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상의 오오쿠
大奥(おおおく)
에도 막부(江戶幕府) 시대에 쇼군의 어머니와 미성년 자녀, 아내와 첩실, 시녀이면서 한편으로는 쇼군의 잠자리 상대 후보인 여성들을 모아놓은 금남(禁男)의 공간. 지금은 허물어지고 없는 에도 성내에 있었다.[1] 조선의 내명부나 오스만 제국의 하렘과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으나 차이점도 있다.
이전 막부 시대에는 이런 오오쿠와 같은 곳이 없었고, 에도 막부 초기에 오오쿠가 생기긴 했으나 딱히 금남의 공간까진 아니었다. 그러나 에도 시대 초기의 여걸 카스가노 츠보네에 의해 그 뒤로 이어지는 오오쿠의 형태가 된다. 츠보네가 오오쿠를 정비한 이유인즉, 3대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미츠가 여자 공포증 때문에 여자는 멀리 하고 남자를 더 좋아하여 쇼군의 후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어떻게든 후사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 결과라고 한다.
거주 인원은 최소 1,000명, 혹은 그 이상일 정도로 큰 규모였으며(3,000명에 이르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당연히 그만큼 유지비가 많이 들었기에[2] 에도 막부가 재정난으로 허덕이는 시기로 가면 막부의 재정을 압박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그나마 개혁에 성공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첩실들의 사치와 시녀들의 경쟁으로 오오쿠는 사치스러워졌다. 이 때문에 막부의 재정이 어려워졌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막신들이 개혁을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오오쿠의 권력이 너무 강해 번번히 실패했다.
원칙상으로는 막부 직할의 무사 계급의 여자들만 오오쿠의 시녀가 될 수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평민 계층에서도 뇌물이나 연줄 등을 써서 들여보냈다. 꼭 권력을 노려서만은 아니고, 한동안 오오쿠에서 일하면서 상류층의 예의범절을 익혀 나오면 좋은 곳에 시집갈 수 있었기 때문. 일종의 신부수업이다. 그러나 원칙상으로는 높은 지위에 해당하는 시녀는 한 번 들어가면 죽을 때까지 쇼군 일가를 섬겨야 했다.
딱 보기에는 '오오 1,000명의 여자가 가득한 하렘!' 소리가 나오지만 실제 오스만 제국의 하렘과도 같이 겉보기만큼 남자의 로망을 해소하기 좋은 곳은 아니었다고 한다. 오오쿠의 관리자격인 오토시요리[3]의 권한이 너무 강한 탓에 쇼군조차도 오오쿠에서는 편히 쉴 수 없었다는 기록이 관련자들 사이에 남아있다. 오토시요리는 그 대우가 10만석고의 다이묘의 대우에 준한다는 설이 나올 만큼 그 권위와 권력이 막강했다.
엄격한 계층사회로 미다이도코로(御台所)를 비롯해 오토시요리 같은 고위직인 오메미에이죠(御目見得以上)와 잡일을 하는 오메미에이게(御目見得以下)로 나뉘는데, 그 비율은 거의 1:9에 이르렀다.
조선 시대로 치면 중전이라 할 수 있는 미다이도코로[4]는 오오쿠가 확립되기 전인 에도 막부 초기를 제외하면 대부분 교토의 황족, 방계 황족, 또는 셋케 가문 출신의 매우 높은 신분의 여성들이 많았으며 막부 초기와 말기에는 다이묘 가문 출신의 미다이도코로도 있었다.
일설에는 막부에서 황족의 피가 섞인 후계자가 탄생하면 황실의 영향력이 커질 것을 우려하여 미다이도코로의 식사에 피임약을 섞어 먹이는 등의 방법으로 될 수 있는 한 미다이도코로가 쇼군의 아이를 갖지 못 하도록 계책을 썼다는 카더라가 있다. 실제로 에도 막부 15대 동안 미다이도코로의 아들로서 쇼군 자리를 물려받은 사람은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미다이도코로인 오에요(お江与)[5]가 낳은 도쿠가와 이에미츠밖에 없는데, 이때는 아직 미다이도코로의 출신에 대한 관습이 세워지기 전이라 이 사람은 황족 출신이 아니었다.
황족 출신 미다이도코로가 아이를 낳는 일 자체는 적지 않았으나 한 명도 빠짐 없이 성인이 되지 못 하고 어린 나이에 요절했다. 황족 출신 미다이도코로가 낳은 아이 중 가장 오래 산 아이가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와 토모코 사이의 딸 만쥬히메만두공주인데 그녀도 13세에 죽었다.
