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요시무네

에도 막부 역대 쇼군 & 도쿠가와 씨 종가 역대 당주
07대 도쿠가와 이에츠구08대 도쿠가와 요시무네09대 도쿠가와 이에시게
이름도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 とくがわ よしむね)
생몰년도
(66세)
음력1684년 10월 21일 ~ 1751년 6월 2일
양력1684년 11월 27일 ~ 1751년 7월 12일
재위년도가츠라노 번주1697년 ~ 1705년(8년)
기슈 번주1705년 ~ 1716년(11년)
쇼군1716년 ~ 1745년(29년)
오고쇼1745년 ~ 1751년(6년)
자자손손에게 검약(검소와 절약)하도록 가르쳐라. 그러나 상인과 농민에게 검약을 강요하지 마라.

1 개요

에도 막부의 8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증손자. 기이 번의 번주로, 제7대 쇼군인 이에츠구가 어린 나이에 사망하면서 직계가 끊기자, 그가 대신 쇼군을 이어받게 된다. 흔히 도쿠가와 막부 중흥의 선조(徳川幕府中興の祖)로 평가받는다. 조선의 왕으로 치면 숙종이나 영조 포지션 쯤 된다. 동시대를 산 인물이기도 하다.

2 초기 생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실의 자식들이 분가한 이른바 도쿠가와 방계의 세 가문(고산케)중의 한 가문인 기슈(기이)번(紀州藩)의 2대 번주였던 도쿠가와 미츠사다(徳川光貞)의 4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하지만, 정실의 자식도 측실의 자식도 아니고, 아버지 미츠사다가 60살 때 목욕을 도와주는 일을 하는 하녀인 어머니와 목욕을 하다가 정분이 나서 태어난 늦둥이로[1], 카쿠시코(숨겨논 자식) 취급으로 미츠사다의 측근이었던 가신이 맡아서 키웠다. 유명(아명)은 겐로쿠(源六).
통칭은 크레용 신짱 신노스케(新之助)

14살 때, '개 쇼군'으로 유명한 도쿠가와 츠나요시와 직접 만난 것이 인연이 되어, 카즈라노번(현재의 후쿠이현의 한 지방)의 번주로 임명되고 정치를 배우기 시작했다. 번주라고는 하지만, 본인은 그냥 집에서 아버지와 형들과 생활하고, 실제 정치는 아버지의 가신이 파견해서 행정을 다스렸다.

쇼군은 커녕 지방 번주가 될 가능성도 아예 없는 처지였는데, 우연인지 음모인지 모를 우여곡절이 많아, 후세에 그가 쇼군이 된 것에 여러 음모설이 생겼다.
도쿠가와 가문의 방계인 고산케의 그것도 아버지의 바람끼로 태어난 하녀의 자식이라, 카즈라노 번의 번주라고는해도 3만석의 다이묘로 쇼군가의 혈통을 잇고 있으니 체면치레 정도로만 자리에 올려놓았을 뿐 전혀 대단한 직위는 아니었다.

1705년 3대 번주였던 장남 츠나요리가 만39살에 후사도 없이 죽어서, 3남인 요리모토가 번주직을 이었다.(둘째 형은 어렸을 적에 요절했다.) 그런데, 같은 해에 아버지와 셋째 형 요리모토(26살)가 연이어 사망, 22살의 나이로 기이 번의 5대 번주가 되었다. 쇼군 츠나요시에게서 편휘를 하사받아 이름을 요시무네로 개명한다. 요시무네의 '요시'는 츠나요시에서 따온 이름이다. [2]

아버지와 형들의 잇따른 죽음이 석연치 않았기에(셋째 형은 향어를 먹다 식중독으로 피를 토하고 죽었다.) 요시무네와 그 측근들이 독살한 것이 아닌가 여기는 시각도 있다. 실제 요시무네는 다이묘 시절부터 밀정들을 잘 활용하였으며 쇼군 즉위 과정에서도 여러 음모의 흑막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오와리 도쿠가와 번주도 갑작스럽게 죽었는데(쇼군직의 경쟁자였던 오와리번의 번주와 그 아들은 한 두 달 간격으로 만두 먹다가 식중독으로 차례 차례 죽었다.) 요시무네가 범인이라는 의혹이 있다. 실제 오와리번의 기록에 의하면 오와리 번주가 죽었을때 오와리 번주 자택 인근에서 요시무네의 밀정이 얼쩡거렸다는 기록도 있다. 한편으로 이를 주도한것은 요시무네의 친모라는 설도 있는데 본래 요시무네의 친모는 약제사 가문 출신으로 약에 대해 매우 잘 알았다고 한다.일본판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가문을 승계하여 키슈 번의 번주가 된 요시무네는 재해와 연달은 아버지와 형의 장례식으로 악화된 가문의 재정상태를 회복시키고 제도를 정비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보다 백성들을 굽어살피기 위하여 직소를 허용한다.
요시무네가 번주가 된 때, 기슈 번은 약 10만량(현재 시가로 10억엔)의 마이너스 재정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검소한 생활을 하고, 황무지를 개간해서 새로운 논을 만드는 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번주가 되고 12년 만에 번의 빚을 다 갚고, 12만량의 금과 11만 석의 쌀을 비축했다.

