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de–Giles / 韋氏拼音 또는 威妥瑪拼音 / Wei² Shih⁴ Pʻin¹-yin¹ 또는 Wei¹ Tʻo³-ma³ Pʻin¹-yin¹
(한어병음: Wéi Shì Pīnyīn 또는 Wēi Tuǒmǎ Pīnyīn)
목차
- 복사용: ʻ ê ü ŭ Ê Ü Ŭ ¹ ² ³ ⁴
1 개요
현재 자주 쓰이는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중에서 가장 오래 전에 만들어진 것. 먼저 19세기 중반 영국인 토머스 웨이드 경(Sir Thomas Francis Wade, 중국명 威妥瑪/웨이퉈마, 1818~1895)이 이 표기법을 만들어 자신이 출판한 중국어 입문서 語言自邇集(Yü Yen Tzŭ Êrh Chi)에 사용했다. 그리고 19세기 말 역시 영국인인 허버트 자일스(Herbert Allen Giles, 1845~1935)가 이 표기법을 약간 수정하여 자신이 편찬한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 사용했다. 그래서 이 표기법을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라고 부르는데, 최초 고안자의 이름만 따서 '웨이드식 표기법'이라고도 부른다.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은 한어병음 보급 이전에 영어권에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데 가장 많이 쓰였던 방법이며, 지금도 일부 영어권 중국학자는 한어병음이 아닌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1]
대만에서는 사실상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의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한어병음 방안에 그 자리를 물려줬다.[2] 그럼에도 대부분의 대만인들은 자기 이름을 로마자 사용 외국어로 적을 때 이 방식을 많이 쓴다(약간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3]. 그래서 한어병음방안만 아는 사람들이 대만 여행을 갔을 때 간혹 혼동한다. 도로 표지판은 한어병음이지만 개인들이 사적으로 사용하는 영문 표기는 이걸 따라가거나 아니면 방언 발음이나 아니면 (한국이나 마찬가지로) 제멋대로 표기를 하기 때문. 그래서 예를 들어 장제스의 표기를 본인이 썼던 대로 방언 발음을 반영한 Chiang Kai-shek(창카이셱)이라 한다(물론 한어병음방안을 채택한 중국어 교재의 발음 표기에서 본문에 등장한다면 Jiǎng Jièshí로 써야 한다).
'중국어'만 공부할 사람들은 한어병음 방안, 또는 대만의 중국어를 공부할 경우 주음부호라는 대체재가 있기 때문에 굳이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을 알 필요가 없지만[4] '중국학'을 공부하기 위해 영어 등 서양 언어권 자료를 보아야 하는 사람들은 꼭 알아야 하는 표기법이다.
영국인이 만들었기에 영어 사용자들이 영어식으로 읽으면 어느 정도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그리고 흔히 쓰이는 다른 표기법과 달리 주음부호보다 먼저 만들어진 표기법이다. 따라서 다른 표기법은 필연적으로 주음부호를 참조할 수밖에 없으나 이건 아니다.
2 음소 표기 원칙
웨이드 자일스 음소 표기의 일반 원칙과 성모 하나하나 운모 하나하나의 표기 방법을 소개한다. 어떤 음소를 어떤 문자로 표현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주음부호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2.1 성모
성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쌍순음 | ㄅ | p |
ㄆ | pʻ | |
ㄇ | m | |
순치음 | ㄈ | f |
설첨음 | ㄉ | t |
ㄊ | tʻ | |
ㄋ | n | |
ㄌ | l | |
설근음 | ㄍ | k |
ㄎ | kʻ | |
ㄏ | h | |
설면음 | ㄐ | ch |
ㄑ | chʻ | |
ㄒ | hs | |
권설음 | ㄓ | ch |
ㄔ | chʻ | |
ㄕ | sh | |
ㄖ | j | |
설치음 | ㄗ | ts |
ㄘ | tsʻ | |
ㄙ | s |
한어병음과 달리, 폐쇄음(파열음. 중국어 명칭: 색음·塞音)과 폐찰음(파찰음. 중국어 명칭: 색찰음·塞擦音)을 ch, k, t, ts, p로만 표기하되 어깻점의 유무로 무기음(중국어 명칭: 불송기음·不送氣音)과 유기음(중국어 명칭: 송기음·送氣音)을 구분했다.[5] 이는 중국어에서 이들 자음이 무성음이기 때문에[6]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 유성음을 나타내는 b, d, g[7], j[8], z[9]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다.
