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 이씨

延安 李氏

대한민국의 성씨.

1 시조유래

시조 이무(李茂)는 본래 당나라 출신으로, 고종(高宗 : 당나라 제 3대 왕, 재위기간 : 650 ∼ 683)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내다가
660년(신라 태종무열왕 7년) 나당 연합군 대총관 소정방의 부장(副將)이 되어 신라에 들어와 백제를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연안후(延安侯)에 봉해졌다.삼국 통일 뒤 소정방이 신라도 공격하려 하자 소정방에게 맞서서 신라 침공을 반대하였다.
그 뒤 백제 여인과 만나 혼인한 뒤 신라에 귀화하게 되었다... 이 때 임금이 식읍으로 내려준 곳이 황해도에 있는 연안이었다.

2 본관

후손들이 시조가 식읍으로 하사받은 연안(延安) 땅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되고 정확한 계대를 알지 못한다.

3 명문가

조선조 8명의 정승과 7명의 대제학과 청백리 6명,문과급제자 250명을 배출한 명문이다.

연안이씨를 중흥시킨 사람은 연성부원군 이석형이다.
세종대왕때 문과에 장원하고 성종 때까지 무려 6대를 섬긴 명신이며 훈구파로서 정인지고려사치평요람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의 현손에 월사 이정구와 6세손 이귀가 있어 연안이씨 가문을 명문의 위치로 올려 놓았다.
월사 이정구는 우리 역사상 한문학 대가로 손꼽는 학자로서 신흠(申欽), 장유(張維), 이식(李植)과 함께 조선중기 4대문장가로 일컬어진다. 월정 윤근수의 문인인 그는 선조 때 대제학을 지냈고 인조 때 우의정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백주 이명한도 인조 때
이조판서. 대제학에 올랐으며 이명한의 맏아들 청호 이일상이 효종 때 대제학에 올라 3세에 이은 문형을 배출하였다.

이는 세도가나 왕실을 제외하면 조선조 등과인원수가 236명으로 가장 많은 과거급제자를 배출하였다.얼마나 과거급제자가 어찌나 많았는지 조선 후기 때 특정 가문만 독점했던 비변사의 13%가 연안 이씨였다.

사족으로 어느 판본에는 춘향전이도령이 이 성씨로 나온다.

4 분파

족보에 등재된 분파명과는 약간 차이가 있을수 있다.

◎태자첨사공파 분파(시조세대 = 중조세파 + 15세)[1]

별제공파 別提公派(관 寬; 13세),
금성공파 金城公派(엽 曄; 13세),
이천공파 伊川公派(세안 世安; 12세),
소윤공파 少尹公派(온량 溫良; 12세),
판관공파 判官公派(인휴 仁畦; 10세),
진위공파 振威公派(오 塢; 11세),
경주공파 慶州公派(전 ?; 11세),
별좌공파 別坐公派(번수 蕃壽; 12세),
재령공파 載寧公派(대승 大升; 12세),
사평공파 詞平公派(공승 公升; 12세),
삼척공파 三陟公派(말 말[土+末]; 11세),
내의정공파 內醫正公派(하손 夏孫; 11세),
현령공파 縣令公派(언성 彦性; 13세),
전주공파 全州公派(언경 彦憬; 13세),
장령공파 掌令公派(언침 彦?; 13세),
진사공파 進士公派(언핍 彦?; 13세)


◎ 판사공파 분파(시조세대 = 중조세파 + 16세)[2][3]

