郵政式拼音 / Chinese postal romanization
(한어병음: Yóuzhèngshì Pīnyīn)
1 개요
중국 본토에서는 한어병음을 도입하기 전에 지명 표기에 썼던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 기초하되, 몇몇 지명들은 고어, 방언 등을 고려해서 케바케로 변형하여 정한 것이다. 이는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만다린보다 익숙했던 광동어 등의 남부 방언을 고려해 표기를 정하거나 서양 사람들이 이미 정착시킨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익숙하도록 표기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어 발음을 1:1로 로마자로 옮겨 적는 표기법은 아니다. 일반적인 '병음'이나 '로마자 표기법' 개념과는 차이가 있지만 일단은 편의상 우정식 '병음'이라고 부르고 있다.
베이징을 과거에 Peking으로 적은 것도 우정식 병음에 따른 것이다. j가 아니라 k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익숙한 광동어나 민남어 등의 남부 방언 발음이나 고어 발음을 전사한 표기가 우정식 병음에 그대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Peking이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정작 北京을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Pei³-ching¹이 된다.
중화민국에서는 아직도 일부의 지명을 이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룽(Keelung), 진먼(Kinmen)이 있다(단 진먼은 방언에서 유래한 Quemoy도 쓰임). 한편 홍콩에서 중국 대륙 지명을 딴 길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도 쓰인다. Peking Road라든지. 그리고 중국 본토에서도 베이징대학(Peking University)처럼 지명을 딴 역사가 깊은 고유명사에서 우정식 병음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들이 있다.
중국 본토에서 우정식 병음을 폐지하게 된 건 그 극심한 불규칙성 탓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규칙성이 너무 없으니 중국어 발음을 알아도 여기에 대응되는 우정식 병음 표기를 짐작할 수가 없다. 그래서 따로 중국어 지명 표기와 우정식 병음 간의 대응을 정리된 자료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2 표기 예
지명 | 우정식 병음 | 표준 중국어 발음 | 비고 | |
한어병음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 |||
廣東/广东 광둥(광동) | Canton 혹은 Kwangtung | Guǎngdōng | Kuang³-tung¹ | 광동어 Gwong²-dung¹[1] |
南京 난징(남경) | Nanking | Nánjīng | Nan²-ching¹ | |
淡水 단수이(담수) | Tamsui | Dànshuǐ | Tan⁴-shui³ | 민남어 Tām-súi |
熱河/热河 러허(열하) | Jehol | Rèhé | Jê⁴-ho² | |
北京 베이징(북경) | Peking | Běijīng | Pei³-ching¹ | |
汕頭/汕头 산터우(산두) | Swatow | Shàntóu | Shan⁴-t'ou² | 민남어 Sòaⁿ-thâu |
廈門[2]/厦门 샤먼(하문) | Amoy | Xiàmén | Hsia⁴-mên² | 민남어 Ē-mûiⁿ |
深圳 선전(심천) | Shumchun | Shēnzhèn | Shên¹-chên⁴ | 광동어 Sam¹-zan³ |
四川 쓰촨(사천) | Szechwan | Sìchuān | Ssŭ⁴-ch'uan¹ | |
佳木斯 자무쓰(가목사) | Kiamusze | Jiāmùsī | Chia¹-mu⁴-ssŭ¹ | 만주어 Giyamusi에서 유래 |
湛江 잔장(잠강) | Tsamkong | Zhànjiāng | Chan⁴-chiang¹ | 광동어 Zaam³-gong¹ |
基隆 지룽(기륭) | Keelung | Jīlóng | Chi¹-lung² | 민남어 Ke-lâng |
吉林 지린(길림) | Kirin | Jílín | Chi²-lin² | 만주어 Girin ula[3]의 축약에서 유래 |
金門 진먼(금문) | Kinmen 혹은 Quemoy | Jīnmén | Chin¹-mên² | 민남어 Kim-mûi |
錦州/锦州 진저우(금주) | Kinchow | Jǐnzhōu | Chin³-chou¹ | |
青島[4]/青岛 칭다오(청도) | Tsingtao[5] | Qīngdǎo | Ch'ing¹-tao³ |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6] |
天津 톈진(천진) | Tientsin | Tiānjīn | T'ien¹-chin¹ |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7] |
福州 푸저우(복주) | Foochow | Fúzhōu | Fu²-chou¹ | |
河北 허베이(하북) | Hopeh | Héběi | Ho²-pei³ | 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8] |
보다시피 별다른 규칙이 없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병음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 단 Kwangtung은 표준 중국어(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표기에 수정을 가한 것이다. 따라서 광동어 발음과 관련이 없다.
- ↑ 중국 대륙의 번체자(정체자)로는 厦門. 중국 대륙에서는 원칙적으로 간화자를 쓰지만 필요 시 사용할 수 있는 번체자의 표준 자형도 정해 놓고 있다.
- ↑ 중국어 음역으로는 吉林烏拉/吉林乌拉.
- ↑ 한국의 전산 처리에서 주로 쓰는 한자 표기, 강희자전체, 일본 구자체 표기는 靑島.
- ↑ 칭다오 맥주도 이 표기를 쓴다.
- ↑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ing¹(한어병음: qīng '칭'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ing¹(한어병음 응용: cīng. 굳이 적자면 '칑'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 ↑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in¹(한어병음: qīn '친'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in¹(한어병음 응용: cīn. 굳이 적자면 '칀'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 ↑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두 번째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pê(한어병음: be)에 해당하는 발음을 입성(入聲, 난징 방언 등에 있음)으로 읽은 음절이 된다. 그런데 관화의 입성에서는 음성적으로 성문 폐쇄음 [ʔ\]이 맨 뒤에 첨가돼서 발음된다. 로마자 표기에서 이것을 h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중국어의 어떤 방언에서든 음절 끝에서 ㅎ 발음([h\] 또는 [x\])이 나는 경우가 없으니 음절 말의 성문 폐쇄음을 표기하는 기호로도 사용한 것. 따라서 peh라는 표기는 pê(악센트 생략해서 pe)의 입성([ʔ\] h) 발음을 웨이드식을 응용하여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타이베이의 독일어 표기 Taipeh도 이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