단 유기음을 나타내는 어깻점의 경우, 본래의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여는 따옴표(‘)와 같게 또는 비슷하게 생긴 turned comma(ʻ)로 적었는데(예: pʻing)[10] 나중엔 닫는 따옴표(’)로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예: p’ing).[11][12] 그리고 오늘날 전산 처리 시에는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 열지도 않고 닫지도 않는 따옴표(')와 같은 형태(예: p'ing)로 적는 게 일반적이고. 이 문서는 표기법 자체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으로, 이 문서에서는 원형인 turned comma(ʻ)를 사용한다.
ch와 chʻ는 설면음과 권설음을 모두 포괄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뒤에 오는 모음이 무엇이냐로 설면음과 권설음을 구분한다. 단 ㄒ(한어병음: x)와 ㄕ(한어병음: sh)는 각각 hs와 sh로 적어서 구분된다.[13]
ㄖ(한어병음: r)는 생소하게 j라고 적었다. 원래 ㄖ(한어병음: r) 발음이 이전에는 달랐기 때문이다. ㄖ 성모는 전통적으로 반치음(半齒音)이라고 분류하는 발음이었는데, 고어에서 원래의 발음이 무엇이었는지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분분하나[14] 어쨌든 치찰음(齒擦音, sibilant, 중국어: 有噝擦音) 계열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비교적 보수적인 발음 체계를 가진 표준중국어 화자들은 국제음성기호로 적었을 때 [ʐ]에 해당하는 소리로 발음한다.[15] 웨이드와 자일스의 시대에는 ㄖ를 이렇게 발음한 사람이 지금보다는 많았을 것이고 실제로도 웨이드와 자일스는 이 발음을 기준으로 로마자 표기를 정했기 때문에 영어, 프랑스어 등에서 역시 치찰음으로 쓰는 j로 표기하도록 결정하였다. 더 정확히 따지면 웨이드와 자일스는 프랑스어의 j 발음 [ʒ]을 염두에 두고 이와 유사한 ㄖ[ʐ]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채택하였다.[16]
단 운모에서는 j를 안 쓰므로 주의. 운모 ㄦ(한어병음: er)은 절대 운미를 [ʐ]처럼 발음하지 않고 무조건 [ɻ]로 발음하기 때문에 웨이드 자일스 식에서도 j를 안 쓰고 대신 êrh로 적는다.[17]
설치음 ts, tsʻ, s는 ŭ 앞에서 tz, tzʻ, ss로 적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도 언급한다.
2.2 운모
운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두 가지 표기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음의 종류 | 주음부호 | 성모 있음 | 성모 없음 |
단운모 | ㄭ(帀) | ih/ŭ | – |
ㄚ | a | ||
ㄛ[18] | o | ||
ㄜ | ê/o | ||
ㄝ[19] | eh | ||
ㄧ[20] | i | i/yi | |
ㄨ | u | wu | |
ㄩ | ü | yü | |
복운모 | ㄞ | ai | |
ㄟ | ei | ||
ㄠ | ao | ||
ㄡ | ou | ||
부성 운모 | ㄢ | an | |
ㄣ | ên | ||
ㄤ | ang | ||
ㄥ | êng | ||
권설 운모 | ㄦ | êrh | |
결합 운모 | ㄧㄚ | ia | ya |
ㄧㄝ | ieh | yeh | |
ㄧㄞ | (iai) | yai | |
ㄧㄠ | iao | yao | |
ㄧㄡ | iu | yu | |
ㄧㄢ | ien | yen | |
ㄧㄣ | in | yin | |
ㄧㄤ | iang | yang | |
ㄧㄥ | ing | ying | |
ㄨㄚ | ua | wa | |
ㄨㄛ | o/uo | wo | |
ㄨㄞ | uai | wai | |
ㄨㄟ | ui/uei | wei | |
ㄨㄢ | uan | wan | |
ㄨㄣ | un | wên | |
ㄨㄤ | uang | wang | |
ㄨㄥ | ung | wêng | |
ㄩㄝ | üeh | yüeh | |
ㄩㄢ | üan | yüan | |
ㄩㄣ | ün | yün | |
ㄩㄥ | iung | yung |
- ㄭ(帀) ih/ŭ
- 이 운모는 주음부호로는 일반적으로 표기하지 않는 운모로, 한어병음에서 c, ch, r, s, sh, z, zh 뒤에 오는 i에 해당되는 운모이다.
- 권설음 (ㄓch(한어병음: zh), ㄔchʻ(한어병음: ch), ㄕsh, ㄖj(한어병음: r)) 뒤에서는 ih로 적는다. 즉 음절 ㄓ(한어병음: zhi), ㄔ(한어병음: chi), ㄕ(한어병음: shi), ㄖ(한어병음: ri)는 각각 chih, chʻih, shih, jih로 적는다.
