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금

泥師今, 尼師今, 尼斯今, 泥斯今

1 소개

신라 고유의 군주의 칭호. 14~16대에 걸쳐 약 330~390여년간 사용되었다. 이사금 표기에 쓰인 첫 글자의 발음은 '니'인데 현대 한국어의 두음법칙이 적용돼서 '이사금'으로 표기된 것이다.

2 의미

삼국사기》의 기록에 등장하는 김대문의 이야기에 따르면 이사금은 '잇금'[1]의 신라 방언으로 '이질금(尼叱今)'이나 '치질금(齒叱今)'이라고도 불리며[2] 이 호칭의 유래는 남해 차차웅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해 차차웅이 아들 유리 대신 사위 석탈해를 후사로 삼으라 유언을 남기고 사망하자 사람들이 유언대로 탈해를 차차웅으로 옹립하려 했는데, 탈해는 이를 사양하고 선대 차차웅의 적장자인 유리가 차차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남해 차차웅의 유언도 있고 해서 차차웅 자리를 사양할 뾰족한 명분이 없었고, 이에 "내가 듣자하니 이가 많은 사람이 현명하다 하니 잇자국 수를 세어서 더 많이 나오는 쪽이 차차웅이 되는게 어떻겠는가"라고 제안하였고[3] 이에 유리와 탈해가 각각 을 깨물어 잇자국의 수를 세어 '잇금'이 많은 남해의 아들 유리 이사금에게 왕을 양보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임금의 기원으로도 추측된다. 더불어 일각에서는 단군왕검왕검 또한 이 단어와 관련이 있지 않나 하는 설도 있다.

3 이 칭호를 사용한 군주

4 기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군주의 칭호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당대 발음은 닛금(조선시대 발음이기도 함)에 더 가까웠을 것이다. 조선시대에도 치아를 '니'라고 했는데 후대에 'ㅣ' 모음 앞의 ㄴ이 구개음화되면서 어두에서 발음하기 힘들어져 어두에서는 '이'가 되었다. 하지만 '어금니', '송곳니'처럼 어두 외에는 여전히 '니'로 읽혀 과거의 흔적이 남아 있다. 한자어의 두음법칙과 동일한 방식.
  2. 여기서 齒(치)는 본래 음대로 '치'라고 읽지 않고 훈을 따라 '니'(현대어식으로는 '이')로 읽었을 것이다. 고대에는 일본어에서와 비슷하게 한자를 훈으로 읽는 경우가 꽤 있었다. '질(叱)'은 전통적으로 ㅅ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전용됐다.
  3. 정확히는 이가 많다 = 나이가 많다 = 현명하다 라는 뜻이다. 당시에는 사람이 갓 태어났을땐 이가 없다가 자라면서 점차 이가 하나둘 나게 되니 나이가 많을수록 이가 더 많다고 생각했던듯. 영어로 wisdom tooth와는 관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