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일주의

Kleindeutschtum (독일어)
Lesser German Solution (영어)
小獨逸主義 (한자)

1 개요

19세기 독일 연방 내 통일 과정에서 다민족 국가였던 오스트리아 제국을 배제하고 프로이센 왕국 위주의 독일 단일민족 국가를 설립할 것을 주장한 사상.[1]

2 내용

1848년 혁명 직후 민족주의자들의 주도하에 독일 문화권 내에서는 기존의 독일 연방을 해체하고 하나의 통일된 국가를 설립하려는 시도가 실제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고, 이 사안을 논의하기 위해 같은 해 5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독일 문화권 전역의 대표자들이 소집된다. 새로이 통일될 독일 국가의 체제를 놓고 다양한 사안에서 무수한 이견이 존재했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큰 화두는 바로 통일의 범위여부였다.

공화주의자들을 위시로 한 좌파 세력에서는 대독일주의를 부르짖었고, 입헌군주제를 선호한 중도-보수 세력에서는 소독일주의를 지지했다. 대독일주의를 지지하는 세력에서는 '아니 신성 로마 제국은 당연히 독일의 영토 아니었냐? 그러니까 당연히 신성 로마 제국의 후계자인 오스트리아 제국 역시 독일의 일부로 포함되어야지!'라고 주장했지만, 대독일주의에게는 크나큰 아킬레스건이 존재했으니, 바로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역에서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구 폴란드-리투아니아 일대, 헝가리 지역이 역사적으로 신성 로마 제국에 속한 적이 없다(= 독일 연방에도 포함된 적이 없다)는 사실이었다. 해당 지역의 주민이 '니들이 뭔데 우리를 니네 땅에 포함시킬지 말지 논의하냐?'라고 반발했던 건 덤. 게다가 결정적으로 독일 연방에서 가장 강성한 세력을 자랑했던 오스트리아 제국 역시 자국 영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소수민족 거주지역을 포기할 의사가 0에 수렴했다. 너 같으면 포기하겠냐

이렇게 대독일주의의 현실화가 물거품에 그칠 가능성이 커지자, 중도 보수 세력 주도하에 '그럼 꿩 대신 닭으로 독일 단일 문화권 지역 내에서 가장 강한 프로이센 왕국이 주도하는 통일 국가를 건설하자!'라는 소독일주의가 점차 먹혀들게 된다. 그리하여 여차여차 헌법 초안을 작성하는 한편으로, 의회 내 투표를 거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신생 독일의 새로운 황제로 결정되었으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본인이 '독일 전체 제후들의 합의에 의한 것이 아니다'는 점[2]을 들어서 추대를 거절한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프랑크푸르트 의회의 추대를 거부하면서 1848년 혁명은 물거품으로 끝나고 다시 반동 정치가 독일 내에서 시작된다. 비록 프리드히리 빌헬름 본인이 왕관을 거부하기는 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유주의에 대한 거부감에서 비롯된 거지, 프로이센의 국왕들 역시 독일어권 내에서 왕초 노릇을 하고 싶은 마음을 당연히 굴뚝 같았고[3] 이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관계는 1860년대 중반까지 갈수록 험악해진다.

쌓이고 쌓인 갈등은 1866년의 7주 전쟁으로 폭발하였고, 이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를 쳐바름 압도함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소독일주의가 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리고 이 소독일주의 이념에 근거하여 세워진 국가가 독일 제국. 한편, 오스트리아는 독일 연방에서 축출되어 헝가리인들과 대타협이라는 이름의 협상을 거친 끝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재탄생한다.

3 여담

  • 물론 독일 제국이 탄생한 것으로 대독일주의가 소멸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독일 제국 내에서 민족주의가 점차 커져감에 따라, 20세기 초반이 되면 독일과 오스트리아 양쪽 민중들 모두[4]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부르짖는 상황이 벌어진다.
  • 베르사유 조약에서 연합국이 안슐루스를 금지한 이유도 이렇게 대중들 사이에서 만연한 대독일주의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베르사유 및 파리 강화 조약으로 연합국이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철저히 짖밟아서 대독일주의가 더 만연해진게 함정
  • 소독일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프로이센 측은 역사학자들까지 동원했는데, 이들 어용사학자들은 '중세 이래로 오스트리아 황제들이 겸직한 신성 로마 제국이 독일 전체의 발전을 저해했으니 오스트리아를 독일 문화권 내에서 쳐내야 한다'는 정체성론 식민사관??을 발전시킨다.
  1. 독일 제국 항목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어디까지나 오헝제국과 비교해서 단일민족에 가까웠던 것이지, 실상은 엄연한 다민족 국가였다. 당장 독일 제국 내 거주하는 폴란드인만하더라도 수백만
  2.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그럴싸한 표면적인 변명이었고, 실제로는 '왕권은 하느님이 주신 건데 어디서 평민놈들이 무엄하게 투표로 날 왕으로 추대할지 말지를 결정해?'라는 반발심이 이유였다.
  3. 실제로 1850년 프로이센은 자국 주도의 에르푸르트 연방을 창설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아직까지 쏴롸있던 건재했던 오스트리아에 의해 무참히 진압당하니, 이것이 바로 올뮈츠의 굴욕.
  4. 특히나 오스트리아 같은 경우에 일종의 다문화 국가를 추구했기 때문에 자신들이 역차별을 받는다고 느낀 몇몇 게르만 민족주의자들이 독일로 '인종적 피난'을 가는 상황도 벌어진다. 가장 대표적인 게 바로 이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