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1

KTX

틀:코레일의 열차 등급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통근형수도권131x (1호선)3 (3호선)341 (4호선)
321 · 331 (경의·중앙)361 (경춘) · 3681 (ITX-청춘)351 (분당·수인)371 (경강)
부산·경남381 (동해)도입예정 (경전)
대구·경북도입예정 (대구광역)
충청도입예정 (충청광역)
간선형200 (누리로) · 210 (ITX-새마을) · 3681 (ITX-청춘)
고속열차100 · 110 · 1202 · 140 · EMU-250 (도입예정) · EMU-300 (도입예정)
윗첨자1 : 여객운송약관에 준하여 운영되는 차량이며, 간선형에 준하는 사양으로 간선형으로도 분류
윗첨자2 : 코레일이 소유한 차량이지만, 주식회사SR에 임대되어 사용중
width=100%
KTX 로고
운행 중인 모습
공항철도 검암역 진입및발차 모습영상
시속 300km로 천안아산역을 통과중인 모습

1 개요

코레일이 최초로 인수한 KTX 차량이다.

사실 차량의 정식 명칭은 KTX이다. KTX-1이라는 이름은 2000년대 후반에 개발되고 있었던 임시명칭 KTX-II, 현재의 KTX-산천과 구분하려는 목적에서 지어진 비공식적 명칭이지만, 동호인들은 KTX-1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1편성 20량, 총 46편성이 반입되었다. 이 중 양끝 1량씩은 기기와 운전석이 있는 동력차이며, 그 사이에 객차 18량이 있다. 1호차와 18호차(대차 번호로는 3번, 21번)는 하부에 모터를 달고 있는 동력객차로, 이곳에서는 주행중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느낄 수 있다. 대부분의 KTX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

100000호대 차번을 부여받았다. 코레일 열차 중 10만번대 차번은 KTX-1이 최초이다. 또한 KTX-산천 140000호대가 출고이후 차량번호가 개편되면서 KTX-1은 기존 1~46호에서 0번대 001~046호로 개정되었다. 100번대는 KTX-산천 110000호대, 200번대는 120000호대, 300번대는 130000호대, 400번대는 140000호대에 배정한 것을 보면 앞으로는 모든 고속철도 차량번호를 통합 관리할 생각인 듯.

KTX-산천과 다르게 중련이 불가능하다. 전방에 연결기가 있긴 하지만, 이는 단순히 입환 혹은 구원당할 때 사용하는 용도의 AAR 타입 연결기이다.

철도 동호인들은 KTX-산천처럼 KTX-1을 물고기에 비유하여 '상어'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실제로 공기저항 디자인 설계의 모티브가 다름아닌 상어다.

2 사양

열차 형식고속선 입선용 고속열차
구동 방식전기 동력집중식 열차
운행 노선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급전 방식교류 25000V 60Hz
편성출력13200KW
영업최고속도305km/h
안전한계속도330km/h
평탄선 균형속도354.7km/h
가속성능기동가속도: 1.6kph/s 이상
가속여력: 0.26kph/s( 300km/h일 때)
0-300km/h 가속시간: 6분 5초
0-300km/h 가속거리: 20.2km
감속도상용 3.5 km/h/s
비상 4.5 km/h/s
견인력출발시: 382 KN
300km/h 주행시 : 158.4 KN
신호방식TVM-430 : 고속선
ATS/ATP : 기존선
제작 회사알스톰, 현대로템
도입 연도1997년 ~ 2003년
차체연강(Mild steel)
제어 방식사이리스터 위상 전류형 인버터제어(GTO) [1]
동력 장치3상 교류 전자석 동기전동기
제동 방식발전제동, 회생제동, 공기제동
편성 대수20량
대차동력차: 통형고무식 볼스터리스대차
객차:한쪽지지 액슬빔식 볼스터리스 대차
편성 길이388,104 mm
전장동력차: 22,517 mm
동력객차: 21,845 mm
객차: 18,700 mm
전폭동력차 2,814 mm
동력객차 2,904 mm
객차 2,904 mm
전고동력차 4,062 mm
동력객차 4,100 mm
객차 3,484 mm
차중공차: 694t
영차: 771.2t

편성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쪽이 서울/용산/행신/인천국제공항 방면, 아래쪽이 부산/목포/포항/진주/여수EXPO 방면이다.