- 설치음 (ㄗts(한어병음: z), ㄘtsʻ(한어병음: c), ㄙs) 뒤에서는 ŭ로 적는다. 다만 성모의 표기도 바뀐다. ts는 tz로, tsʻ는 tzʻ로, s는 ss로 바뀐다. 즉 음절 ㄗ(한어병음: zi), ㄘ(한어병음: ci), ㄙ(한어병음: si)는 각각 tzŭ, tzʻŭ, ssŭ로 적는다.[21]
- ㄜ ê/o
- 성모가 있는 경우: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 뒤에서는 o로 적고, 나머지 성모 뒤에서는 ê로 적는다. 즉 ko, kʻo, ho, lê, shê, tsʻê(한어병음: ge, ke, he, le, she, ce)와 같이 표기한다. 자세한 것은 아래 '(ㄨ)ㄛ, ㄜ의 표기' 단락을 참고할 것.
- 성모가 없는 경우(즉 ㄜ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경우): 글자에 따라 ê 또는 o로 적는다. ê와 o가 어떤 기준에 따라 나뉘는지는 아는 사람이 추가 바람. 다만 실제로는 ê와 o를 나누지 않고 ê로만 적는 게 일반적인 듯하다.
- 성모가 없는 경우(즉 ㄧ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경우)의 ㄧ i/yi
- 성모가 있는 경우의 ㄨㄛ o/uo
-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 ㄕsh 뒤에서는 uo로 적고, 나머지 성모 뒤에서는 o로 적는다. 즉 kuo, kʻuo, huo, shuo, tʻo, cho, jo, so(한어병음: guo, kuo, huo, shuo, tuo, zhuo, ruo, suo)와 같이 표기한다. 자세한 것은 아래 '(ㄨ)ㄛ, ㄜ의 표기' 단락을 참고할 것. 이는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 만들어지던 당시에는 羅, 多 (웨이드 자일스: lo², to¹; 한어병음: luó, duō) 등의 글자의 발음에 -u-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성모가 있는 경우의 ㄨㄟ ui/uei
-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뒤에서는 uei로 적고, 나머지 성모 뒤에서는 ui로 적는다. 즉 kuei, kʻuei, hui, shui, chʻui(한어병음: gui, kui, hui, shui, chui)와 같이 표기한다.[23]
기타 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한어병음과 마찬가지로 운모 표기에서 주의할 점이 많다.
- ㄧi가 성모 없이 쓰일 경우, 운미가 붙을 때에만 앞에 y를 박아서 yi라고 쓴다. in → yin, ing → ying. 여기까지는 한어병음과 같은데, 성모가 없으면서 운미가 안 붙을 때(즉 ㄧi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때)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글자에 따라 i 또는 yi가 쓰인다.
- ㄨu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앞에 w를 박아서 wu라고 쓴다. 한어병음과 같다.
- ㄩü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앞에 y를 박는다. 한어병음과는 달리 점을 생략하지는 않아서 yü라고 쓴다. 운복이나 운미가 붙을 때도 이 규칙을 준용한다.
- ㄧi가 운두이고 운복을 가지는 운모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i가 y로 바뀐다(예: iao → yao). 운미 유무 상관없이 운두와 운복을 갖췄으면 다 적용된다(예: iang → yang). 한어병음과 같다.
- ㄨu가 운두이고 운복을 가지는 운모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u가 w로 바뀐다(예: uai → wai). 운미 유무 상관없이 운두와 운복을 갖췄으면 다 적용된다(예: uang → wang). 한어병음과 같다.
- ㄝ(한어병음: ê)는 e가 아니라 eh로 적는다.[24]
- 복운모에서 약해지는 발음이 아예 철자상에서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ㄧㄣ(한어병음: in)은 주음부호 그대로 적으면 iên이 돼야겠지만 in으로 적는다. 물론 성모가 없으면 yin이 된다. ㄧㄥ 역시 ing(ying), ㄩㄣ 역시 ün(yün). 한어병음과 완전히 똑같진 않지만 비슷하다.
- ㄨㄣ(한어병음: wen, un)은 성모가 없을 때는 wên이고, 있을 때는 un이다. 이것도 한어병음과 완전히 똑같진 않지만 비슷하다.
- ㄧㄡ(한어병음: you, iu)는 주음부호 그대로 적으면 iou지만 o가 사라져서 iu가 되고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yu가 된다(한어병음에 이끌려서 '위'처럼 읽지 않도록 하자). 이 부분은 한어병음과 조금 다르니 주의.
- ㄨㄟ(한어병음: wei, ui)도 마찬가지로 성모가 없으면 wei지만, 있으면 위에서 설명했듯 uei와 ui로 나뉜다.
