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디나르

남유럽의 통화
유로지브롤터 파운드
포르투갈 에스쿠도, 에스파냐 페세타, 모나코 프랑, 이탈리아 리라, 산마리노 리라, 바티칸 리라, 그리스 드라크마, 몰타 리라, 키프로스 파운드, 슬로베니아 톨라르
마케도니아 데나르알바니아 레크크로아티아 쿠나 (크로아티아 디나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르카 (디나라)세르비아(몬테네그로)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통화 변천사
영토 및 지역1918 ~ 19191920 ~ 19401941 ~ 19431944 ~ 1991199219941995 ~ 199719981999 ~ 200120022003 ~ 20062007
마케도니아
(남부 세르비아)
세르비아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KJ 디나르)
불가리아 레프(동부)
알바니아 레크(서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기 ~ 3기)
마케도니아 데나르
세르비아세르비아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4기 ~ 7기 1차)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2차)
세르비아 디나르
코소보알바니아 레크독일 마르크유로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페르페르이탈리아 리라
슬로베니아유고슬라비아 크로네독일 제국마르크슬로베니아 톨라르유로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 쿠나크로아티아 디나르크로아티아 쿠나
스르프스카 크라이나[1]크라이나 디나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디나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태환 마르카
스르프스카[2]스르프스카 디나르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Cрпски динар (세르비아어, 스르프스키 디나르)
세르비아지역에서 통용하는 통화. 크게 중세와 근대로 나뉘고, 근대 디나르는 다시 기간별로 하여 셋으로 나뉜다. 단수형은 디나르(Dinar), 복수형은 디나라(Dinara)라고 읽힌다.

1 중세 세르비아 디나르

1214년 등장.

2 근대 세르비아 디나르

2.1 1기

2.2 2기

2.3 3기

2003년(동전은 2000년)에 등장하였다.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계승한 통화이며[3], 과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에는 몬테네그로코소보에서도 법정통화로 인정해줬지만 아무래도 민족불화 때문인지 둘 다 독일 마르크유로 테크를 진작에 타고 있었으니 별 상관이 없다. 이렇다보니 주역권인 유럽에서조차 제대로 기 한번 펴보지 못하는 약세 통화라는 불명예가 항상 따르고 있다(...)

ISO 4217코드는 RSD, 기호는 코드를 키릴 문자로 변형시킨 РСД를 사용하고 있다. 인플레는 6.2%(2012년 추정치), 보조단위 "파라"[4]는 50파라권 딱 하나가 남아 명맥을 이었지만 2013년부로 완전히 승화해버렸다.

앞면뒷면
300px10РСД
(2006)
131*62mm
(미발행 지폐)
300px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1848 프라하 슬라브 의회
300px20РСД
(2006)
135*64mm
페타르 2세 = 페트로비치 네고시노브첸 산의 페타르 2세 영묘[5]
300px페타르 2세의 초상
300px50РСД
(2005)
139*66mm
스테판 스토야노비치 모크라냐치미로슬라브의 복음서
(슬라브어로 쓰여진 복음서 중 최고(古)의 유물)
300px100РСД
(2003)
143*68mm
니콜라 테슬라테슬라 전자기유도 기기 구조도
300px200РСД
(2005)
147*70mm
나데자 페트로비치그라차니차 수도원
300px500РСД
(2007)
147*70mm
요반 츠비예치민속풍 잡화
300px1,000РСД
(2003)
151*72mm
조르제 바이페르트게오르기우스의 드래곤 사냥
국립은행 구 청사
300px2,000РСД
(2011)
155*74mm
밀루틴 밀란코비치
300px5,000РСД
(2003)
159*76mm
슬로보단 요바노비치
과학예술아카데미 청사의 조각상
세르비아 의사당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최종판도 이것과 판본이 거의 흡사한데, 이는 판본 자체는 2000년에 등장하고, 세르비아 은행(구 유고슬라비아 은행)이 2003년에 새단장을 했기 때문에 나타난 시간적 격차가 원인이다.
  • 2,000디나라는 타 권종에 비해 상당히 늦게 등장했지만 은행에서 말하길 애초부터 발행계획에 있었다고 한다. 다만 인플레가 걱정이어서 미리 발행을 하지 않았을 뿐이었다고.
  • 물가가 한국대비 1/2~1/5까지 떨어지는 세르비아로선 최고액권인 5,000디나라권(약 6만원)이 너무 부담스러운지라 거의 쓰여지질 않는다.
  • 2013년 현재 동전은 1, 2, 5, 10, 20디나르가 통용되고 있다.
  1. 크라이나-세르비아 공화국Република Српска Крајина. 크로아티아가 막 유고에서 탈퇴했을 적, 내부의 세르비아 인들에 의해 다시 분리된 공화국. 하지만 국제적으로 전혀 인정받지 못한채 대부분 크로아티아 정부에 의해 점령당했고, 이후에는 UN의 감시하에 얌전히 크로아티아에 병합되었다.
  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부의 세르비아인에 의해 세워진 자치국. 크라이나와는 다르게 거의 다른나라라고 해도 될 정도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3. 원래 유고슬라비아가 연방체제였기 때문에 "계승"이라는 표현이 그닥 옳은 표현은 아니지만, 하이퍼인플레로 고생하는 유고 디나르를 끝내 내치지 않은 점과 유고연방 자체가 세르비아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히 틀린 것만은 아니다.
  4. 오스만 리라에서 파생한 것으로, 발칸반도에 오스만 세력이 들어와 있었던 증거이기도 했다.
  5. 장소가 몬테네그로에 있는고로 세르비아-몬테네그로가 깨진 후 개정판을 내놓으면서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