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엔진

파일:Attachment/23 5.png,

최신 버전 0.9.8.0버전의 트레일러. 2016년 8월 15일 기준으로 0.9.8.0 beta버전이 최신 버전으로, 이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그 이전 버전인 0.9.7.4 beta버전을 다운받고 싶은 위키러들은 여기서 0.9.7.2 버전을 먼저 다운받고, 여기서 0.9.7.3 버전을 다운받아야 0.9.7.4 버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참고로 0.9.7.4버전 들 중에서는 0.9.7.4-RC3가 최신버전으로 이곳 에서 다운받자.
더 이전 버전인 0.9.7.3 버전 역시 이전 버전 없이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니 0.9.7.2를 먼저 받고 실행해야 한다. 실행 안돼서 구글링하면서 헛짓거리 하지 말자.

홈페이지
이곳에 가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퀄리티가 엄청난 만큼 렉이 심하고 자주 튕기는 일이 발생한다.

1 개요

현존 최고의 과학적인 3D 우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스페이스 엔진(space engine)은 실제 우주와 비슷한 크기의 맵을 탐사할 수 있는 3D 우주 탐험 시뮬레이터이다.[1]현존하는 모든 무료 3D 우주 시뮬레이터 중 퀄리티가 가장 높고 가장 과학적인 프로그램이다. 태양계시리우스베텔게우스같이 메이저한 천체를 제외하고는 알고리즘에 따라 가상으로 생성되며 천체의 표면도 가상적으로 렌더링되기 때문에 표면을 탐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적이기는 하지만 과학적으로 타당한 이론을 바탕으로 천체의 표면이 렌더링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행성의 렉이 가장 심하다. 또한 우주선으로 우주를 탐사할 수 있으며, 행성이나 항성을 프로그램 내에서 일시적으로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백색 왜성의 질량을 증가시키고 반지름을 감소시켜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만들 수 있다. 셀레스티아와 마찬가지로 여러 애드온이 있으며, 설치 지침에 따라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주로 우주선에 관련된 애드온이 많다. 또한, 이곳으로 들어가면 공식적인 태양계 행성 애드온이 있어, 엄청난 용량을 감당할 자신이 있는 위키러는 스페이스 엔진 폴더의 addon폴더에 집어넣으면 퀄리티가 더욱 향상된 태양계 행성을 볼 수 있다.

개발은 러시아 개발자 한 명이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게임들보다 업데이트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게임이기도 하다.

스팀 그린라이트에 등록되어 있다.*

2 천체

크게 은하, 성운, 성단, 항성, 행성, 왜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등으로 나누어진다. 우주와 비슷한 크기의 맵 안에 수많은 천체들이 존재하나 보편성의 법칙에 따라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라고 하여 기상천외하거나 상식을 깨는 존재가 등장하지는 않고 정해져 있는 천체의 종류와 천문법칙이 전 우주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단, 실제로 우주에는 정말로 상식을 깨는, 태양계의 천체와는 아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언젠가는 이 요소들도 게임 내에 등장할 것이다.

2.1 은하(Galaxy)

-나선 은하(Spiral Galaxy)-
파일:Attachment/galaxy.jpg
대표적인 막대 나선 은하인 우리은하의 모습이다. 최신 버전에서는 우리은하 중심의 블랙홀인 Sgr A*가 추가되었다.

파일:GOfQXG.png
나선 은하의 모습이다. 나선 팔 부분에서는 청백색 주열성들을 많이 찾을 수 있다.

-타원 은하(Elliptical Galaxy)-
파일:GkGMeSq.png타원 은하의 모습이다. 그 유명한 IC 1101도 프로그램 내에 등장하며, 일반 나선은하나 불규칙 은하보다 대부분 크다. 중심핵의 블랙홀이 다른 은하보다 거대한 경우가 많다. 주로 적색 거성이나 적색 계열의 주계열성들이 많다.
-불규칙 은하(Irregular Galaxy)-
파일:9esTeOj.png불규칙 은하의 모습이다. 타원 은하나 나선 은하보다는 발견될 확률이 적다.

2.2 성운(Nebula)

파일:Ufyncb4.jpg타란툴라 성운사진의 성운은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성운이다.

파일:Oi5U7sq.jpg발광성운과 암흑 성운이다.

행성상 성운도 존재하는데, 구 버전에서는 중심부에 중성자별이 있었으나 최신 버전에는 버그로 인해 일시적으로 삭제된 상태이다.

2.3 성단(Cluster)

-구상 성단(Globular Cluster)-
파일:DlrMxW6.jpg구상 성단의 모습이다. 중심에 중간 질량의 블랙홀이 있는 경우가 많다. 태양계 주변과 비교하면 별의 밀도가 수십 배는 될 정도로 빽빽하며 이 곳의 천체에서 바라본 밤하늘은 금성이나 시리우스 급의 밝은 별이 가득 차 있는 진풍경을 연출한다.

-산개 성단(Open Cluster)-
파일:OODdqs3.png산개 성단의 모습이다. 주로 젊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상성단에 비해 찾기 어렵다.

2.4 항성(star)

2.4.1 일반 항성

-주계열성(Main Sequence Star)-
파일:Ihm5jq8.png
일반적인 청색 주계열성의 모습. 노출을 줄여 쌀알무늬(대류환)과 흑점 등이 보인다. 현실의 분광형 분류법과 동일하며, O,B,A,F,G,K,M형이 있다.

-거성(Giant)-
파일:YHKCvgz.png
적색 초거성의 모습. 거대한 대류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황색 거성, 적색 거성, 청색 거성 등이 있다. 사진은 베텔게우스를 찍은 것이다.