- ㄧㄢ(한어병음: yan, ian)은 주음부호 그대로 쓰면 yan, ian이 돼야겠으나 영어 화자가 쉽게 읽을 수 있게 yen, ien으로 표기한다.
- ㄩㄥ(한어병음: iong)은 아예 표기가 iung/yung이고, ㄨㄥ(한어병음: weng, ong)은 성모가 없을 때는 wêng지만, 있을 때는 ung이다.[25]
참고로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 만들어질 당시에는 chio, chʻio, hsio, yo라는 음절도 존재했는데, 이들은 현재 chüeh, chʻüeh, hsüeh, yüeh(한어병음: jue, que, xue, yue)가 됐다.
2.2.1 (ㄨ)ㄛ, ㄜ의 표기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ㄛ, ㄨㄛ, ㄜ는 원칙적으로 각각 o, uo, ê로 적혀야 하겠지만 실제로는 불규칙하게 대응돼 있다. 그래서 아래에 대응표로 정리한다.
2.2.1.1 주음부호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표준중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은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 ㄛ(한어병음: o)와 결합 시
주음부호 | ㄛ | ㄅㄛ | ㄆㄛ | ㄇㄛ | ㄈㄛ | ㄌㄛ |
한어병음 | o | bo | po | mo | fo | lo |
웨이드 | o[18] | po | pʻo | mo | fo | lo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26],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 ㄨㄛ(한어병음: uo, wo)와 결합 시
주음부호 | ㄨㄛ | ㄉㄨㄛ | ㄊㄨㄛ | ㄋㄨㄛ | ㄌㄨㄛ | ㄍㄨㄛ | ㄎㄨㄛ | ㄏㄨㄛ | ㄓㄨㄛ | ㄔㄨㄛ | ㄕㄨㄛ | ㄖㄨㄛ | ㄗㄨㄛ | ㄘㄨㄛ | ㄙㄨㄛ |
한어병음 | wo | duo | tuo | nuo | luo | guo | kuo | huo | zhuo | chuo | shuo | ruo | zuo | cuo | suo |
웨이드 | wo | to | tʻo | no | lo | kuo | kʻuo | huo | cho | chʻo | shuo | jo | tso | tsʻo | so |
성모가 없는 ㄨㄛ는 wo로 적는다. 순음 ㄅp(한어병음: b), ㄆpʻ(한어병음: p), ㄇm, ㄈf가 아닌 다른 성모가 올 경우 ㄨㄛ를 o로 적되, 특이하게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와 ㄕsh만 예외로 uo로 적는다.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 ㄜ(한어병음: e)와 결합 시
주음부호 | ㄜ | ㄇㄜ | ㄉㄜ | ㄊㄜ | ㄋㄜ | ㄌㄜ | ㄍㄜ | ㄎㄜ | ㄏㄜ | ㄓㄜ | ㄔㄜ | ㄕㄜ | ㄖㄜ | ㄗㄜ | ㄘㄜ | ㄙㄜ |
한어병음 | e | me | de | te | ne | le | ge | ke | he | zhe | che | she | re | ze | ce | se |
웨이드 | ê/o | mê | tê | tʻê | nê | lê | ko | kʻo | ho | chê | chʻê | shê | jê | tsê | tsʻê | sê |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만 ㄜ를 o로 적고, 설근음이 아닌 성모가 올 경우 ê로 적는다. 성모가 없는 경우 글자에 따라 ê와 o로 나뉜다.