10XX51Pc(동력차)
10XX01MT1(동력객차-옛 영화객실, 56석)
10XX02T2(특실, 25석)
10XX03T3(특실, 35석)
10XX04T4(특실, 32석)
10XX05T5(특실, 35석)
10XX06T6(일반실, 56석)
10XX07T7(일반실, 60석)
10XX08T8(일반실, 56석)
10XX09T9(일반실, 60석)
10XX10T10(일반실, 60석)
10XX11T11(일반실, 56석)
10XX12T12(일반실, 60석)
10XX13T13(일반실, 56석)
10XX14T14(일반실, 60석)
10XX15T15(일반실, 56석)
10XX16T16(일반실, 60석)
10XX17T17(자유석, 56석)
10XX18MT18(동력객차, 자유석, 56석)
10XX52Pc(동력차)

3 객실 및 편의시설

  • 시트피치: 좌석간 간격(시트피치)는 930mm으로 오리지널격인 TGV보다 넓음에도 불구하고, 워낙 넓은 새마을호나 신칸센 때문에 눈이 높아진 한국인인지라 좌석 좁다고 무진장 까인다. 심지어 무궁화호보다 좁고 일부 항공사의 이코노미 플러스 정도이다. 사실 같은 표준궤라도 유럽과 미국의 차량한계는 폭 3.15미터이고 중국과 한국 및 일본 신칸센의 차량한계는 폭 3.4미터이다. 다만 대한민국은 기존 구조물의 규격이 작아서(고상홈 플랫폼 등이라던가) 사실상 차량폭 3.2m가 한계이다. 그러니 가뜩이나 좁아진 공간인 덕분에 좌석도 좁다고 느껴지는 것. 좌석 폭을 늘릴려면 차량한계부터 늘려야 한다.
  • 역방향 좌석: 객실 구조 자체도 TGV의 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새마을호의 영향으로 특급 열차는 모름지기 편해야 한다는 한국인의 생각에 정면으로 대치되는 물건인 고정식 역방향 좌석이 등장했다. 동반석 테이블 기준으로 한쪽은 정방향, 나머지는 역방향이다. 의자 자체는 고정식. 사람따라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끌려가는 기분이 들 수 있다. 특실은 좌석 회전이 된다. 유럽에서는 이것이 일반적이다. 유럽에서만! 이 부분은 알스톰과의 계약이 끝나고 KTX-산천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2010년 이후부터 순차적으로 개조할 듯...했으나 14열 좌석으로 쓸어담기도 바쁜데 12열로 줄이는것은 제 살 깎아먹는 짓이라고 생각했던 모양인지 리모델링 차량들도 기존 좌석배치 그대로이다. 바꿀 내장재 및 좌석이 KTX-1에 어울리지 않았다는 이유도 있었다고 한다.
  • 벽 좌석: 좌석을 우걱우걱 넣다보니, 상당수 좌석이 창측좌석임에도 창이 없고, 벽만 보며 가게 된다. 애당초 TGV의 설계안에 차량 제작은 그대로 따랐지만 자리만 있는 대로 채워넣다 보니 그럴 만도 하다. 그저 복도측 좌석이 아닌, 바깥쪽 좌석에 앉아가고 싶어서 창측좌석을 예약하였거나, 그냥 그런거 상관 없이 예약하였다면 별 상관 없겠지만 창 밖의 풍경을 바라보고 싶거나 앞만보고 가는게 싫어서 창측좌석을 예약하였는데, 이런 폭탄자리에 걸리면 열심히 면벽수행하면서 가야 한다. 안습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 판매시설: 차내엔 자동판매기와 가끔 지나다니는 차내 판매원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판매시설 등이 없다, 이 차량을 들여오는 것이 검토될 무렵까지만 해도 지금처럼 중간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도 않았고, 고속선 공사도 이처럼 지연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으며, 길어야 2시간 타고 내려야 하는 열차이기 때문에 적당히 참고가라는 식으로 만들어진 흔적이 역력하다. 하지만 우후죽순처럼 중간역이 생겼고, 경부선이 최장 3시간까지도 걸리고 경전선이나 전라선의 경우 3시간 반까지도 걸리니 조금 답답한 것도 사실이다.
