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설화 등 한국 문화 위주의 시베리아호랑이에 대해서는 시베리아호랑이/한반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시베리아호랑이 | ||||
Siberian tiger Amur tiger | 이명 : 아무르호랑이,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 | |||
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1884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식육목(Carnivora) | |||
과 | 고양잇과(Felidae) | |||
속 | 표범속(Panthera) | |||
종 | 호랑이(P. tigris) | |||
아종 | ||||
시베리아호랑이(P. t. altaica) |
카리스마 한민족의 시초가 될 뻔했던 존재
1 개요
현재 중국 북부 만주와 연해주 시호테알린 산맥 일대에 서식하며, 아무르호랑이, 혹은 백두산호랑이로도 불리는 호랑이.산군
호랑이 아종 중 가장 체격이 크다. 겨울에는 털이 길게 자라며 털빛은 옅은 편이다. 서식지가 광범위하며 기후, 지형 조건 등의 제약으로 인해 생태파악이 더디다.
일반적으로 연해주를 포함한 러시아 극동 지역을 편의상 '시베리아'라고 하기도 하나, 러시아에서 지리적으로 시베리아와 극동은 구분되는 다른 지역이기 때문에, 이름과는 달리 지리적 의미의 시베리아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민담등으로 잘 알려진 것처럼 한반도에도 서식하였으나, 현재 한반도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보고있다.
2 생태
민가로 내려와 소를 잡아먹는 시베리아호랑이의 모습. 2006년 12월 30일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 훈춘시(珲春市) 자연보호구에서 촬영됨.
보통 혼자서 생활하며, 토끼, 사슴, 멧돼지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12~1월에 번식기를 가지고, 약 3개월 가량 임신하여 한 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약 1kg이다. 새끼들은 3살까지 어미와 지내다 독립하며, 수명은 20년 정도이다.
3 한국호랑이, 동북호랑이
- 한국에서의 시베리아호랑이는 시베리아호랑이/한반도 문서를 참고할 것.
한반도에 서식한 시베리아호랑이는 러시아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덴노에 대한 경외를 담아 미카도라는 이름을 붙인 Panthera tigris mikado나 Panthera tigris coreensis라는 학명으로 명명되는 등, 독자적인 호랑이 아종으로 분류된 적도 있으나 호랑이와 같은 포유류는 활동영역이 넓어 좁은 범위에서의 아종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시베리아호랑이의 동물이명으로 여기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호랑이 하면 흔히 떠올리는 종이며, 한국에서는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로 친숙하고 중국에서는 동북호랑이(東北虎, 东北虎)라 불린다.
하지만 한국이나 중국, 시베리아와 연해주를 지배하고 있는 러시아 정도를 제외하면 서양이나 해외에서는 호랑이라고 하면 눈이 쌓인 추운 지역에 서식하는 시베리아호랑이보다는 열대,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벵골호랑이나 수마트라호랑이, 말레이호랑이 같은 종을 쉽게 떠올리는데, 이는 이들의 서식지인 남아시아, 동남아시아가 과거 서구권의 식민지였고, 이들 서구권의 학계에서도 벵골이나 수마트라 종을 중심으로 호랑이 연구를 많이 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서구권과의 접촉도 적었고, 냉전 당시 서식지(중국 만주, 러시아 연해주, 북한)가 서방 자본주의 국가들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던 공산주의권 국가들의 영토였었던 시베리아호랑이는 서구권에서 인지도가 덜 알려진 감이 있다.실제 서양권 매체에서 호랑이를 아시아 열대 지방의 정글이나 초원에서 사는 동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냉전체제가 종식되면서 시베리아호랑이도 서양권에서 연구가 시작되긴 했지만 그래도 벵골이나 수마트라, 말레이호랑이등에 비하면 서양에서의 인지도는 낮다.
4 보호운동
2009년 추정 야생개체수는 약 300여마리. 중국 동북부의 인구가 크게 늘면서 서식지 자체가 짜부라져 버린 탓이 크다. 근래에는 어떻게든 다시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중국의 경우 동물원에서부터 야생훈련적응을 시켜서 어느정도 자라면 방생을 시키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하얼빈의 동북호림원(东北虎林园)이 있다.
동북호림원은 96년에 중국정부가 시베리아호랑이를 전문적으로 사육하고 번식, 과학연구, 보호, 훈련, 감상 등을 위해 설립한 시설로, 2010년에는 이곳에 있는 호랑이 숫자만 1000마리를 넘었다. 현재 이곳에서 번식된 시베리아호랑이는 2015년에는 숫자가 꽤 늘어서 500마리 정도로 불었고 동물원에서 수십 마리 단위로 키워서 수를 늘리고 있다.
흔히 인터넷상에서 대륙의 동물원이라 불리는 호랑이들이 우글거리는 초원에 소나 닭 등을 풀어놓고 사냥하는걸 찍은 사진들 중 일반적인 중국의 동물원에서 촬영된 것도 있으나, 동북호림원의 사진이 대부분이다.[1]
올무에 걸려 부상당한채로 발견된 호랑이 빅터(Victor)가 보호소에서의 치료를 마치고 야생으로 방생되는 모습.(이미지 출처)
러시아의 경우 블라디미르 푸틴이 "시베리아 땅에 대형 야생동물 멸종을 막기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한다"라며 터전을 조성해서 다시 슬슬 늘어날 추세다. 러시아는 지구상에서 가장 땅이 넓은 국가임에도 인구가 고작 1억 5천만 수준이라서 땅이 남아돌다보니 호랑이가 마음껏 살게 할 조건이 충분하고, 불곰도 이런식으로 터전을 조성해 10만 마리까지 늘어난 만큼 호랑이도 충분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한반도에 서식한 개체군은 해수구제사업등 일제강점기때 결정적인 타격을 입고 최소한 남한에서는 멸종되었다고 보고 있다. 정확히는 1910년대 초반까진 관서, 관북 지방의 포수촌에서 호랑이를 잡으러 가네 마네 했지만 약 20년 후 스웨덴의 생태학자 베리만이 그렇게 잡으려고 함경도만 3번을 돌아다녔으나 결국 멸종했다고 결론지었다. 다만 1940년대까지는 호환의 기록이 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