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다리

1 짧은 다리

다리가 short하다는 의미로, 처음 이 단어가 나왔을 90년대 당시에는 그냥 가 작은 사람 수준으로 그쳤는데 세월이 좀 흐르면서 신체 비율에서 다리가 짧은 사람이라는 의미로 굳어졌다. 즉 숏다리의 유의어는 '상체가 긴 사람'이 된다. 반댓말은 롱다리.

얼굴이 작고 목이 긴 사람들이 목이 길어서 그런지 허리가 길고 다리가 짧아 보이기도 한다.
ex) 씨스타 다솜, 소녀시대 유리

다리 길이가 같은 두 사람이 있다면 키가 더 큰 쪽이 숏다리인 셈. 키가 클수록 허리가 많이 길어서 불리하다는 낭설이 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성장판이 닫히는 순서가 허리보다 다리쪽이 빨라서 그렇다는 근거를 드는데, 성장판이 먼저 닫히는 부위의 순서보다는 어디어디 쪽이 더 활성화가 되어 많이 길어지는가가 중요하기 때문. 장신인 사람들은 다리 성장판이 활성화되어 다리가 쑥쑥 자라는 아동기~2차 성징 직전이나 초반일 때 키가 크는 경우가 많다. 다리의 길이가 키에 정비례하는 것은 결코 아니지만 실제로 키가 큰 사람들 중에 키에 비해 롱다리인 사람이 조금 더 많은 편. 특히 한국에서는 저연령층으로 내려갈수록 키가 작은 사람보다 키가 큰 사람쪽에 다리 비율이 좋은 경우가 더더욱 흔하다.[1] 게다가 주위를 둘러보면 키가 큰 사람이 키가 작은 사람보다 상하체 비율이 좋은 경우가 다반사이며 그것은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다.[2]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장신인 사람들이 다리가 긴 체형이라는 뜻이다. 모델은 키보다는 비율이지만 모델을 뽑을 때 키 제한이 있고 멀대같은 사람들이 주로 모델을 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비슷한 양태로 키에 비해 다리가 너무 짧아서 콤플렉스인 사람들 또한 장신보다 단신이 훨씬 많다. 물론 다리가 길다고 해도 그냥 다리 길이가 긴 거다리 길이가 키에 비해 긴 거랑은 개념이 다르긴 하다. 두 가지 다인 경우도 많다.

영어로는 piano leg... 말 그대로 피아노 다리라는 뜻.

일반적으로 추운지방에 살수록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신체 말단부위가 작아지며, 따라서 고위도 지방에 북방계보다 저위도에 가까운 남방계가 다리가 더 긴 편이다.[3] 그리고 신체 비율상 남자여자보다 숏다리로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다리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남자는 맨살을, 특히 다리 부분 살을 드러내는 의류가 적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인심 항목도 참조. 또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엉덩이가 도드라져서 하체가 강조되어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실제로 남자나 여자나 다리 길이가 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비슷하다. 오히려 성별 차이보다 개개인의 차이가 더 큰 편이다.

댄스스포츠 중에 지르박[4]이라는 춤이 있는데 유독 이 지르박 대회만 열리면 한국인들이 각종 상을 싹쓸이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지르박은 원래 다리 짧은 사람에게 유리한 춤'이기 때문이라고.

천지를 먹다 2에서, 플레이어 캐릭터들이 적장을 물리친 후, 적장의 이름을 대며 이 단어를 외쳐 적장을 조롱하기도 한다. 물론 몬데그린.

원래 이휘재가 유행시킨 롱다리와 짝을 이루는 유행어였다. 당시 숏다리로 불리던 사람은 빛나리로 유명했던 최성훈.

숏다리의 업그레이드판 표현으로는 농다리가 있다. 장농의 다리라는 뜻. 장농 지못미. 그리고 음가가 비슷하되 그 역사적의미가 깊은 솥다리가 있다. 좀 더 알고프면 천하삼분지계. 그밖에도 비누곽 다리라는 뜻의 곽다리, 리모콘다리 같다 해서 콘다리 같은 것도 있었다.

1.1 다리가 짧아 슬픈 사람/동물들

2 말린 오징어로 만든 식품

보통의 말린 오징어보다 작은 사이즈의 오징어가 들어있는데, 주로 전자렌지에 2~30초 정도 데운 뒤에 먹는다. 이 식품의 영향으로 숏다리를 검색하면 짧은 다리가 아닌 이 식품에 대한 글이 먼저 나오기 때문에, 숏다리로 돌려쓰던 패션 관련 글들에서도 '짧은 다리'로 재순화(?)하여 쓰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지널 맛 이외에도 매운맛의 숏다리가 존재. 기존 숏다리의 고소함이나 달짝지근함은 거의 느껴지지 않으나, 혀가 얼얼하다고 느껴질 정도의 매콤함이 느껴지기는 한다.

참고로 냄새가 상당히 강렬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가 많다. 편의점 기준으로 한 봉당 가격이 1,200원이다.

상당히 비싼 가격이다. (게다가 1+1,2+1같은 행사를 거의 하지 않는다)
  1. 이것은 식습관과 주생활의 변화에 따른 세대간의 체형 차이가 점점 벌어짐에 따라 생긴 현상이다. 저연령층에 해당되는 사람, 즉 10대~20대는 허리쪽보다는 다리가 많이 기는편이다. 쉽게 말해 기성세대가 키가 클때 다리가 3만큼 길었다면 허리는 4~5만큼 길었다고 치면 젊은층은 다리가 4~5만큼 길때 허리가 3~4만큼 길다.
  2. 설사 단신인 사람이 키에 비해 다리가 많이 긴편인 경우가 있다 한들 등신대에서 떨어져 전체적인 비율은 그럭저럭이 된다.
  3. 물론 베르그만의 법칙이 지구의 전 인종에게 적용된다고 볼 수 없다. 쉬운 예로 백인들 중 북방계에 해당하는 게르만 족과 동남아시아인들을 비교했을때 분명 게르만족이 훨씬 추운곳에서 적응했지만 키에 비해서도 동남아시아 사람들보다 팔다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다.그리고 여타 유럽인종인 라틴족과 슬라브족에 비해서도 마찬가지다. 당장 아시아만 볼 때도 북방 중국인이 남방 중국인보다 상하체 비율이 더 좋다.
  4. 원래는 지터벅이지만 미국에서는 t발음의 약세화로 지러벅이라고 하는 것을 일본을 거쳐 우리 나라에 알려지면서 지르박으로 굳어졌다. 참고로 한국어에선 지르박이 표준어다.
  5. 다리를 길어보이게 하려고 앉을때 다리를 자주 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