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

한국 영화에 대해서는 우리들(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МЫ (미, 믜)
러시아어로 "우리들"을 뜻한다.

1 개요

제정 러시아/소련 작가 자먀친(Zamyatin)이 1920~21년에 집필한 SF소설로, 조지 오웰1984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와 함께 3대 디스토피아 소설로 꼽힌다. 발표 시기로는 나머지 두 작품에 앞서거니와 암울한 디스토피아를 묘사한 점에서 일찍이 두 작품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영어권의 두 작품과는 달리 망명 소련 작가의 마이너한 작품이라 그만큼 인지도를 얻지 못한 느낌도 없지 않다. 당시 소련 체제를 비판, 풍자한 탓에 소련 내에서 발표되지 못하고 1924년 영문판이 먼저 출판되었으며,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규제가 완화된 1988년에야 소련에서 출판이 허용되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의 개막식 당시 소개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개막식 오프닝 시퀀스 영상으로 러시아어 키릴 문자 하나당 러시아를 대표하는 유명한 요소들이 소개되었는데, 해당 장면에서는 Мы(믜/우리)라는 단어와 함께 붉은 광장이 소개된다. 아무리 보아도 일반명사 "우리들(러시아 인 자신들)"이 맞다.[1] 애초에 푸짜르의 나라에서 우리들이 자랑거리라니 믿기 어렵다

2 작가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친(Yevgeny Ivanovich Zamyatin, 1884-1937)은 상트 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을 재학 중이던 1905년 피의 일요일과 전함 포템킨의 반란으로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목격하고 볼셰비키에 가담한다. 졸업 후에는 선박 건조 엔지니어로 근무하였으며, 《우리들》에서 주인공의 직업이 우주선 엔지니어인 것도 작가 경력이 반영된 거라 볼수 있다.

1912년 본격적인 저술 활동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러시아 혁명 이듬해인 1918년 고리키와 함께 문학활동가동맹에 참여한 뒤 러시아 문단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소련 공산정권 하에서 창작의 자유가 제한되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고, 이는 《우리들》을 비롯한 체제 비판 성향의 작품을 집필하는 계기가 되었다. 혁명 후 불과 2~3년 뒤에 《우리들》을 집필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그만큼 소련 체제에 대한 회의와 절망감이 빠르게 다가왔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체포, 투옥되기도 하였지만 문단의 비중있는 중심인물인 덕분에 지인들의 도움으로 조기석방될수 있었고 다름아닌 소련에서 이게 가능했다니! 이념이 문예 창작을 통제, 간섭하는 체제에서 실의의 나날을 보낸 끝에, 1931년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탄원서를 보내 출국 허가를 얻어 부인과 함께 소련을 떠나 프랑스 파리로 망명할 수 있었으며 1937년 심장병으로 타계한다. 향년 53세. 인간백정이 베푼 관용으로 숙청을 면하고 생지옥을 벗어난 것만 해도 어디인가

3 줄거리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29세기이며[2] 주인공인 우주선 엔지니어 D-503이 쓰는 일기의 형식을 취한다.

전 세계는 "푸른 벽"에 둘러싸여 철의 장막을 예견한건가! "은혜로운 분"이 다스리는 단일국가 체제하에서 통치되며, 모든 인민들은 코드화된 기호숫자를 이름 대신 부여받고주민등록번호 같은 제복만을 입으며 매일 같은 시각에 기상하여 명령받은 일을 수행해야 한다. 사생활은 전면 부정된다. 검열삭제조차 당국의 감시하에 놓이며, 애초에 자유로운 연애의 개념 자체가 소멸해 모든 성적 행위는 법적으로 할당제(...)에 묶여있다.

주인공은 이러한 사회에서 아무런 의심없이 생활하던 중, 체제 전복을 꾀하는 I-330이라는 여성을 만나게 되고 차츰 그녀에게 물들어 동조하게 된다. 결국 그들의 계획은 밀고자에 의해 발각되어 실패로 끝나고, I-330 은 처형당하며 주인공은 "상상력 적출 수술"을 받고 전두엽 절제술? 예전의 생활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벽 너머의 사람들이 여전하여 체제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온다.

4 타 미디어물에 끼친 영향

  • 절대권력자 "은인/은혜로운 분" → 《1984》에서는 빅 브라더
  • 인민감시기관 "수호국(守護局)" → 《1984》의 애정성 (愛情省, Ministry of Love / Miniluv)
  • 과학적 논리와 합리성을 앞세우는 세계관 → 멋진 신세계의 세계관에서도 엿볼수 있다.[3]
  • 개성이 말살되고 코드명을 부여받은 사람들 → 조지 루카스THX1138
  • 주인공이 일기를 쓴다 → 《1984》에서도 일기를 쓰는 주인공이 등장.
  • 주인공이 여자를 만난다 → 《1984》도 그렇거니와 《브라질(영화)》에서는 아예 반체제 운동가 여성이 등장하는 것도 같다.
  • 주인공이 결국 세뇌당한다 → 《1984》도 마찬가지.
  • 푸른 벽 → 《스타 컨트롤2》의 노예 보호막. (Slave Shield) 인류를 비롯한 노예 종족이 우주로 나가지 못하도록 가둔다.

5 참고

  1. 대개 개막식 세레머니 가이드는 최소한 대회 하루 전쯤에는 엠바고를 걸고 각국 중계진에게 배포된다. 만약 소설을 강조하고 싶었으면 다른 상징이 나왔겠지.
  2. 참고 블로그 및 책소개 기사 참조.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26세기로 적혀 있으며, 영문 위키에서는 "One thousand years after..." 즉 30세기로 제각각이니 주의를 요한다.
  3. 멋진 신세계는 사회의 모토가 과학을 내세우지만, 사실 그다지 논리적이지 않다. 애초에 바보들의 천국에 가까운 세계가 논리적으로 굴러갈 리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