이대로라면, 한 지방 영주로 나름 휼륭한 행정가로 일생을 마칠 것 같아 보였는데...

1716년 3월, 에도 막부 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구(8살)가 감기가 악화되어 위독한 상태가 되고, 어린 나이라 후사를 없어서(일단 8살때 혼약은 했지만 약혼자의 나이가 3살(...),[3]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죽기 전에 남긴 후계자 선정 방식에 의해 방계였던 고산케에서 처음으로 차기 쇼군의 후보자를 정하기로 하고 요시무네도 그 세 후보 중의 한 명이 되었다.
이때 쇼군직을 두고, 고산케의 후계자 서열 1위인 오와리번의 번주인 츠구토모(25살)와 경쟁하였는데, 6대 쇼군 이에노부의 측실이자 이에츠구의 생모였던 겟코인(月光院)(32살)과 이에노부의 측근으로 권력을 누리던 마나베 아키후사(間部詮房)는 츠구토모를 지지하였고, 다수의 가신들과 이에노부의 정실 덴에이인(天英院)(57살)은 요시무네를 지지했다. 아직 어린 츠구토모보다는 행정 실적이 있고 유능한 요시무네가 에도 막부를 잘 이끌어 갈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그리고, 1714년에 일어난 에지마 이쿠시마 사건(江島生島事件)[4]으로 겟코인파는 권력을 잃은 상태였고, 덴에이인이 권력을 장악한 상태였다.
결과, 1716년 6월에 8살의 나이로 요절한 도쿠가와 이에츠구의 뒤를 이어, 요시무네(33살)가 에도 막부 제8대 쇼군으로 임명되었다.

将軍総選挙の裏側に迫る! 今夜はヒストリー

3 치세

쇼군이 된 후로는 그 때까지의 정치경험을 살려서 정치형태를 쇼군의 친정으로 전환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한 본인이 검약함[5]은 물론, 가신들의 녹봉을 줄이는 등, 겐로쿠 시대의 버블경제가 꺼진 후 심각한 재정 악화로 빛더미 상태인 에도 막부의 재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돈먹는 하마 오오쿠에 대한 대대적 개혁을 펼쳐서 3천명이 기거하는 오오쿠에서 350명을 내치기까지 했다.

요시무네는 오오쿠에서 젊고 예쁜 미녀 50명을 뽑으라는 명을 내렸다. 누구나 다음 측실 후보를 뽑는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선발된 미녀들 앞에서 요시무네가 말하길, "너희들은 아직 젊고 예쁘니, 좋은 혼례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니 집으로 돌아가거라."

이는 덴에이인의 분노를 사서 요시무네와 덴에이인은 덴에이인이 오오쿠서 퇴거할때까지 치열한 권력투쟁을 벌였다.[6]

江戸経済革命 【今夜はヒストリー】 13분 30초부터. 오오쿠 개혁

관료제도를 재구축하였으며[7]유능한 인재를 발굴하여 등용하고[8] 무료진료소를 건설하여 서민들의 공중위생을 돌보았으며 쇼군가의 권력약화의 원인이 된다는 이유로 철저하게 지켜지던 쇄국을 부분적으로 완화시켜 해외의학을 받아들이는 것을 허락했다. 또한 국력의 약화를 우려하여 무예를 장려하였고 기근 문제를 해결하고 연공미를 증대시킨 것을 보충시키고자 고구마감자를 심게 하였다. 그밖에도 1728년 조선 인삼의 이식에 성공하여 유출되는 금은을 줄였다. 민생의 면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동반자살을 줄이기 위해서 동반자살을 하다가 실패하거나 붙잡힌 자들을 끌어다내어 수치심을 주도록 하였다. 그 밖에도 오니와반슈을 설치하여 역심을 품거나 부패한 관리들을 색출했고 민초들의 삶을 살폈다. 네덜란드에서 들어온 과학기술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실용적인 성격이었다.

쇼군 취임 전 48만 량(384억엔)의 빚에 허덕이던 에도 막부 재정을, 취임 후 15년에 100만량(800억엔)의 흑자재정으로 만들었다.

