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8331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1 1기 8331번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8331/8331.png
공교롭게도 2기 8331번에 나온 사진과 촬영장소가 같다. 출처

1.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331번
기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6동(어도)종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6동(어도)
종점행첫차?기점행첫차-
막차?막차-
평일배차15~30분주말배차?
운수사명오케이버스인가대수2대?
노선어도 → 잠실역6번출구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리센츠아파트 → 잠실2동주민센터.신천역8번출구 → 잠실체육관(동문) → 잠실한강공원 선착장 → 잠실한강공원 수영장 → 어도

1.2 개요

어도로 갔던 맞춤버스 노선. 2기 8331번과는 달리 종합운동장사거리는 경유하지 않았다.

1.3 역사

  • 2007년 3월 7일(혹은 3월 31일)에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에는 주말에만 운행했으며, 신흥기업에서 운행했다. 신설 목적은 잠실한강공원 접근성 향상.
  • 한강 수상택시 도입에 따라 2007년 11월 1일부터 매일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08년 11월에 2223번과 함께 오케이버스로 매각되었다.
  • 2009년 7월 11일에 폐선되었다.

1.4 특징

  • 수요가 매우 저조했다. 기사까지 올라왔을 정도.

1.5 연계 철도역

2 2기 8331번

파일:1449547700886.jpg
도색이 지선버스같지만 넘어가자.

2.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순환버스 8331번
기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2동(잠실한강공원 선착장)종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2동(잠실한강공원 선착장)
종점행첫차13:00기점행첫차-
막차22:00막차-
평일배차15~30분주말배차15~30분
운수사명대원여객인가대수3대(예비 0대)
노선잠실한강공원 선착장 → 잠실한강공원 수영장 → 잠실대교남단.잠실대교전망대 → 올림픽대로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리센츠아파트 → 잠실2동주민센터.신천역8번출구 → 잠실엘스아파트 → 종합운동장사거리 → 잠실한강공원 선착장

2.2 개요

2번 살아났다가 2번 죽은 노선. 안 될 노선은 뭘 해도 안 된다. (사실 3번 살아났다가 3번 죽은 노선도 있지만... 8331과 비교하면 실례)

2.3 역사

  • 2015년 7월 15일부터 첫차가 13시, 막차가 22시로 각각 3시간 늦춰졌다.
  • 2016년 1월 1일에 폐선되었다. 서울특별시 정보소통광장 폐선 사유는 1기 노선과 동일하게 수요 저조다. 차량은 106번, 201번, 2312번으로 투입되었다. 역시나 이번에도 서울시는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이번에도 탁상행정의 폐해를 아주 잘 보여주고 흑역사로... 뚝섬유원지 쪽 2014번은 멀리 가기라도 하지 얘는 5km 가량을 뱅뱅 돌기만 했으니

2.4 특징

  • 1기와 달리 대원여객에서 운행했다. 차량은 107번, 201번, 341번에서 예비차를 각각 1대씩 차출하였으며, 차량 관리는 강동공영차고지에서 담당했다. 중형버스로 운행하던 과거보다 차급은 좋아진 편. 게다가 좌석형 차량이었다.[1]하지만 쓸데없는 사치였다.
  • 1기 8331번과는 달리 어도를 경유하지 않았다.
  • 노선 길이가 짧아(약 5.72km) 순환버스 요금을 받았다. 서울특별시 버스안내시스템이나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 등에서는 아예 순환버스로 표기되었다.
  • 1기 노선처럼 수요가 저조했다. 그나마 있는 수요도 잠실역 → 신천역 → 종합운동장사거리 수요 뿐. 그래도 1기보단 사람이 늘었다.
  • 서울특별시 순환버스 버스 중 유일하게 자동차전용도로이자 고속화도로인 올림픽대로를 경유했다.
  • 1기 때와 달리 겨우 8개월 있다가 사라졌다.

2.5 연계 철도역

  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KD계열의 경우 세금을 더 내고 좌석형 차량을 투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