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쇄

옥새가 아니다.
분쇄! 옥쇄! 대갈채!

1 개요

玉碎. 직역하면 옥처럼 (아름답게) 부서진다는 뜻으로, '명예나 충절을 위하여 깨끗이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북제서·원경안전》[1]의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전.

初永兄祚襲爵陳留王,祚卒,子景皓嗣。天保時,諸元帝世近者多被誅戮,疏宗如景安之徒, 議欲請姓高氏,景皓曰:‘豈得棄本宗,逐他姓?大丈夫寧可玉碎,不能瓦全。’景安遂以此言白顯祖,乃收景皓誅之,家屬徙彭城,由是景安獨賜姓高氏。

처음에[2][3]의 형인 조는 진류왕을 습작하였고, 조가 죽으니 그 아들 경호[4]가 이어받았다. 천보연간, 효정제[5] 여러 제살붙이[6]가 살해되자,[7] 경안의 무리와 같은 길카리[8]가 모여[9] 성을 고씨로 하게 해달라고 청할 것을 의논하였다. 이에 경호가 말하였다. "어찌 제 겨레를 버리고 남의 성을 따를 수 있겠는가? 대장부는 옥처럼 깨질지언정, 기와처럼 몸이나 보전할 수는 없는 법이다." 그러자 경안이 현조에게 이를 고하였더니, 경호를 붙잡아 주살하고 그 가솔은 팽성으로 귀양보냈다. 이 때문에 경안만 홀로 고씨를 사성받았다.

한 줄 요약 : 원경안이 지 혼자 살려고 고자질해서 사촌을 팔아먹었다.

이러한 고사로부터 '명예나 충절을 위하여 깨끗이 죽음'이란 의미로써 사용되었다. 쉽게 말해 굵고 짧게 살기. 반대말은 기와처럼 아무 보람(가치)도 없이 몸(목숨)이나 보전한다는 뜻의 와전(瓦全, 가늘고 길게 살기). 기와가 뭐 어때서

삼국지연의에서는 위군과 오군의 협공으로 고립된 관우손권의 사신으로 온 제갈근으로부터 항복을 권유받자,

而不可改其白, 竹可焚而不可毁其節

이불가개기백, 죽가분이불가훼기절
(옥은 부서져도 그 빛을 잃지 않고, 대나무는 불에 탈 지언정 그 마디가 휘어지지 않는다.)

라고 답했다.

한때 동아시아에서 이를 악용했던 어떤 나라때문에 한국에서는 평이 매우 민감해진 단어지만, 사용이 금기시된 것은 아니다. 요즘도 '옥쇄파업', '옥쇄투쟁' 등으로 심심치않게 자주 쓰인다. 하긴 욱일승천(고사성어. 욱일기와 비슷해서 자주 연관된다) 처럼 출전이 일본인 것도 아니니[10] 굳이 한국 측에서 쓰는 걸 피할 이유 따윈 없다.

한국어에서는 한자어가 항상 명사취급을 받으므로 사용하는 방법은

옥쇄를 결심하다. / 옥쇄의 각오로 일전을 불사하겠다. / 분쇄!!옥쇄!!대갈채!!

…등으로 쓰인다. 뭔가 한국어 예제가 아닌게 섞여있지만 알 게 뭐야.

옥새의 철자를 이쪽으로 헷갈리는 이들이 많은데, 결코 착각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보는 바와 같이 전혀 다른 뜻이다.

2 일본의 옥쇄(ぎょくさい)

일제태평양 전쟁카미카제반자이 어택처럼 대책없이 자폭하는 행위를 덴노를 위한 옥쇄로 미화한 적이 있어서 요즘에는 그다지 뉘앙스가 좋은 단어가 아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자폭. 태평양 전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일본군을 통해 '옥쇄'란 단어를 알게 되었을텐데, 당시 일본군은 자폭 외에도 후퇴없이 끝까지 위치를 사수하다 죽는걸 옥쇄라고 표현하는 등 아무튼 싸우다 '명예롭게 전사'하면 일단 옥쇄라고 여기기도 했다. 애초에 침략 전쟁에서 무슨 조국을 지키는 영웅이라도 되는 양 옥쇄할 필요성이 있었나 싶지만 넘어가자.(...)

