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한말의 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13도 창의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1 내용
남대문 전투의 패배 이후 해산된 군인들이 소지하고 있던 신식 무기를 들고 전국 각지의 의병으로 편입되면서 1907년 무렵에 활동하던 소위 정미의병은 이전의 을미의병이나 을사의병과 비교하여 전과 비교하여 전투력이 대폭 향상됐다. 물론 그래봤자 아직도 일본군이랑 비교하면...안습
이에 고무된 전국의 의병장들은 경북에서 활동하던 의병장이자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전국 8도의 의병장들에게 참가를 호소하는 격문을 보내 1907년 11월 경기도 양주에 집결한다. 그 결과 문태수, 허위, 이강년, 민긍호와 같은 당대의 쟁쟁한 의병장들 및 도합 1만명에 달하는 병력이 집결한다. 특히나 이 1만 명 중에서도 최정예라고 부를 수 있는 해산군인 출신들이 무려 3000명에 이르렀다.
13도 창의군은 이듬해인 1908년 1월 서울에 주재 중인 각국 대사관에 격문을 보내 의병을 합법적인 교전단체로 여겨줄 것, 즉 교전권을 인정해 줄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내는 한편으로 허위가 이끄는 선발대 300명을 서울 밖 30리[1]까지 진격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일본군의 반격으로 인해 후퇴하고 만다.
한편 이런 상황에서 총대장 이인영을 부친상을 당해, 고향인 문경으로 삼년상을 치루고자 낙향하는 사태까지 겹치고 만다. 이후 이인영의 뒤를 이어 총대장이 된 허위는 2차 서울 진공 작전을 수행했으나 애초에 탄약도 모자란 데다가 일본군이 의병을 각개격파하는 방식으로 나오면서 망했어요 결국 서울에서 퇴각한 13도 창의군은 해산해 각자의 연고지로 돌아가 예전처럼 독자적으로 활동하였고, 특히나 황해도와 전라도 쪽에서 움직임이 활발했다. 하지만 뒤에는.... 남한대토벌 항목참조 한편 삼년상을 치루기 위해 낙향한 이인영은 1909년 일본에게 체포되어 처형당하고 만다.
1.2 의의와 한계
구한말 활동한 의병 중에서도 가장 조직적이고 전국적인 단체였으며, 작전 수행 이전 각국 대사관에 교전권을 인정해줄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20세기 초반 국제 정세 및 국제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지식과 현실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의병장이 다수가 학문적으로 위정척사파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장족의 발전. 그렇지만 평민 출신 의병장인 경상북도의 신돌석과 평안북도의 홍범도가 13도 창의군의 탄생 및 작전 진행과정에서 내내 왕따당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2] 이들이 여전히 전근대적인 신분제와 유교 이념, 근왕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도 분명하다. 그리고 총대장 이인영이 삼년상을 치루고자 작전 개시 직전의 단계에서 혼자 군영을 이탈한 것은 이 모든 해프닝 중에서도 단연 으뜸.[3] 물론 이런 구시대적인 한계 때문에 그들의 우국충정이 매도받아서도 안 될 것이다.
2 일제강점기 후기의 서울 진공 작전
2.1 개요
서울 진공 작전은 일제에 의하 강제 병합된 조선을 독립시키고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계획했던 군사 작전이다. 미국의 도움을 받아 1945년8월 18일 서울 탈환을 목표로 할 예정이었으나 미국이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소련이 만주 작전으로 관동군을 전멸시키자 일본이 항복하고 자연스레 식민지였던 조선은 독립을 맞이하게 되어 작전은 무산되었다.
교과서에서는 국내 진공 작전으로 간략히 서술되어있다.
2.2 작전은 성공할 수 있었는가?
200여명의 한국 광복군이 싸워야 할 관동군이 3만여명에 달했다. 아무리 망해가던 일본이었어도 성공하긴 힘들었을거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는 관동군 2개 사단이 주둔하고 있었다. 1945년 독소전쟁에서 승리한 소련군이 그 많은 병력을 긁어모아 관동군의 강냉이를 털은 만주 작전을 생각하면, 광복군이 설령 진공작전을 실행을 했다 해도 진압당하기 쉬웠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국내에서 같은 독립운동 세력과의 접선, 조력도 필요한데, 그 조차도 쉽게 접선이 가능했을까 하는 부분도 회의적. 그 당시 국내에는 건국동맹 같은 비밀결사 형식의 독립운동 단체들이 존재(이 단체는 전국적인 규모로 비밀리에 존재했던 단체였으며, 실제로 중국 화북의 옌안 지역에 있던 조선의용군과 여러차례 접선,교신하면서 향후 조선의용군이 어떤식으로 국내 진입을 할지 논의했던 기록이 남아있다.-ex:김무정의 보고서 기록 등-)하긴 했었지만, 임정하고 연계를 못한 상태였기에 한계가 있었다.(전쟁말기에는 이 단체가 임시정부와 연결을 시도하기도 했었지만, 충칭까지는 너무멀리 떨어져서 접선하는것조차 힘들었다.)
즉, 이 작전의 목적은 일본군을 격파하는 게 아닌, 승전국 지위를 획득하려는 일종의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