그 업적은 '도쿠가와 막부 중흥의 선조'라는 평가에 걸맞지만 모든 정책이 성공을 거두었던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정책들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막대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쌀을 걷는 대신 참근교대[9]를 단축하게하여 막부의 재정이 결국에는 다이묘와 각번에 의존한다는 것을 다이묘들에게 깨닫게 만들었고 세금을 오공오민으로하여 백성들을 가난하게 만들었으며 사치를 금지하여 문화와 예술의 발전을 정체하게 만들었다.

요시무네가 '쌀 쇼군'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그의 치세에서 쌀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고심했기 때문이다. 쇼군이 된 후 기슈 번에서는 성공했던 정책을 펼친다., 개간사업으로 황야를 개간해서 새로운 논을 만들어서 쌀 생산을 늘리는 것까지는 좋았지만, 이것을 일본 전국적으로 실시하다보니 오히려 쌀이 남아돌면서 쌀값이 떨어지게 되고, 봉록을 쌀로 받던 사무라이 공무원들은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봉록으로 쌀을 받아서 그것을 팔아서 돈으로 바꿔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사는 시스템이었는데 쌀값이 떨어지면서 전반적으로 불경기를 초래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요시무네는 막부 차원에서 엄청난 양의 쌀을 사들였지만 실효는 없었다. 결국, 새로운 화폐를 만들어서 유통시키고 나서야 쌀값을 안정시켰다. 결과적으로는 물가가 안정되고 메데타시 메데타시.

손자인 도쿠가와 이에하루를 후계자로 점찍어 두었기 때문에 후계자 자리를 (병약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에하루의 아버지인 이에시게에게 징검다리 격으로 물려주었으며 [10] 쇼군직을 승계한 뒤로도 자신이 오고쇼(은퇴한 쇼군, 大御所)로서 권력을 휘둘렀다.

그의 재임기는 조선숙종 재위기 후반, 경종 재위 전체, 영조 재위기 중반과 일치한다.

4 일화

무예를 좋아하고, 가노 츠네노부의 사사를 해서 그림을 좋아했다.

코끼리를 좋아해서, 그걸 수입해 나가사키에서 에도까지 육로로 옮기게했다. (그 시대에!) 그 덕에 에도에는 코끼리 붐이 일어났다.

5 서브컬쳐

시대극 망나니 장군의 주인공으로 유명하다. 이 시대극은 해(年)수로는 30년가까이 계속되었으며 방송이 종료된 후로도 가끔씩 다시 기획되기도 하는 인기 시리즈이다. 또한 망나니 장군말고도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중에도 1995년작 "8대 쇼군 요시무네(八代将軍吉宗)"[11]처럼 그를 주인공으로 삼은 대하 사극이 여럿 있을 정도로 인기있는 인물로 일본인들은 이 사람에서 망나니 장군의 주역배우인 마츠다이라 켄을 떠올린다.

이 망나니 장군의 인기는 대단해서 다른 매체에서 패러디 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같은 시기를 다룬 또 다른 작품인 오오오카 에치젠[12]에서는 성깔 더러운 희대의 다혈질 쇼군이지만 호탕하고 만민의 안정된 생활을 바라는 인물로 묘사된다. 통치능력과는 별개로 극도로 신경질적이고 완고한데다 대놓고 혹은 은근히 사람 속을 긁어대는 말을 하는 유아독존형 인물로 에치젠을 방해하거나 괴롭히다가도 결국에는 도와주는 츤데레이자 공대 내부의 적 포지션. 똘기가 장난아닌 냉혈한이지만 한편으로는 피치 못할 사정으로 버린 자식들에 대한 그리움도 가지고 있다.[13] 그리고 의외로 입맛이 소박한 편인데다 중증 꽁치 덕후로 조카마치에 암행을 나올 적이나 타다스케의 집에 들르면 항상 식사로 꽁치구이 백반을 즐긴다. 여러 사건에 휘말리다보니 타다스케를 골치아프게 한 일도 더러 있으나, 요시무네 덕분에 사건을 해결한 적도 상당히 많다. 초창기에는 워낙 성격이 안 좋았지만, 후기에는 나이를 먹어서인지 유순하고 유머러스한 성격이 더 강조되었다.

인피니티에 등장하는 유징 제국오니와반은 요시무네가 설치한 실존기구인 오니와반이 모티브가 되었다. 이 오니와반은 암행어사같은 존재였지만 후대에서는 그들의 은밀함만을 때어놓고 닌자처럼 생각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것도 전부 서브컬쳐의 영향.

바람의 검심에 등장하는 어정번중[14]도 오니와반을 약간 틀어놓은 것에 불과하다. 이것도 사극같은 것의 영향.

그 밖에는 메다카 박스는 이 요시무네가 설치한 직소용 상자인 메야스바코가 유래로 메다카는 눈목目+높을 고高, 메야스는 눈목에 편안 안安자를 쓴다. 안자는 편하다는 뜻 이외에도 싸다는 의미가 있고 높은 고자는 비싸다는 의미도 있으며 바코는 하코, 즉 상자를 뜻한다. 요하자면 메야스바코를 거꾸로 해놓은 일본식 말장난인 셈.