그래서 명분상으로는 미다이도코로가 오오쿠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지만 실질적으로는 쇼군의 후계자를 낳은 측실의 권세가 더욱 막강했다. 다만 미다이도코로는 상술했다시피 신분이 매우 높았고 유교적 통치이념을 채용한 에도 막부의 영향도 있어서 정처인 미다이도코로와 어디까지나 곁다리인 측실은 확실한 격의 차가 존재했다. 또한 종종 차기 쇼군을 자신의 양자로 들이기도 했기에 미다이도코로에 따라서는 일본 정국에 상당히 개입한 사람도 있다.
덴노로서도 일본의 실세인 막부와 연을 맺어 나쁠 것은 없었으므로 자신의 딸을 시집 보내려 시도하기도 있었다. 레이겐 덴노가 그에 해당하는데, 자신의 딸 야소노미야를 차기 쇼군와 약혼시켰지만 상대가 일찍 죽는 바람에 실패했다.
황실과의 혼담이 성사된 것은 막부가 망해가던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카즈노미야 치카코 내친왕의 혼인으로, 유일하게 천황의 친딸이 시집온 사례다. 이때는 여러 가지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공무합체의 한 방도로 이루어진 혼인이었기에 일본 역사상 가장 주목할 만한 정략결혼이라 할 수 있다.[6] 다행스럽게도 정략결혼이었지만 어린 부부는 역대 쇼군과 미다이도코로 중 가장 금슬이 좋았다고.[7]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20살의 나이로 요절하면서 두 사람의 이승에서의 인연은 짧게 끝나게 되었다. 카즈노미야 치카코 내친왕은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세이칸인노미야'[8]라는 법명을 얻어 출가했고, 9년 후 이에모치의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오오쿠 최후의 미다이도코로라는 이름을 남긴 채 숨을 거두었다.
2 1을 소재로 한 드라마
오오쿠를 소재로 한 드라마. 1960년대부터 몇 번이나 드라마로 만들어졌으며, 쇼군을 둘러싼 여성들의 끈적한 싸움을 담아내며 인기를 얻었다.
첫 방영작은 1968년 제작, 52화에 걸쳐 오오쿠의 시작과 끝까지 담고 있다. 미소라 히바리도 출연했다.
2번째 방영작은 1983년 제작, 첫 시리즈과 마찬가지로 51화에 걸쳐 오오쿠의 시작부터 끝까지 그려냈다. '실록 오우쿠'란 제목으로 한국에서도 케이블 티비를 통해 방송되었다.
3번째 오오쿠 드라마는 2003년 만들어졌다. 앞선 시리즈들과는 달리 에도 시대 말기의 오오쿠만을 다루었으며, 칸노 미호, 이케와키 치즈루, 아사노 유코를 비롯해 이전에 사극 쪽에 출연이 별로 없던 여배우들을 주역으로 캐스팅, 방영 당시 일본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이 덕에 오오쿠 시리즈가 연속해서 만들어졌다. 한국에서도 '오오쿠 - 쇼군의 여인들'이란 제목으로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되었다. 20년만에 오오쿠가 다시 만들어진 건 궁중을 배경으로 한 한류 드라마들의 인기 때문 아닌가 하는 말도 있다.
4번째 오오쿠 드라마는 2004년 만들어졌으며, 위에 서술한 오오쿠를 정비한 카스가노 츠보네를 중심으로 오오쿠의 초기 시대를 다루었다. 한국에선 '오오쿠 - 권력의 시작'으로 방영되었다.
5번째 오오쿠 드라마는 2005년 제작, 도쿠가와 츠나요시 시대를 배경으로 해 여러 오리지널 내용을 추가해 오오쿠 속 여성들의 암투를 담아내 인기를 끌었다.
2000년대에 이어진 오오쿠 시리즈의 인기로 인해 2006년에는 에지마 이쿠시마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판도 만들어져 개봉했다. 나카마 유키에와 니시지마 히데토시가 에지마와 이쿠시마를 맡았다.
2000년대 버전 오오쿠 드라마는 일본 지방 귀족과 교토 귀족의 차이, 오오쿠에 기거하는 여인들의 사상과 가치관의 기반에 대한 해석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고증과 해석이 담겨있다는 점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2000년대의 오오쿠 시리즈는 영화를 마지막으로 완결이라 제작진측에서 선언...
