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더 코올

파일:Attachment/Hero Maker - Image (94).jpg
파일:Attachment/Hero Maker - Image (95).jpg
1기에서의 모습
파일:Attachment/Hero Maker - Image (96).jpg
2기에서의 모습

1 개요

히어로메이커의 등장인물.

1기에서 성국에서 파견되어 주인공 일행을 돕던 그 성기사다. 무기는 랜스.[1] 클로앙의 삼촌이기도 하며 이름은 2기에서 공개되었다. 꽤나 실력있는 성기사며 크로덴도 인정했단다.[2] 그런데 정작 작중에서는 맨날 지기만 해서 패배의 아이콘으로 불린다. 평소에 잘해봐야 소용없다. 결정적일때 지면 일 뿐

잘늙었다
2기 책략 편 이후로 새하얗던 피부가 다른 인물과 비슷해졌다가 패전 편에서 새하얀 피부로 복귀했다.

2 작중행적

2.1 1기

1기 56화에 첫 등장. 성국에서 세날로 파견되던 중 마족 5명과 싸우고 있었다. 싸우던 도중 마족에게 빈틈을 주어 당할 뻔했으나 윌리엄 아셀이 도와줘서 모면했다. 이후 수왕에게 당한 일행들을 치유하고 세날 왕궁으로 가 살라나 공주의 실종을 알린다.

마왕 부활이 저지된 이후, 보라색 머리 뭉크를 데리고 성국으로 가던 중 명왕 달고나의 습격을 밭는다. 보라색 머리 뭉크는 영혼을 팔았기 때문에 적이 되었고, 바로 당하지는 않았지만 지왕 가스론의 연계 공격에 다리가 묶여서 붙잡한다. 그렇게 지왕 가스론의 숙주가 될 뻔 했으나 명왕이 지왕을 뒤치기해서 명왕에게 조종당한다.

144화에서 벤이 일행에서 등떠밀려 마튼 왕국에서 붙잡히고 탈출하려고 시도할 때 명왕이 조종하면서 등장. 조종당하지만 성기사 기술로 벤 카슬러를 공격하지만 벤이 검을 조각내서 공격하는 기술에 당하고 X팀을 맞아 패배한다. 다행히 162화에서 명왕의 몸에 갇힌 벤이 명왕의 핵을 파괴해서 붙잡힌 일행들과 풀려난다. 풀려난 이후 수왕 바무의 숙주였던 엘프와 보라색 머리 뭉크를 데리고 성국으로 간다.

206화에서 재등장하는데, 그간의 행적 때문에 1기 파티 구성원들에게 놀림받는다(...). 그래도 마왕 부활 2차전에서 성기사 단원들과 명왕의 결계를 무력화시키고 파티 구성원들에게 도움도 준다.

로엔의 승격 시험 뒤의 성국에 대한 언급에서 뭉클리아와 같이 있었는데 성국에 암흑기가 도래했다는 나레이션을 보고 충격을 먹는 것을 끝으로 1기 등장 끝.

2.2 2기

마왕 부활 저지 이후에도 계속 뭉클리아를 섬긴 것으로 보이며, 현재 성황 기사단장이자 뭉클리아 성황을 보좌하는 측근이 되어있다. 이름이 엔더 코올인데 직역하면 끝을 부른다는 뜻이다...... 성국 하무 지방에서 뭉클리아와 단 둘이 리스토브리슬콘 고던과 접선하려 했으나[3] 마튼의 왕자 측의 기습을 받아 그대로 호수로 추락한다.역시 패배의 아이콘 다행히 그의 조카 클로엔이 코올을 구출하고 리스토 일행과 합류해 마튼의 왕자를 제압했다. 그러나 디에서 콱이 이끄는 검은 달 기사단의 기습을 받아 왕자를 뺏기게 된다.

크로덴 퇴진 이후 최강의 검 시합에 출전해 뭉클리아 측 선거를 지원하려했으나 타오라 활활에게 저지당한다.