2.2.1.2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 주음부호
표준중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은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o로 적는 경우
웨이드 | o[18] | po | pʻo | mo | fo | to | tʻo | no | lo | ko | kʻo | ho | cho | chʻo | jo | tso | tsʻo | so | |
주음부호 | ㄜ/ㄛ | ㄅㄛ | ㄆㄛ | ㄇㄛ | ㄈㄛ | ㄉㄨㄛ | ㄊㄨㄛ | ㄋㄨㄛ | ㄌㄛ | ㄌㄨㄛ | ㄍㄜ | ㄎㄜ | ㄏㄜ | ㄓㄨㄛ | ㄔㄨㄛ | ㄖㄨㄛ | ㄗㄨㄛ | ㄘㄨㄛ | ㄙㄨㄛ |
한어병음 | e/o | bo | po | mo | fo | duo | tuo | nuo | lo | luo | ge | ke | he | zhuo | chuo | ruo | zuo | cuo | suo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에 성모 o가 붙을 때는 ㄜê(한어병음: e)와 결합된 것으로 간주된다. 나머지 성모에 o가 붙을 경우 ㄨㄛuo/wo와 결합된 것으로 간주된다. 성모가 없을 경우 ㄜ 또는 ㄛ로 간주된다.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uo, wo로 적는 경우
웨이드 | wo | kuo | kʻuo | huo | shuo |
주음부호 | ㄨㄛ | ㄍㄨㄛ | ㄎㄨㄛ | ㄏㄨㄛ | ㄕㄨㄛ |
한어병음 | wo | guo | kuo | huo | shuo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uo(wo)가 나타나는 경우는 전부 ㄨㄛuo/wo에 대응되는데, 이 철자가 쓰이는 경우가 제한돼 있다. 성모가 없는 ㄨㄛ의 경우에는 wo로 적는다. 성모가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이거나 ㄕsh이고 성모가 ㄨㄛuo/wo일 경우에만 uo를 붙인다.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ê로 적는 경우
웨이드 | ê | mê | tê | tʻê | nê | lê | chê | chʻê | shê | jê | tsê | tsʻê | sê |
주음부호 | ㄜ | ㄇㄜ | ㄉㄜ | ㄊㄜ | ㄋㄜ | ㄌㄜ | ㄓㄜ | ㄔㄜ | ㄕㄜ | ㄖㄜ | ㄗㄜ | ㄘㄜ | ㄙㄜ |
한어병음 | e | me | de | te | ne | le | zhe | che | she | re | ze | ce | se |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ê가 나타나는 경우는 전부 ㄜê(한어병음: e)에 대응된다. 하지만 설근음 성모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 뒤에는 ê가 오지 않는다(즉, kê, kʻê, hê라는 표기는 없다). 설근음 성모와 운모 ㄜê가 결합할 경우 성모 부분을 o로 적는다는 예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즉, ko, kʻo, ho로 적는다).
2.3 성조
성조는 각 음절 뒤에 성조 번호를 아라비아 숫자로 쓰되 올려 쓴다(위 첨자). 즉 1성은 ¹, 2성은 ², 3성은 ³, 4성은 ⁴로 쓴다. 경성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전·교과서를 제외하고는 성조 번호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근데 요즘에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으로 만든 중국어 사전·교재가 몇이나 있으려나...
2.4 기타
- 음절 사이마다 하이픈(-)을 쓴다. 예를 들면 piao는 한 음절이고 pi-ao는 두 음절이다. 한어병음은 음절을 죽 붙여 쓰되 혼동의 여지가 있을 경우 어깻점(')을 붙이는 데 반해,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으로는 하이픈으로 음절 구분을 해 주는 게 원칙이다. 단 지명들을 간략하게 적을 때는 하이픈을 안 쓰고 이어 쓰는 경우가 많다.
- 얼화 운미를 적는 방법에 대해서는 따로 규정돼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7]
3 약식 웨이드 표기법
종종 사용되는 약식 웨이드(Simplified Wade) 표기법이 있는데 표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어깻점(ʻ) 대신 h로 적는다. 즉 chʻ 대신 chh로, kʻ 대신 kh로, pʻ 대신 ph로, tʻ 대신 th로 적는다.
- 성조를 나타낼 때 1성은 생략하고, 2~4성은 음절 뒤에 각각 v, x, z를 덧붙인다. 즉 ma¹를 ma로, ma²를 mav로, ma³를 max로, ma⁴를 maz로 표기한다.
위의 경우는 무기음과 유기음의 구분, 성조 구분(경성 제외)을 유지하는 표기들이다. 하지만 인명이나 지명 표기에서는 표기의 간략함을 위해 과감히 정확한 발음 표기를 포기하여 다음과 같이 적는다. 한국에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유사한 표기법을 공식적으로 사용했을 때 인명이나 지명 표기 시 흔히 각종 부호들을 생략했던 것(P'yŏngch'ang → Pyongchang 등)과 같다고 보면 된다.
- 어깻점(ʻ)을 생략한다. 즉 무기음과 유기음을 구분하지 않는다.
- 성조 번호를 쓰지 않는다. 즉 성조를 구분하지 않는다.
-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때에 따라 음절 구분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게 된다. 단, 인명의 경우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쓴다.[28] 하이픈 뒤에 오는 알파벳은 소문자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모음 위에 쓰는 악센트 부호들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일부 발음은 헷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yu와 yü는 악센트 생략 시 똑같이 yu가 돼서 구분이 안 된다.
4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유산
- 대만(중화민국)에서 쓰이는 관행적 로마자 표기(인명, 유명 지명 등)에서 아직도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나 그 변형 표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리셴룽처럼 최근 일부 싱가포르 화교들도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나 그 변형 표기로 성명을 적는 경우가 있다. 아니면 한어병음방안으로 쓴다[29].
