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사업자에 대해서는 시영운수 문서를, 배우 겸 권투선수에 대해서는 이시영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후주의 역대 황제 | |||||
초대 태조 곽위 | ← | 2대 세종 시영 | → | 3대 공황제 시종훈 |
묘호 | 세종(世宗) |
시호 | 예무효문황제(睿武孝文皇帝) |
연호 | 현덕(顯德 954년 1월 ~ 959년 6월) |
성 | 시(柴)/곽(郭) |
휘 | 영(榮) |
생몰기간 | 921년 10월 27일 ~ 959년 7월 27일 |
재위기간 | 954년 2월 26일 ~ 959년 7월 27일 |
후주의 제2대 황제. 제위 5년의 짧은 기간 동안 다른 군주가 30년 동안 할만큼의 업적을 쌓았다고 하는 명군.
이름은 시영(柴榮). 생애 921~959(재위: 954~959) 오대십국시대 후주의 건국자 곽위의 양자이다. 대개의 경우 후계가 없어 양자를 들일때 성씨가 같은 방계를 들이는게 보통이지만 특이하게 시영은 곽위의 아내의 조카, 다시말해서 곽위의 처조카이다. 이유는 시영의 비범한 능력을 곽위가 미리 알아봤기 때문. 고모부의 성인 곽위의 곽(郭)씨성을 받고 양자가 되었으나, 고모부가 죽은뒤 도로 시(柴)씨 성으로 돌아왔다. 곽위가 죽자 35세의 나이로 제위를 계승했다. 곽위의 눈은 틀리지 않았는지 이 시대 최고의 명군으로 뽑히는 인물이다. 즉위하자마자 거란과 결탁한 후한 유숭의 공격을 받았는데 조광윤의 활약으로 이를 격퇴했다. 이 여세를 몰아 분열된 중국의 통일사업를 계획하고 착수하여 후촉과 남당을 멸망시켜 장강 이북의 패권을 쥐었다.
내정적으로도 많은 개혁 정책을 실시해 농업, 조세 제도, 법제 개편 등의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이렇듯 나라를 잘 이끌어 나간 명군으로 북방의 요를 공격하여 연운 16주를 수복하기 위해 북정 길에 올랐으나 갑자기 병으로 쓰러졌고, 돌아오는 길에 제위 5년만인 39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일곱살 아들이 제위를 계승했으나 곧 군부의 장수들이 장군 조광윤을 황제로 옹립한다. 이를 진교병변이라고 한다. 송 태조 조광윤도 세종의 휘하에서 장군으로 많은 군공을 세웠다. 이 진교병번으로 송나라가 들어서게 되었다.
현덕 2년(955), 잔혹한 불교 탄압 정책으로 삼무일종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삼무일종에 대한 설명은 세조 항목의 북위 태무제 참고. 덕분에 그래서인지 몰라도, 송조 이후로는 불교 색채가 당대보다 상당히 연해진다.
흔히 '시세종(柴世宗)'이라고 불리며 수호지에 등장하는 소선풍 시진의 조상이 되는 인물로 송나라의 전신인 후주를 부강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는 사실상 송나라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이다. 요절만 안하고 후계자만 적절했어도, 중원통일은 시씨가 했을 지도 모를일이다. 조광윤 또한 그의 수하로 시작해 세종의 전폭적인 신뢰 지지를 받으며 군공을 세웠고 시세종에 강한 충성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시영은 죽기전 조광윤에게 거의 모든 군권을 넘기고 황실을 보호해 달라며 죽는다. 결과적으론 나라는 선양으로 빼았겼지만 그래도 절반은 맞았다.
송나라 건국 후에도 다른 막장 선양과는 달리 시세종과 그 후손들을 우대하여 시씨들은 송대에 많은 단서철권을 받거나 황실이 도망갈 때 끼워주거나 하는 등, 특권을 받으며 번성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