좌랑공파 佐郞公派(선민 先民; 14세)
쌍계공파 雙溪公派(번민 蕃民; 14세),
판관공파 判官公派(관민 寬民; 14세)
승사랑공파 承仕郞公派(광현 光玹; 15세),
좌랑공파 佐郞公派(제민 悌民; 14세)
호군공파 護軍公派(충민 忠民; 14세),
서민공파 恕民公派(서민 恕民; 14세)
진사공파 進士公派(주 澍; 14세),
윤공파 淪公派(윤 淪; 14세)
응립공파 應立公派(응립 應立; 14세),
응현공파 應賢公派(응현 應賢; 14세)
흥무공파 興茂公派(흥무 興茂; 14세),
흥창공파 興昌公派(흥창 興昌; 14세)
장수공파 長水公派(빈 ?; 14세), - ? : 표기불가능
세마공파 洗馬公派(지 贄; 14세)
참봉공파 參奉公派(현 賢; 14세),
지평공파 持平公派(보 寶; 14세)
통덕랑공파 通德郞公派(갱 : 14세) = 주부공파(主簿公派)(시민 時敏:15세)
사우당공파 四友堂公派(시담 時聃; 15세)
충정공파 忠定公派(귀 貴; 14세),
직장공파 直長公派(경한 景漢; 14세)
수한공파 守漢公派(수한 守漢; 14세),
주부공파 主簿公派(신 愼; 14세)
참군공파 參軍公派(뇌 ?; 14세),
찰방공파 察訪公派(빈 賓; 14세)
죽창공파 竹窓公派(시직 時稷; 15세),
시겸공파 時謙公派(시겸 時謙; 15세)
시성공파 時省公派(시성 時省; 15세),
시회공파 時晦公派(시회 時晦; 15세)
교관공파 敎官公派(괴 ?; 14세),
교위공파 校慰公派(신 ?; 14세)
동지공파 同知公派(천 ?; 14세),
언우공파 彦佑公派(언우 彦佑; 14세)
언종공파 彦宗公派(언종 彦宗; 14세),
사직공파 司直公派(경흥 景興; 14세)
교관공파 敎官公派(복흥 復興; 14세),
장사랑공파 將仕郞公派(중흥 中興; 14세)
현공파 鉉公派(현 鉉; 14세),
종공파 鍾公派(종 鍾; 14세)
연공파 鍊公派(연 鍊; 14세),
용공파 鏞公派(용 鏞; 14세)
전공파 銓公派(전 銓; 14세),
참봉공파 參奉公派(노 櫓; 14세)
성제공파 城齊公派(추 樞; 14세),
추담공파 秋潭公派(남 楠; 14세)
감찰공파 監察公派(즙 楫; 14세),
별제공파 別提公派(장 檣; 14세)
봉사공파 奉事公派(제 梯; 14세),
사복시정 司僕寺正 欄派(란 欄; 14세)
승지공파 承旨公派(영 木+英; 14세),
사복시정 司僕寺正 樺派(화 樺; 14세)
월사공파 月沙公派(명한 明漢; 14세),
사복시정 司僕寺正 俊漢派(준한 俊漢; 14세)
익한공파 翼漢公派(익한 翼漢; 14세),
창한공파 昌漢公派(창한 昌漢; 14세)
경한공파 經漢公派(경한 經漢; 14세),
계정공파 繼鄭公派(계정 繼鄭; 14세)
인춘공파 仁春公派(인춘 仁春; 14세),
별좌공 別坐公 逢春公派(봉춘 逢春; 14세)
덕희공파 德禧公派(덕희 德禧; 14세),
덕록공파 德祿公派(덕록 德祿; 14세)
덕량공파 德良公派(덕량 德良; 14세),
진충공파 盡忠公派(진충 盡忠; 14세)
택룡공파 澤龍公派(택룡 澤龍; 14세),
사립공파 士立公派(사립 士立; 14세)
천립공파 天立公派(천립 天立; 14세).
생원공파 生員公派(흥림 興林:8세)[4][5]
감찰공파 監察公派(덕림 德林:8세)[6]
평장사공파 平章事公派(안군 顔君:2세)[7]

◎ 통례문부사공파 분파(시조세대 = 중조세대 + 18세)

소윤공파 少尹公派(척 ?; 3세),
남대공파 南臺公派(남대 南臺; 4세),
정랑공파 正郞公派(보민 補民; 5세),
현감공파 縣監公派(숭경 崇經; 6세),
충간공파 忠簡公派(숭원 崇元; 6세),
승정공파 承政公派(숭윤 崇允; 6세),
직강공파 直講公派(숙황 淑璜; 6세),
현감공파 縣監公派(숙형 淑珩; 6세),
감찰공파 監察公派(숙규 淑珪; 6세),
정양공파 靖襄公派(숙기 淑琦; 6세),
문장공파 文莊公派(숙감 淑?; 6세).


◎ 대장군공파 분파
대장군공파는 파계의 확인이 늦은 관계로 다른 파에서 볼 수 있는 지파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위의 파들은 모두 현재까지 이어져오나, 아래의 파들은 모두 현존하지 않는 파이다.

◎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 영광군사공파(靈光郡事公派)

◎ 예부상서공파(禮部尙書公派)[8]

◎ 이부시랑공파(吏部侍郞公派)

◎ 전법판서공파(典法判書公派)

◎ 판도정랑공파(版圖正郞公派)

5 집성촌

평남 평원군
함남 정평군
충북 괴산군
경북 김천시
경남 거창군

6 실존인물

  1. 청백리를 다수 배출한 파이다
  2. 판사공파는 분파의 수가 약 70여개로 그 수가 굉장히 많은데, 이들 중 5개의 파를 제외하면 전부 저헌 이석형으로부터 시작된 저헌공파(저헌 문강공파)에 속한다
  3. 즉 판사공파의 거의 대부분은 저헌공파이다
  4. 저헌공파가 아닌 남쪽에선 극히 레어한 파이다
  5. 거의 전원이 연안과 개성에 거주했기 때문. 2002년 족보를 보면 25세 이후 세대는 갱신이 거의 되어있지 않다. 이유는 남으로 내려오지 못해서...
  6. 저헌공파가 아닌 파이다
  7. 저헌공파가 아닌 파이다
  8. 현존하지 않는 파들중 그나마 가장 최근까지 존재했던 파로, 적어도 1900년대 초반까지는 남계 후손이 존재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후손이 끊어진것으로 보인다.
  9. ebsi 뉴탐스런 생활과 윤리 강의에서 연안이씨임을 밝힌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