-왜성(Dwarf)-
파일:Attachment/star1 1.jpg
갈색 왜성의 모습. 질량이 부족해 주계열성에 비해 빛을 거의 내지 않는다.
L T Y 의 분광형으로 분류되는데 어두워질수록 목성형 행성과 크게 구분이 가지 않는 외형을 가지게 된다.

2.4.2 수축성

-블랙홀(Black Hole)-
파일:80Zklsm.jpg원반의 중심이 블랙홀이다. 사실 사진의 강착 원반 크기가 정상적인 크기이다. 우리 은하 중심의 거대 블랙홀 Sgr A*를 찍은 사진.

파일:E9D8lLC.png가르강튀아 매우 작은 강착 원반을 지닌 블랙홀이다. 원반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도플러 효과가 나타나 오른쪽 부분이 더 밝게 보인다.

파일:Space engine 0974 black hole.png 주변 공간이 왜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성자별(Neutron Star)
파일:SYWTPao.png자전 속도가 굉장히 빠르며, 또한 스페이스 엔진 전체에서 가장 강한 밝기를 자랑하는 천체이다. 블랙홀과 마찬가지로 중력 렌즈 효과가 두드러진다. 최신 버전에서 강착 원반이 추가되었다.

2.5 행성(planet)

옵션에서 '실제 밝기'를 켜고 볼 경우 어머니 항성과의 거리에 따라 행성의 밝기가 큰 차이를 보인다. 태양계의 경우 가까운 수성이나 금성은 말 그대로 눈이 부시게 빛나지만 멀리 떨어진 외행성은 우리가 익숙하게 봤던 것과는 달리 꽤나 어둡게 보이며 해왕성은 노출 시간을 6배 정도로 올려야 보이저가 전송한 그 색채가 나온다. 마찬가지로 외계 행성 중 M, K 등 어두운 어머니 항성을 도는 행성에 비해 청색 거성 등 밝은 별 주위의 행성은 엄청나게 밝으며 표면온도 또한 8-900 켈빈은 기본으로 찍을 정도로 지글지글 끓는 것으로 묘사되어 나온다.

- 형 행성(selena)

파일:Attachment/selena.jpg

달이나 수성과 비슷한 모습을 한 행성이다.

- 사막 행성(desert)

파일:Attachment/desert.jpg

금성, 화성과 같이 물이 없고 대지로만 이루어진 행성이다.

- 타이탄형 행성(titan)

파일:Attachment/titan.jpg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과 형태가 비슷한 행성으로, 외형은 지구형 행성과 비슷하지만 바다가 액체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다.

- 지구형 행성(terra)

파일:Attachment/terra.jpg

지구와 같이 대지와 바다로 이루어진 행성이다. 표면에 물이 티가 나지 않을 정도로 적어도 있기만하면 일단 이것으로 취급된다.

- 바다 행성(oceania)

파일:Attachment/oceania.jpg

표면이 대부분 바다로 뒤덮혀있는 행성이다.

- 얼음 행성(ice world)

파일:Attachment/iceworld.jpg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와 비슷한 형태의 행성으로 표면은 얼음으로 뒤덮혀있다.

- 가스 행성(gas giant)

파일:Attachment/gas giant.jpg

목성이나 토성같은 형태의 행성이다.

- 거대 얼음 행성(ice giant)

파일:Attachment/ice giant.jpg

천왕성이나 해왕성같은 형태의 행성으로 외형상 가스 행성과 차이점은 적으나 지름이나 질량이 가스 행성에 비해 작다.

  • 위성(moon)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로 분류는 행성과 동일하며, 소행성도 위성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심지어 질량이 작은 가스 행성이 더 큰 가스 행성 주위를 돌기도한다.

  • 왜행성(dwarf planet)과 왜위성(dwarf moon)

크기가 작은 행성과 위성이 여기에 속한다.

  • 소행성(asteroid)

파일:Attachment/asteroid.jpg

  • 혜성(comet)

파일:Attachment/comet.jpg

모항성에 접근했을때는 꼬리가 생겼다가 멀어지면 보통의 소행성과 같은 모습이 된다.

3 생물

행성이나 위성에는 드물게 생명체가 존재하기도 하는데 천체 분류뒤에 with life 표시가 붙으면 생명이 있는 천체이다. 보통이면 "terra" 또는 "oceania" 지형의 행성에 생명이 존재하지만 "desert"(사막)지형이나 심지어 가스 행성의 "aerial"(대기) 중에 생명이 존재할 때도 있다! 생명이 있는 천체는 없는 천체와 외형이 약간 다른데, 가령 지구형 행성의 경우 생명이 없으면 표면은 황무지처럼 보이지만, 생명이 있는 경우에는 표면이 식물같은 것으로 뒤덮여 있다. 다만 이러한 묘사는 언젠가 업데이트가 되면 바뀔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외계에 존재하는 생명들 중 광합성을 통해에너지를 생산하는 종류가 있을 확률은 비교적 드물기 때문이다. [2]

아직 지구 외의 천체에 생명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경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이에 따르면 본 프로그램은 보편적으로 생명체는 우주에 드글드글하다는, 대부분의 학자들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다.

  • 생물이 존재하지 않음

파일:Attachment/no 1.jpg

  • 생물이 존재

파일:Attachment/yes.jpg

대고바
  1. 대충 셀레스티아와 비슷한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행성이나 항성 등 전체적인 퀄리티는 스페이스 엔진이 훨씬 높다.
  2. 해양 생물(marine), 빙하 밑 생물(subglacial), 공중 부양 생물(floaters), 타이탄형 천체에 있는 생물들은 아직까지는 서로 육안으로 구분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