  • 전기콘센트: 모든 객실 내 전기콘센트가 없다. 같은 KTX인 KTX-산천의 일반실은 앞뒤 3열, 특실은 전체 다 콘센트가 있다. ITX-새마을도 마찬가지로 앞뒤 3열에 콘센트가 있다. 다만 ITX-새마을은 특실이 없다. 호남고속선을 다니는 와인산천은 전 좌석에 콘센트가 있다. 무궁화호는 비교적 최근에 생산된 리미트객차가 앞뒤에 콘센트를 갖추고 있다. 이는 90년대까지만해도 온 국민이 각종 전자기기로 무장하고 다닐 것이라고는 예상치 못하였기 때문이다. 화장실에 콘센트가 있긴 하지만 문을 계속 열어둬야 하는데다 화장실용은 전동면도기 및 칫솔용이라 노트북 구동에는 비효율적. 핸드폰이나 MP3도 불가능하다. 심지어 일반실은 좌석 쪽에 전원공급 자체가 없기 때문에 차내 방송에서 틀어주는 TV화면 소리도 듣지 못 했다. 현재는 영상 방송이 철수되었다. 민원이 많았는지 2016년 11월부터 연말까지 전좌석에 콘센트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한다.#
  • 음악방송: 2006년 5월부터는 TV음성과 각종 음악방송을 라디오 방식으로 쏘아주고, 각 좌석 팔걸이에 수신기를 설치하여서 들을 수 있는 방식의 장비가 추가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좌석으로 전원공급이 안되기 때문에 역 구내 매점이나 이동 판매 카트 혹은 열차 내 자판기에서 1500원을 내고 건전지가 달린 전용 이어폰을 구입하여야한다. 이 이어폰은 잭이 두개가 달려있어서 하나는 건전지에서 수신기로 전원을 공급하고 하나는 이어폰 잭이다. 건전지 부분을 분리하면 개인 이어폰을 꽃아서 쓸 수도 있고 이어폰 부분만 떼어내어서 재활용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라디오 방식이라 듣다보면 계속 지지직 거린다. 특실은 처음부터 이어폰용 전원은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그냥 특실 서비스 이어폰을 쓰면 된다.
  • 무선인터넷: 3,5,8,11,14,17호차에 AP가 설치돼있다. 한 때 1천원에 무선인터넷 카드를 사서 즉석복권 같이 생긴 부분을 긁어내면 1일용 아이디가 나와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의 유료서비스 였고, 특실에 탑승할 경우 승무원에게 요청하면 무료로 제공받았다. 언제 긁던지 로그인 후 당일 이용가능이었기 때문에 1일 2회 탑승한다면 1회 구입만으로도 왕복이용이 가능하였고, 굳이 당장 안 쓰더라도 특실에 탑승할 때 받아둔 후 다음에 일반실에 탑승할 때 필요하면 이용할 수도 있는 구조였다.
2011년 8월 11일부로 와이파이 서비스가 전면 무료로 개방되었다.#그럼 뭐해? 느린데 (참고로 역에서 노트북을 5000원에 빌릴수 있다. 내리는 역에서 반납한다. 그러나 반납 시간이 10시 이후이면 불가능하다.) 참고로 예전 속도는

파일:Attachment/KTX WIRELESS SPEED.jpg
2010년에 환생한 모뎀

이랬었는데 2012년 하반기에 LTE망을 사용하는 AP로 교체되어 기존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빨라지고, AP도 더 촘촘히 설치되었다. 다만 기기 하나당 30MB까지만 쓸 수 있으나 재접속하면 계속 쓸 수 있다. 2015년 10월 기준 SSID는 KTX-WIFI이다.

