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00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1 개통 초기의 300번

출처 해당 차량은 2010년 송파상운으로 양도된 후 2014년 10월 대차되었다.

2004년 7월에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해 신설된 노선으로 당시 운행구간은 강동공영차고지 - 서울역이었다. 이 때는 경기광주 버스 9301과 수요분담 역할을 했으며 특히 9301은 광역노선인데 이건 시내 일반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인기가 좋았다. 그러나 2005년 8월 노선조정으로 폐선되고 이후 아래 서술할 간선 342번이 된다.[1]

1.1 342번 시절

출처 해당 차량은 2010년 영인운수으로 양도된 후 2013년에 대차되었다.

300번이 변경된 이후 운행구간은 강일동에서 구천면길을 경유해 천호역까지 간 다음, 이후 천호대교 - 광나루역 - 군자역 - 화양동 - 건대입구역 - 영동대교 - 청담동 - 압구정역까지로 실 수요구간은 화양동부터였다. 다만 강동지역에서는 잘 이용하지 않았는데 이유는 우선 선형이 타 3권역발 4권역행은 굴곡이라고 해도 연계는 쉬우나 이쪽은 다른건 제외하더래도 한강다리를 2번이나 건너기 때문에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다리 구간에서 막히는 일이 많아 배차간격이 쉽게 벌어졌다. 그나마 구천면길을 완주하는 유일한 서울 시내버스라는 이점도 있었지만 역시 다른 경기도 시내버스들에게 배차간격으로 크게 밀렸다.

한강을 두 번 건너는 서울 버스는 망한다.[2]라는 속설을 증명하며 2006년 1월 12일에 폐지되었다.[3] 한편 버스가 아닌 지하철 노선으로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한강을 두 번 건너며(여의도 하저터널, 천호 하저터널) 절찬리 운행중이다. 그러다가... 2014년 3월 11일 서울 버스 263번이 차고지 이전으로 인해 염곡동으로 연장되고 서울 버스 463번으로 변경되면서 또 다시 한강을 두 번 넘는 노선이 탄생하게 되었다!

간선버스가 군자역에서 좁은 이면도로로 들어가는 모습도 충격과 공포였지만, 한강을 두 번 건넌다는 점에 묻혔다.

2 2기 300번

700px
2008년 3월 촬영. 상기 차량은 대차되었다.

2005년 8월에 변경된 342번이 2006년 1월 12일자로 폐선되어[4] 다시 이 번호로 돌아왔으며 이때는 초기 노선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단축된다. 그래도 초기 리즈 시절에 준하는 비중을 두게 되었고 이때는 9403번아차산역 - 동대문 간 보조노선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노선이 일부 변경, 연장으로 청계천을 경유하여 서소문 회차로 변경된다.[5] 사실상의 종로 복귀라고 할수 있었다.

다만 변경 구간중 청계천 구간은 과거나 지금이나 사실상 헬게이트였다.[6]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더 말할 것도 없었으며 이 구간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했다.

2009년 6월 20일에 아예 신설동역까지 단축되어 370번의 완전한 하위호환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1년 2월 8일부터 회차할 때 황학교 대신 시립동부병원을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1년 4월 25일부터 강일리버파크8단지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1년 8월 25일에 370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여담으로 342번 시절을 빼면 이 300번도 370번처럼 초창기 서울 5호선 계획구간을 다녔던 노선이다.
  1. 300번의 군자동 이후 구간은 서울 버스 721이 대체중이다.
  2. 상당히 일리있는 말이다. 일단 한강의 폭 자체가 엄청날 뿐더러, 교통이 혼잡할 때에는 1~2km에 달하는 다리 전 구간이 묶여 버리는 일도 있으니.
  3. 112-1번은 한강을 2번이나 건너는데도 어느 정도 평타치고 있다.물론 서울 버스가 아닌 경기도 버스지만
  4. 이와 별도로 지선노선 3317(강일동 ~ 명일역)을 만든 적이 있으나 이 노선도 얼마 못 가 폐선된다.
  5. 변경시기에 이 외에도 서울 버스 8300이 신설되기도 했었다. 이쪽은 해당 문서 참조
  6. 과거엔 이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이 많았으나 모두 철수하고 지금은 163번만 평일 한정으로 일부 다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