- 중국의 옛 로마자 지명 표기법인 우정식 병음에서 상당수의 지명들이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을 그대로 쓰거나 그걸 변형한 표기가 채택되었다. 이게 현재 대만 내 유명 지명들의 표기에도 영향을 끼쳤다.
- 대만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에서도 역사가 오래된 대학들의 영문 표기에서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나, 여기의 영향을 받은 우정식 병음이 사용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30]에서 웨이드 자일스식 철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표기 방식들이 일부 존재한다.
- ㄧㄢien/yen(한어병음: ian/yan)과 ㄩㄢ(y)üan(한어병음: üan/yuan) 모두 끝 발음이 '엔'에 가깝게 발음되지만(전자는 이엔 또는 옌, 후자는 위엔처럼 발음), 외래어 표기법에서 전자는 '옌', 후자는 '위안'으로 적게 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상의 이런 비일관성은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 가지고 있던 비일관성을 그대로 이어 받은 것으로 보인다.
- ㄨㄟui/uei/wei(한어병음: ui/wei) 및 ㄨㄣun/wên(한어병음: un/wen)과 ㄧㄡiu/yu(한어병음: iu/you)는 한어병음의 경우 성모가 있을 경우 따라서 운모 내에서 탈락하는 글자가 있다. 하지만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전자 두 개만 그렇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전자는 성모가 있을 경우 각각 '우이'와 '운', 없을 경우 '웨이'와 '원'으로 적게 하고 있는데 반해, 후자는 성모 유무와 상관 없이 '유'로 적게 하고 있다. 이 점 역시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31]
- 한어병음의 경우 ao(ㄠ, 웨이드 자일스식: ao), ong(ㄨㄥ, 웨이드 자일스식: ung) 등의 o는 원래 u여야 하는데 악필일 경우 u가 n으로 잘못 보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이다. 그런데 외래어 표기법상 둘을 일관되게 '아오' 및 '옹'이나 '아우' 및 '웅'으로 적지 않고, 전자는 '아오', 후자는 '웅'으로 적게 하고 있다. 이 역시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ao, ung이라는 철자에 이끌려서 정해진 규정으로 추정된다.
- ↑ 일부 학자들은 중화인민공화국과 관련된 것에 한해 한어병음을 사용하고 나머지 역사적 중국에 대한 것은 죄다 이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 ↑ 중화민국(대륙 통치 시기와 대만 이주 이후 모두 포함)의 경우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법은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통용병음 → 한어병음 순으로 바뀌어 왔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으로 대체돼 왔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국어라마자나 주음부호 2식 등은 널리 쓰이지 못했다.
- ↑ 대만은 아니지만 싱가포르 총리 리셴룽도 자기 이름을 Lee Hsien Loong으로 표기한다. 웨이드식과 완전 일치하지는 않으나 이 표기법을 아는 사람은 한자 표기를 몰라도 발음을 유추할 수 있다.
- ↑ 경우에 따라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을 아는 것이 편할 수도 있다. 대만 사람들이 자기 이름을 로마자 사용 외국어로 표기할 때 이 방식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서 몇몇 운모는 웨이드 자일스 철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표기 방식들이 혼재돼 있다.
- ↑ 한국어를 표기하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도 유사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 ↑ 단 경성(輕聲)에서는 유성음으로 바뀐다. 하지만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는 한국어를 표기하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달리 이 변이음을 반영해서 표기하지 않는다.
- ↑ 단 운미 ng에서는 쓰인다.
- ↑ 대신 접근음인 ㄖ(한어병음: r)를 표기하는 기호로 썼다. 이유는 이어서 설명한다.
- ↑ 단, ㄗtzŭ(한어병음: zi), ㄘtzʻŭ(한어병음: ci) 같은 표기에서는 쓰인다. 본문에서 설명한다.
- ↑ 언어학자(중국어에 한정 않음)들이 위 첨자로 쓴 콤마(ʽ : 고전 그리스어 표기법에서 /h/ 음가를 나타낼 때 썼던 보조 부호에서 유래함) 또는 이것과 비슷하게 생긴 turned comma(ʻ)를 유기음을 나타내는 보조 부호로 쓰기도 한다. 이 경우 표준 국제음성기호의 [ʰ\]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보조 부호 또는 [ʰ\]보다 강도가 약한 유기음을 나타내는 보조 부호로 쓴다. 원래의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유기음 보조 기호를 여는 따옴표로 적었던 것은 언어학계의 이런 표기 관행에서 기인한다.
