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도 창의군

十三道倡義軍

1 개요

정미 7조약에 의해 대한제국의 정규군이 해체되자, 서울 진공 작전을 펼쳐 통감부를 격파하고 국권을 회복하고자 한 목적에서 1907년 12월 경기도 양주에서 조직된 의병들의 연합단체.

2 내용

남대문 전투의 패배 이후 해산된 군인들이 소지하고 있던 신식 무기를 들고 전국 각지의 의병으로 편입되면서 1907년 무렵에 활동하던 소위 정미의병은 이전의 을미의병이나 을사의병과 비교하여 전투력이 대폭 향상됐다. 물론 그래봤자 일본군이랑 비교하면 안습수준이었지만

이에 고무된 전국의 의병장들은 경북에서 활동하던 의병장이자 거유[1]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전국 8도의 의병장들에게 참가를 호소하는 격문을 보내 1907년 11월 경기도 양주에 집결한다. 그 결과 문태수, 허위, 이강년, 민긍호와 같은 당대의 쟁쟁한 의병장들 및 도합 1만명에 달하는 병력이 집결한다. 특히나 이 1만 명 중에서도 최정예라고 부를 수 있는 해산군인 출신들이 무려 3,000명에 이르렀다.

13도 창의군은 이듬해인 1908년 1월 서울에 주재 중인 각국 대사관에 격문을 보내 의병을 합법적인 교전단체로 여겨줄 것, 즉 교전권을 인정해 줄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내는 한편으로 허위가 이끄는 선발대 300명을 서울 밖 30리[2]까지 진격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일본군의 반격으로 인해 후퇴하고 만다.

한편 이런 상황에서 총대장 이인영을 부친상을 당하고, '효를 이루어야 국가에 충성을 다할 수 있다.'라는 논리로 고향인 문경으로 삼년상을 치룬다는 명목으로 낙향하는 상황이 겹치고 만다.[3] 이후 이인영의 뒤를 이어 총대장이 된 허위는 2차 서울 진공 작전을 수행했으나 애초에 탄약도 모자란 데다가 일본군이 의병을 각개격파하는 방식으로 나오면서 망했어요. 결국 서울에서 퇴각한 13도 창의군은 해산해 각자의 연고지로 돌아가 예전처럼 독자적으로 활동하였고, 특히나 황해도전라도 쪽에서 움직임이 활발했다. 그리고 닥친 남한 대토벌 작전 크리 한편 3년상을 치루기 위해 낙향한 이인영은 1909년 일본에게 체포되어 처형당하고 만다.

3 의의와 한계

구한말 활동한 의병 중에서도 가장 조직적이고 전국적인 단체였으며, 작전 수행 이전 각국 대사관에 교전권을 인정해줄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20세기 초반 국제 정세 및 국제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지식과 현실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의병장이 다수가 학문적으로 위정척사파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장족의 발전. 그렇지만 평민 출신 의병장인 경상북도신돌석평안북도홍범도가 13도 창의군의 탄생 및 작전 진행과정에서 내내 왕따당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4] 이들이 여전히 전근대적인 신분제유교 이념, 근왕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도 분명하다. 그리고 총대장 이인영이 삼년상을 치루고자 작전 개시 직전의 단계에서 혼자 군영을 이탈한 것은 이 모든 해프닝 중에서도 단연 으뜸.[5] 물론 이런 구시대적인 한계 때문에 그들의 우국충정이 매도받아서도 안 될 것이다.
  1. 당연히 거유 항목의 그 거유가 아니다. 한자로는 巨儒.
  2. 당시 기준으로 서울 밖이었던 것이지 오늘날 서울특별시의 영역 안에는 들어간다. 정확한 위치는 오늘날의 중랑구 망우리 일대.
  3.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어처구니없는 논리이지만 당시 유림들에게는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기는 했다. 효를 중요시하는 학문을 배우고, 그것을 조상 대대로 실천하는 모습을 지켜봐왔던 입장에서는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을 것. 특히나 양란을 거치면서 불안해진 지배층에 의해 성리학이 금과옥조가 되었던 상황이기에, 더더욱 다른 발상을 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4. 심지어 신돌석은 13도 창의군에 참가하려고 양주까지 갔는데도 배제됐다. 안습.
  5. 뭐 애초에 이인영이 있었다고 해도 전력상 열세는 분명했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