  • KTX-1의 벨소리는 TGV의 벨소리와 동일한데, 하필 이 벨소리는 1993년 프랑스 SNCF의 공식 벨소리기도 하다. 해당 알림음은 다음 동영상에서도 들을 수 있다.

4 좌석 배치와 발권

4.1 일반실

역방향과 순방향이 있다. 역방향의 경우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메스껍다, 기분이 이상하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민원 때문에 영업 초기 이후 얼마 못 가 역방향 좌석에 5% 할인이 적용되게 되었지만 할인 제도 개편으로 사라졌다. 멀쩡히 순방향 좌석을 배정받고 옆에 앉아가는 사람이 맘에 안들면 혼자 편하게 앉기 위해 역방향 좌석에 앉아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문 옆 좌석의 경우 의자 뒤의 여유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사람이 왔다갔다 하면 신경쓰인다.

A와 D가 붙으면 창가 자리이다. 같은 창측좌석이라도 미묘한 창문 배열 때문에 면벽 자리가 존재한다. KTX를 꽤 타고 다니는 사람들은 이 면벽자리 번호를 외우고 예매할 때 철저히 피하는 편이다. 창측좌석인 주제에 답답하기도 하거니와, 기둥이 좌석쪽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어서 왠지 좁은 느낌이다. 이 면벽석은 7열 10열이면 무조건 피해야 하는 좌석이고 5열 12열도 면벽이기는 하나 그래도 참을만하다.

각 호차에는 순방향석과 역방향석이 중간부에 만나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동반석(8, 9열)이 있다. 이 자리에서는 4명이 마주보게 되며, 중간에 탁자가 놓여있고 날개를 펼치면 탁자를 확장할 수 있다. 초기에는 이 동반석도 그냥 각각 팔았는데 모르는 사람과 3시간씩 마주보고 가야 하며 시선을 어디에 둘지 몰라 차마 앞을 바라보지 못하는 승객들의 불만이 들끓자, 당시 철도청에서는 과감하게 이 4자리의 좌석을 세트로 묶어 37.5%라는 파격적인 할인을 해주게 된다. 4명 자리를 묶어서 2.5인분 가격에 판매한다. 이 좌석을 예매한 후 3명만 앉아서 가도 웬만한 다른 할인 부럽지 않은 파격적인 조건 때문에 단체 여행 등에서 동반석을 많이 활용하게 되었고, 심지어 모르는 사람들 끼리도 4명이 모여 할인받아 동반석을 이용하는 KTX 카풀 등이 유행하기도 하였고 KTX 카풀 카페까지 등장하였다. 그러나 2012년 말 동반석제도가 가족석으로 바뀌며 '가족愛카드'를 구입한 경우에만 40% 할인이 되고 이외에는 15% 할인으로 하향 조정되면서 망했어요.

동반석이 판매되지 않았고 출발이 임박한 열차의 경우, 표를 구입하면 동반석을 일반석으로 파는 경우가 있다. 동반석 표를 일반석으로 알고 샀는데 가 보니 동반석이면, 당황하지 말고 그냥 앉아서 가면 된다. 오히려 앞에 있는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어서 편한 면도 있다. 앞 자리에 발 올리고 가기도 좋다.