뭉클리아, 괴이체와 달리 크로덴의 힘이 필요하니 크로덴을 내치는 것을 반대했지만 크로덴의 계획이 나윌백 사제의 암살이라는 것을 알고 단념한 듯. 결국 크로덴은 뭉클리아 측 진영을 떠나버리고 성국은 역사상 첫 내전이 벌어지게 되었다. 현재 괴이체 군의 좌익을 맡은 상황.

여담으로 앤더 코올도 대주술사가 예언한 성국 쇠퇴의 주범 중 하나로 찍혔는데, 아마도 뭉클리아를 제대로 보필하지 못해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성국 내전에서 괴력으로 유명한 곰기사단장 오비경과 맞서 그를 기절시키지만 되려 그 덩치에 깔려 같이 리타이어 한다. 역시 패배의 아이콘! 좌익의 수장들이 리타이어하면서 승부를 예측할 수 없게 되었는데 다행이 리스토와 고던의 적절한 활약으로 첫 전투를 승리로 마무리했다. 오비경에게 깔려서 허리 부상을 입었다.

스노우 삼이 내놓은 계책인 북동 성기사학교 생도들을 지원군으로 요청하자는 제안을 괴이체와 함께 반대해서 철회시켰는데, 당장의 열세를 일부 만회할 수 있어도 성기사학교 설정상 서부와 동부 간의 지역갈등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동부 출신인만큼 염려한 듯.하지만 결과는... 결국 동서 지역갈등으로 내전이 확대되면서 서부 출신 성기사들은 다른 지역에서 대기시키게 된다.

패배 편에서 배신한 혁명군에게 진채가 기습을 받아 암살당할 뻔했으나 그의 조카 클로앙의 도움으로 모면한 뒤 혁명군과 대치중이다. 부르츠 2세의 언급을 보면 크로덴이 골드 수저 패거리와 대치할 무렵까지 잡지 못했다는 빠져나갔을 수도? 다만 괴이체와 코올이 이끄는 성기사군이 괴멸된 상황이라[4] 괴이체 군을 구원하려고 출발한 리스토 일행 및 성기사들이나 빠져나가는 괴이체에게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패잔병들은 크로덴과 함께 괴이체와 합류했지만 정작 본인은 뒤에 남아서 거기에 없었다. 뭉클리아의 수호기사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걸 자책하며 마지막으로 골드수저에게 뭉클리아의 시체가 농락되는걸 막고싶다며 남은것.

3 기술

검술은 크로덴, 패륜왕도 인정하는 실력자지만 성법이 약한 편이라고 한다. 그래도 HP+1 치유량을 보여준 커스...보다는 제대로 치유해준다. (자힐 +300, 1기 파티 힐 +40) 가장 많은 기술을 보여줬는데, 이는 1기에서 가장 많이 나온 성기사였기 때문이다.

  • 1기에서 보여준 기술
    • 돌풍: 밑의 기술과 달리 성법을 이용하지 않는 기술. 창을 휘둘러 돌풍을 만든다.
    • 신성한 방패: 적의 공격을 막는 방어기. 다만 일면만 방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신성폭발: 성법을 집중시켜 폭발하는 기술.
    • 빛의 결계: 신성한 방패와 비슷하지만 배리어를 쳐서 적의 공격을 막는 상위 기술.
    • 광혈의 창: 말 그대로 빛으로 열을 내는 기술. 어둠과 상성이 된다는 언급을 보면 성법을 활용한 기술인듯하다. 다만 상대가 명왕에게 세뇌당했고 뭉크였기 때문에 타격이 안들어간듯.
    • 성스러운 빛(가칭): 성법으로 상대를 누르는 기술. 명왕 달고나에게 세뇌당했기 때문에 실제 명칭은 불명.
  • 2기에서 보여준 기술
    • 성역: 개인이 아닌 성기사단 전체가 사용하는 광역기술. 성역 안의 같은 편의 힘을 증폭시켜 주지만 대신 움직일 수가 없다.
    • 징벌 가시밭길: 지면을 가시처럼 솟아나게 해서 공격하는 기술. 마튼의 왕자에게 제대로 타격을 준 기술이다. 다만 탑의 바닥이 심하게 손상된 상태에 쓴 바람에 고속 추락(...)한다. 제대로 이기는 법이 없는 안습캐릭
    • 성법 정화: 주변의 독이나 마기를 정화하는 기술.

