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e Iron Curtain
체코와 오스트리아 국경지대에 설치되었던 철조망(베를린 장벽 처럼 일부분을 남겨둔 것). 비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이렇게 전체 동구권 국경을 틀어막았다(...).
발트해의 슈체친[1]부터 아드리아해의 트리에스테[2]에 이르기까지 유럽 대륙을 가로질러 철의 장막(Iron Cutain)이 드리워졌습니다. 이 장막 뒤에는 동유럽과 중유럽 여러 나라들의 낯익은 도시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바르샤바, 베를린, 프라하, 빈[3], 부다페스트, 베오그라드, 부쿠레슈티, 소피아. 그 도시들은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는 고도(古都)들입니다. 많은 인구들이 그 도시들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나는 그곳을 모두 소련의 세력권(Sphere)이라 부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날로 커져가는 모스크바의 힘이 단순한 영향력을 넘어서 그곳들을 조정하고 있으니 말입니다.[4]
제2차 세계대전 종결 이후 영국의 前 총리 윈스턴 처칠이 1946년 4월 미국 미주리 풀턴시에 있는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모교인 웨스트민스터 대학을 방문했을 때, 소련의 폐쇄적이며 비밀적인 태도에 대한 연설 중에 나온 용어. 동영상을 보면 왼쪽에 트루먼 대통령이 앉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0세기 냉전의 시작을 의미하는 용어로 유명하다.
여기서 파생되어 소련의 뒤를 이어 공산화된 중국의 폐쇄주의적 정책을 비판하는 말로 죽의 장막[5]이라는 말도 나왔다. 이후 매카시즘이나 반공을 표방할 때 자주 인용되기도 했다. 당시의 영국이나 미국 사회의 친소적인 분위기 하에서는 매우 엽기적인 주장 취급을 받았지만, 나름대로 통찰력이 있는 주장이란 시각이 40년대 후반부터 두드러졌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 연설의 내용을 알고 펄펄 뛰었다. 처칠의 말이니 당연히 영국 정부와 합의 하에 한 발언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영국 정부는 급히 "그 사람은 평범한 민간인입니다."라고 변명했는데, 이런 발언을 한 이유는 영국 정부가 처칠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인식되면 소련과의 외교 관계가 파탄을 맞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1946년은 노동당 집권기이고, 이 시절의 처칠은 총리가 아니라 야당 지도자였으니 그 말도 맞긴 하다. 물론 스탈린은 "어디서 사기를 쳐?"라고 대응했다. 처칠이 평범한 민간인일 리가 없으니 말이다.
"지금 독일이 무기를 내려놓는다면 소련이 동남부 유럽, 그리고 독일 영토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소련 본토를 포함하는 이 거대한 영토에는 철의 장막이 내려지고 그 뒤에서 인종 대학살이 시작될 것이다."#
다만 이 표현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인 파울 요제프 괴벨스이다. 1945년 2월 괴벨스는 처칠보다 한발 앞서 유럽의 '볼셰비즘화'를 경고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인 루즈벨트와 처칠, 스탈린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소련의 팽창을 막기 힘들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철의 장막'이라는 용어를 썼다.
2 C&C 레드얼럿 시리즈의 소련군 특수 무기
300px | ||||
레드 얼럿 1 | 레드 얼럿 2 | 레드얼럿 3 |
크로노스피어와는 대비되는 연방군의 수퍼무기. 처칠의 비유처럼 정말 저 장치로 철의 장막을 펼쳐 모든 공격을 무시하는 무적이 된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에서는 한 유닛만을 잠시 무적 상태로 만들었고, 적진을 유린할 때 썼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2에서는 크로노스피어[6]와 같이 다수의 부대를 잠시 무적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무적화한 아포칼립스 탱크 9대는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데몰리션 트럭은 그야말로 지옥의 사자다. 여기에 이반 폭탄까지 더한다면 그판은 관광보내는 판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막강한 위력을 발휘했다. 대신 차량이 아닌 보병한테 걸면 보병이 장막 에너지를 못 버텨 작살나니 아군 탱크에 쓰기 싫다면 적 보병에 걸어 파괴하는 변태짓도 가능하다. 건물에도 사용 가능하나 범위가 좁아 딱히 실용적이진 않다. 포스 실드와 비교한다면 포스 실드 쪽은 건물에만 적용되고 범위가 더 넓은 대신 정전이 된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에서는 역사 개변으로 핵미사일은 사라졌지만 이 기술은 그 이전부터 있었는지 남았다. 여전히 보병에게 걸면 즉사하고, 전작보다 미묘하게 범위가 늘어났다.
3 스타크래프트 맵
철의 장막(스타크래프트) 문서 참조.
4 냉전 시대의 의미
베를린 장벽을 주로 철의 장벽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냉전의 상징물이기 때문이다.
베를린 장벽이 아니더라도 냉전시대에 미국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의 공산주의 진영이 날카롭게 대립하여 서로 물질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벽을 쌓는 것을 빗대어 말하기도 한다.
유사한 것으로는 죽의 장막이 있다. 이는 문화대혁명 시기 중국의 폐쇄정책을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