4.2 특실

특실은 일반실과 달리 100% 순방향이며 원하면 좌석을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탑승자들중 가족 탑승자의 수가 적어 실제로 회전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 같다. 좌석 배치가 우등버스처럼 2+1이라는 것도 특징이다. A나 C가 붙으면 창가 자리인데, A는 단독석이 튀어나온다. 오오 우월한 2+1 배열 오오 앞뒤 간격이 넓어 다리가 짧으면 다리 뻗기가 어려워지는 안습한 경우도 생기나 스머프가 아니라면 다리가 안 닿는 일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만약 스머프라면?

특실 가격은 일반실의 1.4배로 조금많이 비싸다. 그래서 가족 탑승자보다는 출장가는 아저씨들이 많고 조용하다. 특실 서비스로 300mL 생수를 무료제공하는데 자판기에서 나오는 거라 시원하다. 한 때 개통당시엔 와플과자 등 을 제공했지만 생수와 신문만 남고 사라졌다. 특실에도 콘센트는 없다.

4.3 입석

휴일이나 명절 대수송 기간에 좌석이 모두 매진되었을 경우에 한해 발권이 가능하고, 현장 매표소 및 티켓자판기에서만 구입할 수 있다. 티켓자판기에서 발권하려면 좌석을 선택할 때 입석 / 자유석을 선택해야 한다. 매진됐다면 티켓자판기가 알아서 입석/자유석으로 돌린다. 그리고 평일 9시 이전이나 17시 이후 출발 열차의 경우 18호차를 자유석으로 지정해 좌석이 매진되더라도 자유석 승차권을 현장에서 구매하면 선착순으로 앉을 수 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정기권 이용객도 많으므로 방심은 금물이다. 하지만 주말에는 자유석을 운영하지 않고 매진될 때에 한하여 모두 입석이 되므로 주의. 특히 자유석의 경우 당연히 검표를 철저하게 한다. 자유석 말고도 열차 전체에서 검표를 철저하게 한다.

각 호차 사이의 출입문 쪽에 각각 2석씩 보조 좌석이 있기 때문에 입석 이용자라면 이 좌석에 앉을 수 있다. 서서 가는 것보다 낫다.

4.4 영화객실

KTX-1 차량 1호차에 설치된 객실이다. KTX-1의 경우 18량의 객차 중 승차감이 안 좋은 1호차를 피해서 2~5호차에 특실이 있어[2] 1호차를 타러가기도 멀고 뭔가 붕 뜬듯한 느낌이 들었는지 씨네우드엔터테인먼트, 롯데시네마와 제휴하여 2007년 7월부터 2014년 12월 21일까지 해당 객차를 영화객차로 운영하였다. 1호차의 동반석 테이블과 가운데 좌석 1열을 제거하고 영화 상영 중에만 내려오는 그 부분에 막을 쳐서 영화관 비슷하게 만들어 놓고, 음향장치를 일부 추가했으며, 객실 외부에서 카메라 들고 녹화를 해서 저작권 문제가 생기는 일 같은 것이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등 신경을 꽤나 썼었다.

영화객실이 있는 노선 및 시간대라도 이른 아침이나, 심야시간 출발편에는 영화를 상영하지 않고 일반실처럼 운영하였다.

일반실 정상운임에서 7,000원을 추가 징수했었으며, 어린이는 6,500원을 징수하였다. 표는 한 장이지만 운임과 영화요금을 별개로 치기 때문에. 환불시에도 운임과 영화 요금을 구분하여서 각각 수수료율을 적용하였으며, 타자마자 영화 상영이 시작되지 않는 구간에서 승차하더라도 영화요금은 해당역 열차출발 시간과 같은 것으로 간주하여서 수수료를 적용하였다.

당시 영화 상영 구간은 다음과 같다.

위 상영 구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영화상영 시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서울역이나 용산역에서 상당히 남쪽 구간까지 내려가는 승객만 이용 가능하였다. 상영이 시작되면 가운데 스크린을 내리고 열차 내외부의 빛과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서 창문 블라인드를 모두 내리고, 영화 상영 중에는 1호차에는 정차역 안내방송도 나오지 않았다. 당연히 일단 영화 상영구간 이상만 표를 팔기 때문에 영화보다가 목적지에 못 내리거나 타고 내리는 승객들에게 방해를 받을 일은 없었다. 물론 화장실 등 다른 일 보러 돌아다니는 사람들은 있었겠지만.

