 점은 추리소설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깊이 공감하거나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게 하고 작품에 대해 더 몰입하게되는 효과를 낳았다. 또 작가로 하여금 사건과 트릭에만 구애받지 않고 좀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룰수 있게 되는 토양을 형성했다. 이것은 추리 소설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결과 일본 추리소설은 당시 문학계에 좀 더 깊게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3 비판

그러나, 이러한 사회파 미스터리가 순기능만을 한 것은 아니다. 우선, 사회파 미스터리의 아버지이자 거장이었던 마쓰모토 세이초의 성공 이후로 비슷한 작품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져나왔다. 간단히 생각하면 초창기 한국 판타지가 드래곤 라자세월의 돌같은 작품이 성공하면서 그 뒤로 중세유럽풍의 세계관'만' 끌여들어쓴 양판소가 범람한 것 처럼 비슷한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그러다보니 작품들의 질이 떨어지거나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사건이나 그 사건 자체에 대한 내용보다는 단순히 등장인물들의 심리나 배경에 대해서만 논하는 작품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사실 이쯤되면 이러한 소설들은 '사회소설'이나, '풍속소설'로 분류되어야할 법도 한데 판매부수를 올리려는 출판사나 작가들이 당시의 유행에 편승하기 위해 '추리소설'이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다.
오죽했으면 사회파 미스터리의 아버지이자 선두주자였던 세이초마저도 이러한 시류를 대놓고 깠을 정도로 상황이 영 좋지 않았었다. 다행이도 일본추리소설계의 이러한 흐름은 후에 시마다 소지같은 거장이나 아야츠지 유키토, 아리스가와 아리스같은 걸출한 작가들이 신본격 미스터리를 써내면서 바뀌었다. 또 사회파 미스터리의 계보를 이을만한 뛰어난 작가들, 즉 미야베 미유키, 요코야마 히데오, 사사키 조, 모리무라 세이이치 등도 대거 등장했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두 흐름 사이를 오가거나 잘 접목시키는 작품을 써내는 작가들도 있어서 질적, 양적으로도 잘 성장한 상태다.

그뿐만 아니라 아무래도 사회파 미스터리가 작품 내에 등장하는 사건의 중심인물들의 심리를 중점적으로 다루다 보니 지나치게 범인에게 감정이입을 강요한다거나, 동정적이라는 해석을 내리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 응당 개인에게 돌아가야 할 책임이 사회에 전가된다는 해석도 있으며 자기 주장을 정당화 하기 위해서 일부러 덜 끔찍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만 범인으로 내세운다는 시선도 있는데, 현재 수정 전의 이 항목도 그러한 비판논조로 사회파 미스터리를 해석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상당히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다. 분명 사회파 미스터리 작품 중의 일부는 그러한 사회의 책임이 상당히 강조되는 경우가 분명 있다. 예를 들어 요코야마 히데오의 대표작 중 하나로 손꼽히는 '사라진 이틀', 미야베 미유키의 이유 같은 경우는 그런 예에 속한다. 그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할지 알 수 없는 모호한 현실에 대해서 다룬 누쿠이 도쿠로난반사같은 작품도 이런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군에서는 범인이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나 상황에 대해서도 집요하게 파고들면서 사회에 책임을 묻기도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다른 모든 사회파 미스터리가 그런 식으로 굴러간다는 것도 아니다. 많은 사회파 미스터리 소설과 그에 영향을 받은 소설이 죄를 저지르게 만드는 사회 만큼이나 개인의 선택의 중요성이나 인간 내면의 탐욕, 이기심, 광기에도 주목하는 경우가 많다. 또 작품의 내용이나 전개에 따라서 당시의 사회와 연관성과 사건 자체의 무게중심이 비슷하거나 좀더 사건쪽으로 기우는 경우도 적지않다. 당장 위에서 언급된 두 작품을쓴 요코야마 히데오는 루팡의 소식에서는 당대 쇼와 시대의 분위기와 사건을 밀접하게 연관시키지만, 전개나 흐름에서는 사건과 캐릭터에 좀더 중점을 두는 식으로 작품을 썼고, 미야베 미유키는 모방범을 통해서 사회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각 캐릭터의 심리를 깊게 파면서, 개개인의 선택과 어리석음, 욕망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다뤘다.
거기에 당장 무시무시한 광기가 서린 범인을 중심으로 작품을 전개해 나가는 경우도 드물지 않은데, 당장 에도가와 란포상 등을 수상하면서 당시 일본사회를 적나라하게 해부한 걸로 유명한 기리노 나쓰오가 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섬짓하기 그지없다. 대표작인 아임 쏘리 마마나 아웃, 여탐정 미로 시리즈는 죄다 그런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여기에서 범인들의 흉악한 내면과 동기를 아무런 동정심없이 냉혹하게 묘사한다.[5]
누쿠이 도쿠로우행록 같은 작품도 마찬가지. [6]
이처럼 일본 추리 소설계는 상당히 다양한 작품군을 생산해왔고, 그 중에서도 사회파 미스터리의 저변은 꽤 넓으므로 단순하게 일반화 시켜서 설명하는 것은 꽤 성급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4 현재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재의 일본추리소설계는 신본격사회파를 위시하여 꽤 다양한 작품군을 쏟아내고 있다. 당장에 큰 흐름으로 본격 미스터리와 사회파 미스터리를 언급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외에도 번역서나 여러 해외의 추리소설을 수입해 오는 과정에서 다양한 장르군이 녹아들었으므로 지금은 단순히 분류하기 어렵다. 미야베 미유키처럼 사회파 미스터리 작가로 분류가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여러 장르를 혼합해서 새로운 작품을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지속되어 사회파 미스터리란 단어는 한때의 흐름으로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추리소설 내의 장르간의 혼합 시도는 현재도 지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반복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는 당장 일본 뿐만 아니라 추리소설이 쓰여지고 있는 다른 모든 나라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다만 사회파 미스터리가 일본 추리소설계에 남긴 영향은 분명하게 기억될 것이다.
  1. 이것은 원래 추리소설계가 지닌 딜레마기도 했다.
  2. 그러나 정작 이러한 흐름을 만들어낸 세이초 본인은 이러한 명칭이 부적합하다고 생각했다.
  3. 주로 범인
  4. 주로 탐정
  5. 심지어 주인공도 결코 선인이 아닌 경우가 절대다수다.
  6. 작품의 중심사건이 일가족 몰살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