- ↑ 아무래도 영어 등 많은 언어에서 어깻점을 닫는 따옴표와 동일한 형태로 적는 경우가 많아(예: John’s)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영어 등의 어깻점은 쓰임새가 다르긴 하지만 일관성 때문에 이렇게 바뀌게 된 것이다.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도 유기음을 표기할 때 어깻점을 사용하는데,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과 달리 어깻점의 방향은 처음부터 신경 쓰지 않은 듯하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1939년 원문에서부터 어깻점을 그냥 닫는 따옴표(’)와 똑같은 형태로 적었고, turned comma(ʻ)와 같은 형태로 적은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 ↑ hc나 hcʻ 같은 표기가 없는 이유는 영어에서 완전히 엉뚱한 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어를 전혀 모르는 영어 사용자가 hs라는 철자를 볼 경우 생소해서 갸웃하긴 해도 ㅅ 계열의 어떤 발음으로 읽으려 들 것이다. h를 묵음으로 취급해 hs를 통째로 s처럼 읽든지, sh처럼 읽든지... 어느 쪽으로 읽든 원래 중국어 발음과 괴리가 크지 않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ㄐ(한어병음: j)와 ㄑ(한어병음: q)를 hc, hcʻ 식으로 적을 경우 문제가 생긴다. 영어 화자가 이 철자의 h를 묵음 취급하고 c를 k나 s처럼 읽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러면 원래 중국어 발음과 상당한 괴리가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이 성모들은 hc, hcʻ 같은 철자를 쓰지 않고 권설음과 동일하게 ch, chʻ로 표기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으니까 성모의 엄밀한 구분을 포기한 셈이다.
- ↑ 이 성모는 현대 중국어에서 방언마다 발음이 다르다.
- ↑ 흔히 오늘날 중국어 학습 시 배우는 ㄹ 같은 권설음은 국제음성기호로 [ɻ\]라고 적는다. 치찰음의 일종인 [ʐ\]가 구식 발음이라면 비치찰음인 [ɻ\]는 신식 발음이다(단 성모에만 한정한다). 참고로 성모 ㄖ를 [ʐ\]로 발음하는 사람의 경우 [ʂ\]로 발음되는 ㄕ(sh)와 유·무성 차이로만 변별되는데, 다른 표준 중국어 음소들은 이렇게 유·무성 대립으로 구분되는 발음이 없다. 따라서 이런 성모 ㄖ를 [ʐ\]로 발음하는 사람은 ㄖ와 ㄕ만 예외적으로 유·무성 대립으로 변별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성모 ㄖ를 신식인 [ɻ\]로 발음하는 사람은 어떤 음소도 유·무성의 차이만 양자를 다르게 발음하진 않는다. 아무래도 ㄖ의 발음이 본래 [ʐ\]로 발음됐다가 점차 [ɻ\]로 변화한 것은, 유독 ㄖ와 ㄕ만 유·무성 대립을 통해 서로를 구분하는 게 불안정하다는 점도 한 원인이 됐을 듯.
- ↑ 참고로 영어에서 흔히 쓰는 j 발음은 프랑스어와 달리 파찰음인 [dʒ\]이다.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둘 다 ㅈ으로 적히는 건 매한가지다.다만 영어권 화자들도 영어에 비교적 근래에 들어온 프랑스어 단어의 j는 [ʒ\]로 발음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이름 Jean(장)의 J 부분은 영어권 화자들도 마찰음 [ʒ\]로 읽는다. 또, 이런 경우 외에도 영어 단어 중에 [ʒ\]가 발음되는 경우가 있긴 하다(철자는 j가 아니지만). 영단어 vision의 si, pleasure의 s 부분이 [ʒ\]로 읽힌다. - ↑ 조선시대에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등 역관(譯官)들이 학습용으로 쓰던 교재에서 북방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기재한 문헌들을 보면 오늘날 [ʐ\](보수적 발음)나 [ɻ\]로 발음되는 성모를 초성 ㅿ을 쓰는 데 반해 운미 [ɻ\]는 종성 ㄹ로 썼다. 따라서 성모 ㄖ([ʐ\] 또는 [ɻ\])는 과거에 치찰음 계통의 발음이었지만, 운미의 [ɻ\]은 원래부터 비치찰음 계통의 발음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18.0 18.1 18.2 성모가 없는 음절 ㄛ는 감탄사에서 나타나는 음절이라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걸 유추해서 o로 적을 수 있을 듯하고, ㄧㄛ(한어병음: io, yo)도 유추해서 io/yo로 적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제 용례는 어떤지 확인 바람.
- ↑ 한어병음에서는 e가 상황에 따라 발음이 크게 달라진다. 다만 감탄사 등에서 순수하게 '에' 발음을 나타낼 때 ê라는 표기를 쓰도록 정해져 있는데, 실제로는 거의 안 쓰인다. 한어병음 문서 참고. 반면에 ê는 웨이드 자일스식에서 '어'스러운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라 한어병음의 ê와 역할이 다르니 주의.
