丁未義兵
1 개요
1907년 정미7조약으로 인한 군대 해산 및 고종의 강제퇴위에 반발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의병. 구한말 시기 일어난 수 차례의 의병 활동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활동을 펼쳤으나 남한대토벌작전으로 대표되는 일제의 강경한 탄압으로 인해 결국 붕괴된다. 이후 잔존한 의병 세력은 만주와 같은 국외로 탈출하여 독립군으로 재편성된다.
2 배경
1905년 을사조약을 통하여 대한제국은 일본에게 외교권을 박탈당한다. 이에 대항하여 고종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3명의 특사를 파견하여 조약의 부당함을 알리는 최후의 저항을 시도해보지만, 끝내 무산됐고 이를 빌미로 일본은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을 황위에 앉힌다. 아직 전근대적인 근왕사상이 사회 곳곳에 퍼져있던 한반도에서 고종의 강제 퇴위는 엄청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907년 정미7조약을 통해 진행된 군대 해산이 이런 반발 심리에 불을 붙인다.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 박승환이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자결하자, 분노한 병사들이 무장봉기를 일으켰으며, 지방의 진위대에서도 각종 무장봉기가 일어났다. 이러한 무장봉기들은 압도적인 화력을 갖춘 일본군에 의하여 분쇄됐지만 다수의 시위대와 진위대의 군사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신식 무기를 가지고 탈영하여 각 지방의 의병 부대[1]로 참가했고 그 결과 의병들은 기존보다 훨씬 강한 전투력을 보유하게 됐다.
3 전개
1907년 8월 2일 원주의 진위대 병사들이 여주의 진위대 병사들 및 의병들과 함께 무기고를 점령하고 봉기를 일으킨 것으로 정미의병은 시작된다. 이어 강화도와 진주 등에서도 진위대 병사들의 봉기 및 무장탈영이 속출한다. 탈영한 군인들은 각 지역의 의병 부대로 편입됐고 이러한 움직임은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다. 특히나 이강년과 신돌석 등이 주도하는 남부 지역에서의 의병 활동이 두드러졌으며, 북부 지방에서도 홍범도, 안중근과 같은 인사들이 활발히 투쟁을 펼쳤다. 게다가 기존까지의 의병 활동은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한 유림들이 주도했던 것과 비교해서 정미의병은 신돌석, 홍범도와 같이 평민 출신들이 두드러지는 활약을 선보였고, 그 덕분에 기존과 비교해서 훨씬 강한 민중의 호응을 얻을수 있었다.
한편 같은해 9월에는 전국에 산개된 의병을 하나의 지휘체계로 합치자는 주장이 펼쳐졌고 이는 13도 창의군으로 현실화된다. 근데 정작 유림들이 신돌석과 홍범도를 왕따시킨게 함정 이어 1908년 초에는 13도 창의군이 다같이 집결[2]하여 서울을 공략하기 위한 서울진공작전이 펼쳐졌으나 총대장 이인영의 트롤링과 함께[3] 갑자기 일본의 압도적인 전력 앞에 실패로 돌아갔고[4], 이후 13도 창의군은 해체되어 다시 각자의 본거지로 돌아가 게릴라전을 펼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