물론 영화관(!?) 내 취식물은 코레일유통 직원이 카트를 끌고 오면 그 때 사면 되었지만, 영화상영 중에는 들어오지 않았다.

여기서 틀어주었던 영화의 종류는 그래도 최신작. 대략 극장가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취급하였으며, 상행과 하행의 상영 영화가 달랐다. 단, 상영 시각의 제약이 매우 크기 때문에 110분 이상의 영화는 상영하기 어려우며, 상영하기 전에 열차 운행 시간에 맞추어 편집했다고 공지하였다. 대다수의 불특정 고객들이 열차를 이용하는 특성상 19금 청소년 관람 불가 영화는 보기 힘들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는 가입되어 있지 않았다.

명절 같은 대수송 기간에는 자리는 없고 입석표 발권하여 서서 다니는 게 싫어서 어거지로 영화객실을 예매하여 승차하는 승객들이 일부 있었는데, 이런 기간을 이용해서 이런 저질 작품을 상영해도 수익이 짭짤하게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전산망이 없으므로 박스오피스 기록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물론 단거리 이용자들은 영화보기를 포기하고 목적지에 내리는 경우도 있었지만 영화상영 중에는 안내방송이 안 나오니 알아서 내려야 했다. 상당수 승객이 다른 일반석 자리가 없어서 어거지로 영화를 보며 가는데다가 타 영화관처럼 통신사 제휴카드나 신용카드 할인 등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에는 이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데칼에 붙어 있는 것처럼 롯데시네마와 제휴하고 있기 때문에 롯데시네마 영화관람권(무비기프트) e-티켓[3] 2장을 증정하는 패키지를 묶어서 판매하고 있다. 이는 코레일 메인에서 "종합여행" - "레일플러스" - "KTX덤-영화티켓"을 선택하면 나왔다. 여기서 "레일시네"를 클릭하면 안 된다. 반드시 "KTX덤-영화티켓"을 선택해야 했다. 판매가격은 승차 구간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별도로 확인해야 했다. 롯데와 제휴해서인지 롯데시네마 티켓을 주거나 롯데월드 티켓을 주는 등 이벤트가 종종 있었다.

2014년 12월 22일부터는 영화객실의 운영을 잠정 중단하고 1호차를 일반객차로 환원한다는 공지사항이 레츠코레일 사이트 팝업으로 등장했다. 외부운영사의 사정으로 중단한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객실 내의 장비는 철거되지 않았다.

이 기사에 따르면 120분을 상회하는 작품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시네우드는 일부 장면을 편집해서 상영하려고 했다. 하지만 배급사가 원작훼손을 주장하여 부득이하게 러닝타임이 짧은 작품만 골라서 상영해야했다. 게다가 영화관 점주들이 KTX시네마 때문에 영업이 안된다고 배급사에 호소하여 개봉 후 2주가 지나야 신작을 KTX에서 상영할 수 있다는 조건이 생겼는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영화객실은 경쟁에서 도태될수 밖에 없었다. 시네우드는 실패를 교훈삼아 국내에 다시 진출하겠다고 하였으나 코레일은 영화객실을 운영할 계획이 없다고 밝힘으로써 일시적인 중단이 아닌 완전한 중단이 되고 말았다.#
  1. 인버터를 이용해 교류전동기를 구동하므로 직류전동기를 구동하는 사이리스터위상 제어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2. 1호차가 기관실과 붙어있어서 소음과 진동이 상당하기도 하고, 1호차 자체도 하부에 모터 등의 운전기기가 있는 동력객차이다.
  3. 절대 종이티켓이 아니다. 문자로 오는 것.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