- ↑ 한어병음에서는 c, ch, r, s, sh, z, zh 뒤에도 i를 표기하는데, 이 i에 대응되는 웨이드 자일스 표기는 위의 ih/ŭ이다. 자세한 것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할 것.
어차피 이 각주는 주음부호를 아는 사람에게는 군더더기고, 한어병음만 아는 사람의 혼동을 막기 위한 것. - ↑ 왜 이렇게 정했는지 아시는 분이 있다면 설명 추가 바람.
- ↑ 그래서 주역, 즉 역경(易經)의 보통화 발음 '이징(Yìjīng)'을 웨이드식으로 표기하면 I⁴-ching¹이 된다.
덕분에 영미권에서는 '아이칭'으로 오독하는 경우가 잦다 - ↑ 웨이드와 자일스가 생각하기에 ㄍk, ㄎkʻ 뒤에서는 [e\] 발음이 잘 탈락하지 않는다고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근데 어떤 성모 뒤에 ㄨㄟ가 왔을 때 [e\] 발음이 탈락하는지는 사람마다 발음이 조금씩 달라서 단정적으로 서술하긴 힘들다. 일단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성모가 없거나 ㄍk, ㄎkʻ가 올 경우 e를 표기하는 것으로, 한어병음은 성모가 없을 때만 e를 표기하는 것으로 규정했지만...
- ↑ 아무래도 영어와 프랑스어 등에서 단어 끝에 오는 e가 묵음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영어나 프랑스어만 아는 사람이 봤을 때 헷갈리지 않도록 한 조치일 수도 있다. 하지만 eh의 h는 비경제적인 면이 있다. 그래서인지 한어병음은 이런 점을 고려해서 가급적 e만 쓰고, 감탄사에서만 쓰이는 단운모 ㄝ에 한정해서만 ê(웨이드 자일스 표기법과 반대)를 쓰게 했다. 그리고 eh 같은 표기는 쓰지 않도록 조치했다. 다만 한어병음은 고려하지 않고 주음부호와 웨이드식의 상호 전환만 놓고 보면 이 표기는 굉장히 편리하다. eh는 무조건 ㄝ가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ㄝ는 무조건 eh가 된다.
- ↑ 일반적으로 ㄨㄥ은 성모가 없으면 '웡'에 가깝게 발음하고 성모가 있으면 '웅'이나 '옹'에 가깝게 발음한다. 그래서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과 한어병음에서는 이 차이를 감안해서 표기를 달리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의성어에 대해 예외를 인정해서 성모가 없는 경우에도 weng뿐만 아니라 ong도 가능한 발음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소수 있다. 한어병음 문서에 설명이 있으니 참고할 것. 물론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는 그런 거 없다. 성모 없으면 무조건 wêng, 있으면 무조건 ung이다.
- ↑ 경성에서 나타나는 음절.
- ↑ 굳이 적는다면 주음부호처럼 얼화음 자체를 경성으로 독립된 음절로 취급해서, êrh이라고 쓰면 될 듯하다. 표기 사례 확인 바람.
- ↑ 한어병음으로 인명을 표기할 때는 하이픈을 안 쓰고 붙여 쓴다. 음절 구분을 해 줘야 할 때는 어깻점(')을 쓴다.
- ↑ 싱가포르는 현재 표준중국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화교 상당수는 본래 표준 중국어 사용 지역 출신이 아니었다. 그래서 인명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방언 발음을 기준으로 적는 경우가 구 세대에서 흔한 편이며 지금도 그런 사람들이 꽤 있다. 리셴룽의 아버지 리콴유도 그런 케이스였다. 하지만 리셴룽은 부친과 달리 본인의 이름을 표준중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다.
- ↑ 물론 외래어 표기법은 기본적으로 원어의 철자법이나 로마자 표기법상의 철자가 아닌 원어의 발음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긴 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철자의 영향을 받은 규정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 ↑ 다만 ㄨㄟui/uei/wei의 경우 한어병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규정도 내포하고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이 운모는 성모가 ㄍ, ㄎ(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k, kʻ / 한어병음: g, k)일 때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과 한어병음의 표기 원칙이 다르다.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성모가 ㄍ, ㄎ일 경우 철자 탈락 없이 uei로 적게 하지만 한어병음은 성모가 ㄍ, ㄎ일 때도 다른 성모와 동일하게 취급해서 ui로 적게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성모가 없으면 '웨이', 있으면 무조건 '우이'로 적게 하고 있으니, 이 부분에서는 한어병음 철자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원칙 없이 뒤죽박죽 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