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접대차

TalentJacobsBogie.jpg
642px-Jacobs-bogie-of-JR_East_E331.jpg
위 : 봉바르디에 탈렌트의 연접대차
아래 : JR 동일본 E331계 전동차의 연접대차

연접대차/관절대차
連接臺車/關節臺車
Articulated bogie, Jacobs bogie

열차의 차량와 차량사이에 대차가 존재하는 형태의 대차.[1]

1 개요

보통의 대차철도차량 1량에 2개 ~ 3개가 달린다. 하지만 대차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과적을 피하려면 차량을 가볍게 만들어야 하고, 비싼 쇳덩어리가 뭉텅뭉텅 들어가니 차량 가격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대차 하나를 공유하게 만드는 잔머리를 써서 전체 중량을 가볍게, 탈선 등 사고에도 더 안전하게, 그리고 재료를 덜 써서 값싸게 만들어 보자고 나온것이 연접대차.

연접대차를 가진 차량의 경우 대차 1개를 앞 차량과 뒷 차량이 공유한다. 그러니까 대차 하나로 양다리를 하는 셈. 연접대차의 경우 열차 충돌사고시 잭나이프 현상을 방지할수 있어 더 안전하다고 하지만 그것도 어디까지나 고속으로 올라가면 인수분해되는건 마찬가지다.[2] 그래도 네 건의 TGV 탈선사고 중 강가로 추락한 사건 하나 빼고는 고속에서 탈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접대차가 끈질기게 버텨서 경상 내지 중상의 환자 몇 명만 냈기에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사실 이건 연접대차보다는 이 항목 하단의 '관절대차'의 특징이기도 하다. 힌지에 의해 사행동이나 잭나이프 현상이 현격히 억제되기 때문이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유지보수가 까다롭다는 점,[3] 편성 조절이 어렵다는 점, 좀비사태시 감염자들이 있는 승객칸을 분리시킬 수 없다는 점, 1량당 2축만으로 차량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차량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차량의 경량화에 집중해야 하는등 이래저래 많이 쓰이지는 않는 방식이다. [4][5]

한국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료 등에서 관절대차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엄밀히 말해 KTX의 관절대차는 연접대차에 신축형 힌지를 보강하여 문자 그대로 팔꿈치 관절처럼 이어붙여 신뢰성을 높인 것이다. 일단 나무위키에서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자어인 연접대차를 표제어로 항목이 개설되어 있다.

2 적용 차량

대표적으로 프랑스TGV가 연접대차를 채택했지만, 그 외에도 유럽의 통근형, 근교형 전동차 중에는 차량 가격을 싸게 후려치고 경량화를 꾀하고 갱웨이 설계를 쉽게 하기 위해서 연접대차를 채택한 차량이 많다. 동차에만 쓰인 것도 아니라 차체가 두 쪽으로 나눠진 Bo'Bo'Bo' 기관차의 경우 가운데 대차를 연접대차로 만들어서 곡선 통과를 용이하게 한 모델도 있다. 또한 일본 오다큐전철의 로망스카와 에노덴 전 차량, 히로시마 노면전차중 일부 차량에서도 널리 쓰이는 방식이다. 역시 세상에 새로울 것은 없군

  1. 좀 더 쉽게 말하면 차량 마다 바퀴가 달린 것이 아니라, 차량 사이에 바퀴를 달아놓은 종류. 때문에 객차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2. 그런데 경부선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에서 보여줬듯이, 적어도 비(非) 연접대차 보다는 잭나이프 현상을 예방할수가 있다.
  3. 유지 보수 안하면 요렇게 될 수도 있다.
  4. 그래도 연접대차 쓴 기차들 중 상당히 유명한 기차도 많다. TGVAGV 그리고 KTX 같은 기차가 있다.
  5. 차량 길이에 제한이 있는 한편, 대차의 축간거리는 어느 정도 길어야 한다는 점도 있다. 그래야 객차 길이를 다른 차량과 얼추 비슷하게 늘릴 수 있기 때문인 듯. KTX 차량들의 경우 관절대차의 축간거리가 3m로 다른 차량보다 길다. 수도권 전철 차량들의 대차 축간거리는 2.1m, 무궁화호, 새마을호 등은 2.1~2.5m 정도이다.
  6. 일부 예외 존재. 항목 참조.
  7.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예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