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왜소화를 보이는 멸종된 동물들 - 위: 크레타의 난쟁이 코끼리, 아래: 용각류 공룡 에우로파사우루스 홀게리(Europasaurus holgeri)
Insular dwarfism
목차
1 개요
말 그대로 대륙에서 크기가 큰 동물이 섬에서 그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 한정된 공간과 한정된 먹이로 인해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의 반대현상인 섬 거대화(Island gigantism)도 존재하며 이는 주로 조류, 파충류, 곤충 및 절지동물에게서 나타난다. 대표적인게 도도와 솔리테어.
특이하게도 이 증상을 보이는 동물들은 대체로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경우가 극히 드물다. 설령 살아남았어도 인류에 의해 멸종 크리(...).
대형 포유류는 섬 왜소화를 겪는 경향이 있다. 물론 반대로 소형 포유류는 섬 거대화를 겪는다.(ex> 지중해의 난쟁이코끼리와 거대겨울잠쥐)
2 섬 왜소화의 예시
- 지중해의 난쟁이 코끼리[1]
- 지중해의 메갈로케로스 카지오티 종
- 지중해와 마다가스카르의
작은하마난쟁이하마[2] - 브랑겔 섬의 매머드
- 마기아로사우루스를 비롯한 루마니아의 하테그 분지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공룡들
- 백악기 당시에는 섬이었다. 그 때문에 대부분의 공룡들이 크기가 작았고, 대표적으로 그곳에 서식하던 용각류 종류인 마기아로사우루스는 6m 정도의 길이에 1t정도의 무게로 백악기 후기 다른 지역에서 서식하던 알라모사우루스나 살타사우루스,라페토사우루스,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등 다른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들에 비해 굉장히 왜소한 크기다.[3] 그러나 수각류 종류인 발라우르(Balaur)는 특이하게 섬 왜소화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섬 거대화가 일어났다. 또한 날아다녀서 자유롭게 섬과 섬들을 왕래가 가능했던 익룡 역시 섬 왜소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심지어 루마니아에서 발견된 익룡 하체고프테릭스는 가장 거대한 익룡이었다.
히프노크 실사판
- ↑ 새끼의 경우 독수리에게 채여갈 정도로 작았다고 한다. 이 모습을 본 고대인들이 코끼리를 새끼의 먹이로 주는 로크에 대한 전설을 만들었다는 얘기가 있다.
- ↑ 마다가스카르의 난쟁이하마는 원주민에게 잡아먹혀서 멸종했다고 한다(...)
작은 하마를 건들면(...) 작은 하마가 x되는 거야(...)지못미 - ↑ 그런데 당시 같은 유럽 지역에 서식하던(오늘날의 프랑스 남서부 지역) 같은 티타노사우루스류 용각류 공룡인 암펠로사우루스는 마기아로사우루스와는 달리 섬 왜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 ↑ 북극 지방에서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류로 먹이가 부족했을때를 대비해 섬 왜소화를 거친듯,
근데 트로오돈은 반대잖아. - ↑ 일본 열도 본토에서 서식하는 일본원숭이들보다 더 왜소하다.
- ↑ 한반도,연해주의 시베리아호랑이나 인도의 벵골호랑이보다 크기가 더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