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구파

조선의 붕당
훈구파사림파
동인서인
북인남인소론노론
대북소북청남탁남준론완론시파벽파
* 붉은 계열은 강경파, 푸른 계열은 온건파

勳舊派

1 개요

조선 세조 공신 세력을 중심으로 형성된 관료집단. 정인지, 신숙주, 최항, 권람, 서거정, 양성지, 이석형, 강희맹, 이극돈 등이 있다.

흔히 관학파와 같은 의미로 알려져 있으나, 훈구파는 그 중 계유정난에 동조한 일부 관학파 계승자로 볼 수 있다. 때문에 "관학파 = 훈구파가 기반 잘 깔아놨더니 사림이 다 말아먹었다!"는 식의 개소리잘못된 인식이 널리 퍼지는 데 밑바탕이 되기도 하였으며, 이는 붕당에 대한 오해, 심하게는 당파성론으로 대표되는 식민사학과도 연결되는 문제이다. 훈구파는 세조를 도와 관학파를 몰아내고 자리를 잡거나, 변절한 관학파 세력(전자는 한명회, 후자는 신숙주가 대표적이다.)이라고 보면 된다.

대체로 유능하지만 부패한 세력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로는 조선 중기 국가 막장 테크를 밟는데 일조를 하였다. 세조 시기 이들이 공신이 된 뒤 후대에는 권신으로 이어진 면이 있다. 이들은 고리대와 자신들이 소유한 대토지의 이점 등을 활용하여 재산을 확대하였으며, 이로 인해 농민들은 유랑민 신세로 전락하였다. 이는 왕실 내수사와도 연관되어 큰 폐단이 되었으며 조광조 등 신진 사림 세력이 비판하고 나선 것도 바로 이런 부분이었다.(그러나 훈구파에도 크게 두가지 파벌이 존재한다. 한명회, 신숙주로 대표되는 정난공신파와 이후 이징옥 이시애의 난에서 공을 세운 신공신파로 나뉜다. 정난공신파의 등쌀에 시달린 세조가 단종 사사후에 의도적으로 신공신파를 지지해준다. 신공신파의 대표인물이 남이,박원종. 예종 즉위 즉후 남이가 역모에 몰려 죽은것과 예종 승하후 예종의 적자 제안대군과 세조의 장손 월산대군이 모두 임금이 되지 못한건 정난공신파가 신공신파를 견제한것이다.(예종이 중용한 인물도 신공신파 월산대군의 처남 박원종도 신공신파) 정난공신파는 갑자사화때 완벽히 몰락하고 쿠데타(중종반정)으로 집권세력이 된 신공신파는 명종때 까지 권력을 누린다.)

물론 세조 때부터 성종 때까지의 문화 사업 정리가 이들의 주도 하에 이루어지고, 농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해안 간척지 등이 늘어난 등의 공[1]이 있으나 갈수록 민생은 어려워졌고,[2] 조정에서 은퇴한 훈구 관료들이 유향소 직원으로 내려오는 등 지방 중소 지주 세력에 대한 압박이 심해졌다. 이에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던 성종 등의 이해와 맞물려 사림이 등용되었고, 이들이 충돌한 끝에 사화 등의 대립이 시작되었다.

사림과의 대결로 훈구의 세력이 축소된 것은 맞으나 엄밀히 말하면 훈구와 사림의 대결에서 사림이 훈구를 이긴 것은 아니었다. 훈구 세력이 소멸한 것(대윤으로 이어진 측에서는 변화한 것)은 명종 시기 윤임(대윤)과 윤원형(소윤) 등 외척(척신) 세력이 커지고 이 과정에서 을사사화가 일어난 것 때문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살아남은 과거 훈구파들은 외척 세력과 사림에 녹아들었다. 그것도 지식층이면서 실질적인 관료집단이기도 해서 매우 쉽게... 과연 편바꾸기의 천재들

2 나무위키에 등재된 훈구파 인물

  1. 그나마 이것도 좋다고만은 볼 수 없는 것이, 여기에 들어가는 노동력은 내수사와 이에 딸린 소작농들을 동원해서 나왔고, 이렇게 늘어난 토지는 다시 고리대에 이용되었기 때문.
  2. 흔히 세도정치기의 전유물로 알려진 삼정의 문란은 15세기부터 조선의 문제점으로 자리잡았다. 그나마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후 세제 개혁이 본격화되었으나 교과서에서 설명하듯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