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라하

1 개요

중국의 사서 주서(周書) 등에 보이는 백제군주의 칭호.

2 어라하와 건길지

어라하(於羅瑕)는 귀족들 사이에서 불리는 명칭인데 비해, 백성들은 을 건길(鞬吉支)라 불러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백제의 지배층과 백성의 종족 구성원이 달랐다[1]는 논의가 있지만, 조선의 경우도 신하들은 주상 혹은 전하 백성들은 나랏님 이런 식으로 부른 사례가 있어서 확실한 건 아니다.

3 상세

어라하와 건길에 대한 말이 쓰인 주서는 당태종 대에 위징(魏徵)의 총괄 아래 영호덕분(令狐德棻, 583~666) 등이 서기 629년에 쓰기 시작하여 636년에 편찬을 완료한 책이다. 책 자체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의 북주(北周, 557∼581)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북주가 있던 시대나 주서가 쓰인 시대 모두 백제가 한참 남쪽의 수도인 사비(부여)로 천도한 이후(523~660)이다.

한편 《일본서기》에서는 한반도의 왕들을 コニキシ(코니키시), コキシ(코키시) 등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것은 건길지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길지(吉支)'는 고대 한국어로 왕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이므로 건길지는 일반적으로 '큰(鞬)+왕(吉)+높이는 말(支)'로 풀이하고 있다. 조선 선조대에 발간된 광주판 《천자문》에서는 王자에 대해 '긔ㅈ. 왕'이라는 훈과 음을 달고 있는데, 이 때의 긔ㅈ.가 바로 吉支라는 것이 유력. '긔ㅈ.'는 '기자(箕子)'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원래 발음을 재구하려는 연구에서는 원래 발음을 근기시, 곤기시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
  1. 일단 기록상 백제의 초기 지배층은 부여, 고구려에서 내려온 자들이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