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전라남도 도지사

1 개요

1919년부터 쓰인 전라남도의 행정수장인 역대 도지사의 목록

1910년까지는 관찰사(觀察使)라고 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전라남도 관찰사는 1908년 6월에 부임한 신응희(申應熙)이다.

2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도지사

전라남도 도지사라는 직함은 1919년 8월에 기존의 전라남도 장관을 도지사로 개칭한 것이 최초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도장관을 포함했다.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 장관노세 다츠고로(能勢辰五郎)1910년 10월 1일 ~ 1911년 5월 15일전라남도 장관. 재임중 사망
2대 장관구도 에이이치(工藤英一)1911년 5월 24일 ~ 1916년 3일 28일
초대 도지사미야키 마타시치(宮木又七)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3대 장관. 1919년 8월부터 도지사
2대이스미 나카조(亥角仲蔵)1919년 9월 26일 ~ 1921년 8월 5일
3대원응상(元應常)1921년 8월 5일 ~ 1924년 12월 1일
4대장헌식(張憲植)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5대석진형(石鎭衡)1926년 8월 14일 ~ 1929년 1월 19일
6대김서규(金瑞圭)1929년 1월 19일 ~ 1929년 12월 11일
7대바바 세이이치(馬場精一)1929년 12월 11일 ~ 1931년 9월 23일
8대야지마 스기조(矢島杉造)1931년 9월 23일 ~ 1935년 2월 20일
9대곤도 츠네나오(近藤常尚)1935년 2월 20일 ~ 1936년 6월 29일
10대마츠모토 이오리(松本伊織)1936년 7월 6일 ~ 1937년 7월 3일
11대신카이 하지메(新貝肇)1937년 7월 3일 ~ 1940년 9월 2일
12대엄창섭(嚴昌燮)[1]1940년 9월 2일 ~ 1943년 9월 30일
13대효도 슌(兵頭儁)1943년 9월 30일 ~ 1945년 5월 20일
14대야기 노부오(八木信雄)1945년 5월 20일 ~

3 미 군정 시기 전라남도 도지사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펩크(D. R. Pepke)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22일현역 미 육군 대령
2대길버트1945년 9월 23일 ~ 1946년 10월 22일현역 미 육군 소령
3대줄리어스 린트너(Julius H. Lintner)1945년 10월 23일 ~ 1946년 1월 19일현역 미 육군 중령
4대랄프 F. 갤러기(Ralph F. Gallogy)1946년 1월 20일 ~ 1946년 2월 14일현역 미 육군 중령
5대최영욱(崔泳旭)1946년 2월 15일 ~ 1946년 10월 15일
6대서민호(徐珉濠)1946년 10월 16일 ~ 1947년 7월 9일
7대박건원(朴乾源)1947년 7월 10일 ~ 1948년 8월 14일
8대1948년 8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정부수립 후 인선 지연으로 유임

4 대한민국 전라남도 도지사

logo.jpg

대수이름임기정당도정구호
관선(임명직)
초대이남규(李南圭)1948년 10월 18일 ~ 1950년 4월 30일
2대박철수(朴哲洙)1950년 5월 1일 ~ 1951년 12월 16일
3대이을식(李乙植)1951년 12월 17일 ~ 1953년 11월 22일
4대추규영(秋圭映)1953년 11월 23일 ~ 1955년 2월 24일
5대민병기(閔丙祺)1955년 2월 25일 ~ 1956년 9월 23일
6대이기세(李埼世)1956년 9월 24일 ~ 1959년 5월 12일
7대황성수(黃聖秀)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8대이하영(李夏榮)1959년 5월 13일 ~ 1959년 8월 10일
9대민영남(閔泳南)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6일
10대최의남(崔義南)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30일
민선(선출직)
11대민영남(閔泳南)1960년 12월 31일 ~ 1961년 5월 23일
관선(임명직)
12대송호림(宋虎林)1961년 5월 24일 ~ 1963년 7월 22일
13대김용관(金容寬)1963년 7월 23일 ~ 1963년 12월 18일
14대신용우(申庸雨)1963년 12월 19일 ~ 1966년 1월 28일1.2.3 운동의 달성[2]
15대김보현(金甫炫)1966년 1월 29일 ~ 1969년 10월 21일새희망 새건설 새전남
16대김재식(金在植)1969년 10월 25일 ~ 1973년 9월 25일근면협동으로 알찬전남건설
17대허련(許鍊)1973년 9월 26일 ~ 1975년 11월 12일총화약진
18대고건(高建)1975년 11월 13일 ~ 1979년 1월 9일새마을 새전남
19대장형태(張炯泰)1979년 1월 10일 ~ 1980년 5월 27일새의지로 새전남을
20대김종호(金宗鎬)1980년 5월 28일 ~ 1982년 1월 4일400만의 화합 약진 새전남
21대김창식(金昶植)1982년 1월 5일 ~ 1984년 10월 9일400만의 대화합 앞서가는 새전남
22대전석홍(全錫洪)1984년 10월 10일 ~ 1988년 2월 25일400만의 대화합 풍요로운 선진전남
23대문창수(文昌洙)1988년 2월 29일 ~ 1988년 10월 3일새시대 새전남 우리의 힘으로
24대송언종(宋彦鐘)1988년 10월 4일 ~ 1990년 6월 20일살기좋은 새전남 건설
25대최인기(崔仁基)1990년 6월 21일 ~ 1991년 2월 18일300만의 애향자조
살기좋은 새전남
26대백형조(白亨祚)1991년 2월 19일 ~ 1992년 4월 20일
27대이효계(李孝桂)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300만이 한마음 희망에 찬 새전남
28대이균범(李鈞範)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
29대구용상(具龍相)1993년 12월 28일 ~ 1994년 9월 23일대화합 큰 전진
30대조규하(曺圭河)1994년 9월 24일 ~ 1995년 6월 30일
민선(선출직)
31대허경만(許京萬)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민주당기회와 희망의 전남건설
32대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새정치국민회의새롭게 도약하는 전남
33대박태영(朴泰榮)2002년 7월 1일 ~ 2004년 4월 29일새천년민주당소득 창출로 잘사는 전남실현
권한대행송광운(宋光運)2004년 4월 30일 ~ 2004년 6월 5일[3]
34대박준영(朴晙瑩)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새천년민주당미래를 여는 풍요로운 전남
35대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3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민주당
37대이낙연(李洛淵)2014년 7월 1일 ~ 현직새정치민주연합생명의 땅, 전남
  1. 창씨명 다케나가 가즈키(武永憲樹)로 활동. 1890년 평안남도 대동군 출신. 공교롭게도 같은 이름의 1891년생 충남 부여 출신 독립운동가 엄창섭이 있다. 둘 다 한국전쟁의 혼란기 탓에 언제 세상을 떴는지 알 수 없다.
  2. (1) 1만정보 농토확장 (2) 2천만불 수출달성 (3) 300일 노동전개
  3. 박태영의 자살로 대리직을 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