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럽의 통화 | ||
유로 | 지브롤터 파운드 | |
마케도니아 데나르 | 알바니아 레크 | 크로아티아 쿠나 (크로아티아 디나르)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마르카 (디나라) |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통화 변천사 | ||||||||||||
영토 및 지역 | 1918 ~ 1919 | 1920 ~ 1940 | 1941 ~ 1943 | 1944 ~ 1991 | 1992 | 1994 | 1995 ~ 1997 | 1998 | 1999 ~ 2001 | 2002 | 2003 ~ 2006 | 2007 |
마케도니아 (남부 세르비아) | 세르비아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KJ 디나르) | 불가리아 레프(동부) 알바니아 레크(서부)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기 ~ 3기) | 마케도니아 데나르 | |||||||
세르비아 | 세르비아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4기 ~ 7기 1차)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2차) | 세르비아 디나르 | ||||||||
코소보 | 알바니아 레크 | 독일 마르크 | 유로 |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 페르페르 | 이탈리아 리라 | ||||||||||
슬로베니아 | 유고슬라비아 크로네 | 독일 제국마르크 | 슬로베니아 톨라르 | 유로 |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쿠나 | 크로아티아 디나르 | 크로아티아 쿠나 | |||||||||
스르프스카 크라이나[1] | 크라이나 디나르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디나르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태환 마르카 | ||||||||||
스르프스카[2] | 스르프스카 디나르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
Cрпски динар (세르비아어, 스르프스키 디나르)
세르비아지역에서 통용하는 통화. 크게 중세와 근대로 나뉘고, 근대 디나르는 다시 기간별로 하여 셋으로 나뉜다. 단수형은 디나르(Dinar), 복수형은 디나라(Dinara)라고 읽힌다.
1 중세 세르비아 디나르
1214년 등장.
2 근대 세르비아 디나르
2.1 1기
2.2 2기
2.3 3기
2003년(동전은 2000년)에 등장하였다.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계승한 통화이며[3], 과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에는 몬테네그로와 코소보에서도 법정통화로 인정해줬지만 아무래도 민족불화 때문인지 둘 다 독일 마르크▶유로 테크를 진작에 타고 있었으니 별 상관이 없다. 이렇다보니 주역권인 유럽에서조차 제대로 기 한번 펴보지 못하는 약세 통화라는 불명예가 항상 따르고 있다(...)
ISO 4217코드는 RSD, 기호는 코드를 키릴 문자로 변형시킨 РСД를 사용하고 있다. 인플레는 6.2%(2012년 추정치), 보조단위 "파라"[4]는 50파라권 딱 하나가 남아 명맥을 이었지만 2013년부로 완전히 승화해버렸다.
앞면 | 뒷면 | ||
300px | 10РСД (2006) 131*62mm | (미발행 지폐) | |
300px |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 | 1848 프라하 슬라브 의회 | |
300px | 20РСД (2006) 135*64mm | 페타르 2세 = 페트로비치 네고시 | 노브첸 산의 페타르 2세 영묘[5] |
300px | 페타르 2세의 초상 | ||
300px | 50РСД (2005) 139*66mm | 스테판 스토야노비치 모크라냐치 | 미로슬라브의 복음서 (슬라브어로 쓰여진 복음서 중 최고(古)의 유물) |
300px | 100РСД (2003) 143*68mm | 니콜라 테슬라 | 테슬라 전자기유도 기기 구조도 |
300px | 200РСД (2005) 147*70mm | 나데자 페트로비치 | 그라차니차 수도원 |
300px | 500РСД (2007) 147*70mm | 요반 츠비예치 | 민속풍 잡화 |
300px | 1,000РСД (2003) 151*72mm | 조르제 바이페르트 | 게오르기우스의 드래곤 사냥 국립은행 구 청사 |
300px | 2,000РСД (2011) 155*74mm | 밀루틴 밀란코비치 | |
300px | 5,000РСД (2003) 159*76mm | 슬로보단 요바노비치 과학예술아카데미 청사의 조각상 | 세르비아 의사당 |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최종판도 이것과 판본이 거의 흡사한데, 이는 판본 자체는 2000년에 등장하고, 세르비아 은행(구 유고슬라비아 은행)이 2003년에 새단장을 했기 때문에 나타난 시간적 격차가 원인이다.
- 2,000디나라는 타 권종에 비해 상당히 늦게 등장했지만 은행에서 말하길 애초부터 발행계획에 있었다고 한다. 다만 인플레가 걱정이어서 미리 발행을 하지 않았을 뿐이었다고.
- 물가가 한국대비 1/2~1/5까지 떨어지는 세르비아로선 최고액권인 5,000디나라권(약 6만원)이 너무 부담스러운지라 거의 쓰여지질 않는다.
- 2013년 현재 동전은 1, 2, 5, 10, 20디나르가 통용되고 있다.
- ↑ 크라이나-세르비아 공화국Република Српска Крајина. 크로아티아가 막 유고에서 탈퇴했을 적, 내부의 세르비아 인들에 의해 다시 분리된 공화국. 하지만 국제적으로 전혀 인정받지 못한채 대부분 크로아티아 정부에 의해 점령당했고, 이후에는 UN의 감시하에 얌전히 크로아티아에 병합되었다.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부의 세르비아인에 의해 세워진 자치국. 크라이나와는 다르게 거의 다른나라라고 해도 될 정도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 ↑ 원래 유고슬라비아가 연방체제였기 때문에 "계승"이라는 표현이 그닥 옳은 표현은 아니지만, 하이퍼인플레로 고생하는 유고 디나르를 끝내 내치지 않은 점과 유고연방 자체가 세르비아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히 틀린 것만은 아니다.
- ↑ 오스만 리라에서 파생한 것으로, 발칸반도에 오스만 세력이 들어와 있었던 증거이기도 했다.
- ↑ 장소가 몬테네그로에 있는고로 세르비아-몬테네그로가 깨진 후 개정판을 내놓으면서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