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 타조, 그리고 모아(와 그 알)의 크기를 비교한 사진.
Island gigantism.
목차
1 개요
말 그대로 섬처럼 유전적, 생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화 현상. 진화론의 실증적 증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섬 왜소화와는 반대현상이며 원래 작았던 동물들이 상위포식자가 없거나 혹은 상위포식자를 이겨내기위해 커지는것으로 보이며 몸집이 커지면 여러가지 이점이 많다.
몸이 커지면 그만큼 많은 양의 먹이가 섭취 가능하고 일정하게 체온 유지가 가능해[1] 생존률이 올라간다. 보통 여기엔 비대해질수록 상위 포식자에게서 도망가기 힘들어져 자연 도태되는 환경적 제약이 걸리는 경우가 많지만 섬이니까 그런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일정 이상 덩치를 불리면 당연히 포식자들도 함부로 손대기 꺼려진다.
본래 크기가 작은 생물들인 조류, 파충류, 곤충 및 절지류, 갑각류에게서 많이 나타나나, 포유류 중에서도 섬 거대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실례를 찾을 수 있다.
섬 왜소화와 마찬가지로 섬이라는 지형 특성상 이 형질을 보이는 동물들은 대체로 멸종한 종들이 많다. 물론 여기에는 거대화해 인간이 잡기 쉽다는 특징 때문에 인간의 손에 멸종한 것도 크게 한몫한다.
2 섬 거대화의 예시
- 모아
- 코끼리새
- 도도 & 솔리테어
- 지중해의 거대겨울잠쥐
- 갈라파고스코끼리거북
- 발라우르
- 세인트헬레나 헤라클레스 집게벌레
- 솔레노돈
- 일부 메뚜기목 곤충(풀무치[2], 여치[3], 자이언트 웨타. 풀무치와 여치는 그 사례가 연구된 적이 없으며 추측일뿐임)
- 하스트 독수리[4]
- 하체고프테릭스
- 화식조[5]
- 스리랑카 표범[6]
- ↑ 체온을 뺏기는 피부(면적)는 길이의 제곱이지만 체온을 만들어내고 유지하는 체적(부피)은 길이의 세제곱이기 때문. 덩치가 작을수록 무게에 비해 많이 먹는 큰 이유중 하나가 바로 이 때문이다.
- ↑ 도서 지방이나 격리된 지역의 풀무치가 내륙지방의 풀무치보다 2배 가량 크다.
- ↑ 제주도의 여치나 긴날개여치,중베짱이들은 내륙의 개체보다 크게 자란다. 가령중부 지방에서 긴날개여치는 대부분 35mm가 최대이나 제주도 긴날개여치의 경우 50mm에 근접한 크기를 지닌 개체도 종종 발견된다.
- ↑ 저 위의 모아를 잡아먹고 살던 독수리.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고.
- ↑ 이 녀석은 뉴기니 섬 뿐만 아니라 인접 대륙 국가인 호주에도 살고 있지만..
- ↑ 스리랑카와 가까운 이웃나라 인도나 아프리카, 중동 본토에서 서식하는 표범보다 덩치가 크다. 이유는 아프리카나 중동, 인도 본토처럼 사자나 호랑이, 늑대, 승냥이 같은 경쟁 상대의 포식자가 없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