...했으나 2016년 1월, 2부작 스페셜 드라마 형식으로 도쿠가와 이에나리 시대를 다룬 또다른 오오쿠가 방영되었다. 이전 시리즈들에도 빠짐 없이 출연한 감초 캐릭터들이 또 등장하고, 음악도 공유하는 것으로 볼 때 연속되는 시리즈가 확실하다. 2부작이라고 해서 이어지는 이야기가 아니라 이에나리의 서로 다른 측실들을 다룬 독립된 에피소드 2개다. 1부의 주인공은 이에나리의 측실 센코우인(専行院) 오미요를 다룬 이야기이고, 2부는 오오쿠에 들어와 이에나리의 첩이 된 두 자매의 비극.
재미 있는 것은 두 편 다 사와지리 에리카가 주연을 맡아 서로 다른 성격의 인물을 연기했다는 것. 오미요는 성공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악녀, 2부의 주인공 자매 중 사와지리가 맡은 언니 오우메(이쪽은 실존인물이 아님)는 착하기 그지 없는 성녀다. 같은 시대의 같은 공간을 배경으로 다루면서도 쌍둥이라거나 친척이라 닮았다거나 하는 핑계도 없이 한 배우가 1인 2역을 하는 게 특이한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치세가 길고 첩들과 자식들이 워낙에 많았던 걸 핑계로 어물쩍 넘어간다. 1부의 시간대는 이에나리의 치세 초기, 2부는 1부에서 시간이 한참 흐른 장년기라고. 정작 도쿠가와 이에나리를 연기하는 젊은 배우가 2부에서도 나이든 분장을 안 하기 때문에 시간 흐름은 느껴지지도 않는다. 이런 무리수 설정을 밀어붙인 이유는 시끄러운 연예인이지만 배우로서의 능력만큼은 정평이 난 사와지리가 성녀와 악녀를 동시에 연기한다는 화제를 만들기 위해서인 듯하다.
3 요시나가 후미의 만화
오오쿠(만화) 항목 참조.- ↑ 에도 성은 메이지 유신 때 지진과 화재로 파괴되고 지금의 일왕이 거주하는 황거가 세워졌다.
- ↑ 오오쿠의 1년 예산이 은 80만 냥, 현재의 화폐단위로 환산하면 160억 엔에 이르렀다고 한다(…). 한국 돈으로 치면 무려 1,500~2,000억 원을 썼다는 이야기. 쇼군의 정실인 미다이도코로만 해도 한 끼니에 10인분이 차렸다고 하니 말 다 했다. 물론 10인분을 혼자 다 먹은 건 아니다. 그렇게 많이 차린 이유는 1) 몇 단계를 거치는 독 검사용, 그리고 그걸 통과한 나머지 상으로 식사를 하는데 2) 상류계층의 체면상 접시를 깨끗이 비우는 것은 품위 없는 일로 취급받아서 음식에 몇 번 젓가락질을 하면 상을 바꾸도록 하는 관습이 있어서 그랬다고. 아래에 소개되는 드라마에 나오는 묘사로, 황족 출신이 아닌 시골 무가 출신으로 쇼군의 정실이 된 주인공이 생선의 한 면을 먹고 뒤집자 수행하는 시녀들이 기겁을 하거나 한숨을 쉬는 장면이 나온다. 가장 높은 신분임에도 출신 때문에 오오쿠 사람들로부터 경원당하던 이 주인공 아츠히메는 오오쿠 개혁의 일환으로 근검절약 정책을 추진하면서 자신의 식사도 1인분만 만들 것을 지시하는데, 사람들이 '이 답답한 오오쿠에서 좋은 음식 먹는 즐거움 하나가 사라졌다'고 투덜대는 것을 보면 남은 음식은 아랫사람들 차지였던 듯.
돈지랄 - ↑ 원어 표기로는 御年寄り. 한국에 비교하면 상궁쯤.
- ↑ 보통 미다이사마로 불림.
- ↑ 출가 후 받은 법명은 스겐인.
- ↑ 덴노 가의 여인이 간토 지방의 신하에게 시집간 것 역시 처음이었다고 한다.
- ↑ 공식적인 측실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이에모치가 몇 명의 여인을 거느렸을 것으로 추측은 되고 있다.
- ↑ 미다이도코로들은 남편이 죽으면 불가에 귀의하여 법명을 받았다. 이에모치가 살아있을 때 짧은 인연을 예감이라도 했는지 자신을 미다이사마로 부르는 것을 거부하고 카즈노미야라는 원래의 호칭을 부르도록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