하지만 말하자면 일본의 옥쇄는 상명하복하고 불만을 표시 못하는('모르는'이 아니다!) 일본군의 병폐[11] + 상당한 전체주의의 결과물.

일부 일본 극우계 인사들은 위에 소개됐던대로의 이 병맛 옥쇄를 임전무퇴의 사무라이 정신, 일본인들이 깊이 새겨야 할 정신으로 닥추(...)하고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군국주의 미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그런데 일반 일본 대중들에게 옥쇄에 대해 큰 거부감은 없다.(...) 현재 일본 사람들이 제국주의에 대한 생각 자체를 별로 하지 않는 것도 그렇지만, 옥쇄 자체가 의도 자체는 나쁘지 않기 때문에 일본인 대부분도 딱히 별다른 의도없이 이것을 자신의 생각으로 차용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일본 제국의 병폐를 직시하지 않으려 한 탓에 일본군에 대한 현재 일본인의 인식은 대개 '우리를 대신해 노력하다 돌아가신 분들' 정도의 막연한 인식밖에 없다. 물론 그런 성격도 없진 않았다. 당장 군부와 도조 히데키 내각을 경멸하던 일본군들도 정작 미군이 쳐들어오자 자기 나라를 지키겠다고 싸웠으니까. 거기에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버린다는 것이 그 자체로는 얼마나 아름다운가? 하지만 전쟁을 일으켜 온갖 잔혹한 짓이 벌어진 면은 그닥 신경쓰려 하지 않았기에 그냥 넘어간다는 것이 문제다. 그래서 몇몇 애니메이션에서는 작가가 극우든 아니든 상관없이, 특공과 자폭 공격 등의 주인공의 옥쇄 정신이 알게 모르게 녹아있다. 가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를 보면서 "얘네는 참 자폭공격이랑 특공 좋아하네.."이런 생각이 들었다면...네 그거 맞습니다. 일본 전반에 어느정도 스며들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현재는 북쪽의 사이비 교주집단이 이를 미치게도 좋아하고 있다.(...)
  1. 북제서 제41권, 열전 제33
  2. 예전에 초영(初永)을 '초영연간'으로 번역하였지만 실제로 초영이라는 연호는 이때 쓰인 적이 없었으므로 이것은 틀린 번역이다.
  3. 대나라의 마지막 임금 소성황제 탁발십익건의 아들 진류왕(陳留王) 건(虔)의 증손자로 경안의 아버지다.
  4. 따라서 경호는 경안의 종형제이다.
  5. 예전에는 '동위의 원제와'로 번역되었지만 원문의 원제元帝는 원씨 황제라는 뜻이고 동위에는 원元을 시호로 받은 황제가 없으니 이 또한 틀린 번역이다.
  6. 촌수가 가까운 겨레붙이를 이른다.
  7. 효정제 항목 참고. 무려 700명이나 죽였다.
  8. 촌수가 멀은 겨레붙이를 이른다.
  9. 유송부터 선양을 하면 옛 종친을 죽였는데 왜 하남원씨는 길카리가 당장 안 죽었는지 연구 바람.
  10. 위에 써있듯이 원 출처는 다름아닌 중국의 관제성군이시다.
  11. 이 성향은 전후 일본인이 국가에 대한 신뢰를 잃고 개인주의가 강해지면서 거의 사라졌지만 아직도 일본의 사회에 은근히 남아있을 지경이다. 제국주의 시대엔 얼마나 심했을 지 짐작이 간다. 사실 이러한 분위기는 일제시대와 군사독재 정권을 거치면서 오히려 대한민국에 더 강하게 남아 있다. 그야말로 최악의 일제잔재인 셈. 징병제 국가인 터라서 더더욱 사라지지 않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