2011년에는 극장판 가면라이더 오즈 WONDERFUL 장군과 21개의 코어 메달로 가면라이더 시리즈에도 참전. 테마곡까지 리메이크해서 들고 왔다.

6 참고 자료

  1. 무수리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조선 영조와 비슷하기도 하다.
  2. 요시무네의 묘비는 츠나요시의 묘비가 있는 절 안에 있다. 새로 절을 세우지 말고 그 돈을 절약하라고 유언했다.
  3. 엄밀히는 아직 히데타다의 후손으로 다테바야시 번주 마츠다이라 키요타케가 남아 있었으나 고령이고 남자 후손이 없으며 쇼군위에 대한 야심이 없었던 탓에 쇼군위를 노리진 않았다.
  4. 일종의 섹스 스캔들에서 발단한 정치 스캔들로, 오오쿠의 총매니저 역할을 하던 에지마가 미남 카부키배우와 바람을 피우다 걸렸는데, 이것을 빌미로 겟코인파 1400명이 숙청된 사건. 보통은 이런 사건은 당사자만 처벌받고 끝나는데, 관련자라며 1400명이 처벌받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고, 이런 결정을 한 인물이 덴에이인의 측근이었다라는 것으로 이 사건도 그 발생부터 배후까지 여러 음모설이 있다.
  5. 쇼군 스스로 하루 두 끼만 먹고 반찬은 3가지로 단촐.
  6. 일설에는 후계자인 도쿠가와 이에시게가 실은 여자였고 오와리 도쿠가와 번주가 먼저 아들을 낳아버린 탓에 차기 후계자 자리에서 밀릴걸 염려한 요시무네가 이에시게를 남자로 키웠다고 한다. 이를 숨기기 위해서 오오쿠에 이에시게를 맡겨 키웠는데 덴에이인이 이를 알아낼까 염려해 자신이 키슈번에서 거느리던 오오쿠를 중심으로 에도 오오쿠를 재편하기 위해 350명을 내쳤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즉 자신이 신뢰하는 자들로 오오쿠를 장악하기 위해 벌인 행보라는 것.
  7. 로주(老中) 제도를 해체하지는 않았지만, 대신 로주 중 한 명에게 재정 분야의 전권을 위임하는 등, 분야별로 로주의 업무를 할당했다. 이전까지 바쿠후 내의 상급 의사결정 구조가 전문화되어 있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8. 가장 유명한 것이 오오오카 타다스케(大岡忠相)로서 최하급 고케닌에서 에도 부교(奉行)와 사찰 부교를 거쳐서 1만석 다이묘로 출세했다. 에도 부교 근무 기간이 20년으로 이 기간 동안 오오오카가 판결한 사건들을 소재로 한 이야기책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은 에도 부교였지만, 정작 오오오카 자신은 재판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재판 이야기책은 순전히 소설이다.
  9. 산킨코타이. 다이묘가 에도에서 일정기간 출사하는 것. 사실상 다이묘를 인질로 잡아서 쇼군의 위세를 널리 알리고 각 다이묘들의 세력을 견제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에도와 영지를 주기적으로 오가게 하여 다이묘 본인은 물론 수행원들의 여행 경비를 주기적으로 소모시켜 영지의 부를 축적하는 것을 막아 다이묘들의 힘을 약화시키는 목적도 있었다.
  10. 중국에서 손자 홍력의 똑똑함을 보고 후계자를 선장한 강희제 처럼 요시무네가 참고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11. 이 작품에서는 당시 일본 사정과 맞물려 요시무네의 정치개혁에 촛점을 맞췄다. 덧붙여 이 사극에서 요시무네를 맡은 배우 니시다 토시유키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아오이 도쿠가와 3대) 역과 도쿠가와 이에야스 역(공명의 갈림길, 카게무샤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맡는 등 도쿠가와 막부 쇼군 전문배우로 유명하다. 그 외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도 연기한 적 있어서 현재 일본의 배우 중 전국 3영걸 중 두 명 이상 연기한 유일한 배우라고 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전문 배우 타케나카 나오토와 비슷한 케이스.
  12. 상기한 요시무네 시대의 미나미마치 봉행 오오오카 에치젠노카미 타다스케을 모티브로 제작한 작품. 카토 고 주연으로 70~99년까지 일본의 판관 포청천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던 사극으로 2005-06년은 키타오오지 킨야가, 2013년에는 소년대의 히가시야마 노리유키가 연기하면서 리메이크 되었다.
  13. 대표적인 것이 바로 텐이치보 사건(天一坊事件)이다.
  14. 御庭番衆. 오니와반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