4 패배의 아이콘

206화에서 벤 카슬러에 의해 명명된 별명. 1기는 파티 일행 한정으로 불린 것으로 보이지만, 2기에는 성황 뭉클리아, 브리슬콘 고던에게도 패배의 아이콘으로 불리고 있다(...)

그 이유는 이 사람이 상대방을 이기더라도 같이 리타이어 혹은 전투불능이 되버리기 때문. 현재까지 나타난 코올의 전적을 보면 이렇게 된다.

  • 중급마족과의 교전에서 윌리엄 아셀의 도움으로 위기 모면.
  • 지왕, 보라색 머리 뭉크와 2대 1로 상대하다 지왕에 의해 패배.
  • 명왕 달고나에게 정신지배 당한 상태로 벤 카슬러와 상대해 패배.
  • 마튼의 왕자의 일행이던 마족과 함께 호수에 추락.(그래도 마족은 쓰러트린듯)
  • 열세에 몰린 리스토 일행을 구해주지만 금간 바닥에 광역기를 써서 건물 붕괴(...)
  • 칠성기사단 오비경을 쓰러트리지만 오비경의 덩치에 깔려서 전투불능.
  • 혁명군의 배신으로 괴이체 군이 골드 수저 군에게 습격받아 패배 직전으로 몰렸다.

일단 설정상 크로덴, 패륜왕이 검술이 뛰어나다고 인정한 바 있고 성국이 자랑하는 칠성기사단장을 쓰러트릴 정도면[5] 충분히 성국 내에서 열 손가락에 들어가는 강자가 맞다. 다만 전후결과를 보면 아직까지도 깔끔하게 이긴적이 없어서 패배의 아이콘으로 불려지고 있다.

분명 코올은 죽일 생각으로 싸웠는데 기절밖에 시키지 못한데에 대하여 훈련을 열심히 했다고 칭찬을 했다.[6] 기본적으로 타락한 칠성기사단장 하나는 깔고 갈 실력으로 보인다. [7]
  1. 성국의 성기사들은 다들 무장으로 랜스와 방패를 사용하는데, 이 무기들은 오버 테크놀로지라서 평소에는 축소시켜서 소지하는게 가능하다.
  2. 실제로 패배의 아이콘이라는 별명과는 다르게 작중 당하기는했어도 실력으로 발리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상대방이 급습하거나 만만치 않은 적들이라서 그렇지 패배는해도 약자취급은 안당한다. 교주님은 실력은 인정받아도 엑스트라 취급인데… 안습의 교주님
  3. 성황기사단을 이끌고 오긴 했으나 근처에서 대기하라고 했다.
  4. 나인석 마을에 대기해 둔 서부출신 성기사 절반이 남아있긴 하다.
  5. 칠 성기사단장 급이 되야 상급 마족을 상대할 수 있다. 역시 1기 파티가 사기였다.
  6. 이건 코올이 오비를 높여줬을 가능성이 높은데, 기절에다가 여기저기에 창이 꽂혀있는 오비와는 다르게 코올은 제대로된 상처 하나 있지 않다. 그나마 갑옷에 발톱으로 낸 상처 하나 있을 뿐이며, 그마저도 갑옷을 뚫지 못했다.
  7. 거대한 곰으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과 금강급 방어술을 비롯한 곰 기사단장 특유의 능력을 생각해 보면, 이걸 이긴 코올은 충분히 강한 게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