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어병음

한어병음방안 / 漢語拼音方案 / 汉语拼音方案 / Hànyǔ Pīnyīn Fāng'àn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
국어라마자한어병음
1958~현재
현행
중화민국(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
통용병음한어병음
2009~현재
현행
  • 복사용
    • 일반
      • ā á ǎ à · ē é ě è · ī í ǐ ì · ō ó ǒ ò · ū ú ǔ ù · ü ǖ ǘ ǚ ǜ
      • Ā Á Ǎ À · Ē É Ě È · Ī Í Ǐ Ì · Ō Ó Ǒ Ò · Ū Ú Ǔ Ù · Ü Ǖ Ǘ Ǚ Ǜ
    • 특수
      • ê ê̄ ế ê̌ ề · m̄ ḿ m̌ m̀ · n̄ ń ň ǹ · ĉ · ŝ · ẑ · ŋ ŋ̄ ŋ́ ŋ̌ ŋ̀
      • Ê Ê̄ Ế Ê̌ Ề · M̄ Ḿ M̌ M̀ · N̄ Ń Ň Ǹ · Ĉ · Ŝ · Ẑ · Ŋ Ŋ̄ Ŋ́ Ŋ̌ Ŋ̀

1 개요

한어 병음 방안은 1958년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정되었고 1982년에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표준으로도 등록된(ISO 7098)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다. 싱가포르에서도 사용은 하지만 지명의 외국어 표기에서는 잘 안 쓴다. 이유는 아래 참고.

주음부호와 더불어 중국어를 표음 표기하는 체계 중 하나이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병음으로 한자 입력을 한다.[1]

보통 중국어를 배울 때 이 병음으로 발음을 배우게 된다(주음부호로 배우는 것도 나쁘지 않다).

중국 고유 명사를 영어권에서 표기할 때는(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에서도 어느 정도 통용) 기본적으로는 한어 병음 방안을 바탕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성조 부호는 생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싱가포르 지명은 한어 병음을 바탕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은데, 영어, 말레이어를 음차하거나 번역한 지명도 많고, 표준중국어가 아닌 방언 발음을 바탕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가령 싱가포르의 女皇鎮의 영어 표기는 Nühuangzhen이 아니라 원래 어원인 Queenstown으로 쓴다.

대만에서는 사정이 좀 다른데, 그 이전에도 국어 주음부호 2식 등 여러 가지 대만식 로마자 방안이 있었다. 그러나 대만인들이 가장 널리 사용한 건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이었다. 이후 2002년에 대만에서 자기 나름대로의 로마자 방안을 고안한 '통용병음'이 채택되었지만, 애초에 대만인들은 학교에서 한자를 배우거나 키보드 입력을 할 때 주음부호를 사용하므로 어느 쪽 병음이건 쓸 일이 그다지 없고, 또 외국인들은 당연히 중국 쪽의 병음을 사용할 것이므로 사실상 거의 쓸모가 없다는 말이 나왔고, 결국 2009년 1월 1일을 기해 통용 병음은 더 이상 공식 표기가 아니게 되었다.

현재는 중화민국에서도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한어 병음 방안을 받아들였다[2]. 그러나 타이베이 시 같은 대도시에서는 표지판의 영문 표기가 한어 병음 방안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잘 지켜지는 편인데, 다른 지역에 가 보면 현재도 웨이드식, 통용 병음 등 다른 표기를 따라간 영문 표기도 여럿 발견된다. 대만에서까지 보이는 x와 q는 너무나 어색해 예를 들어 중화민국의 유명한 도시들의 영문 표기는 전통적으로 써 온 철자(웨이드식 같은 다른 로마자 표기법의 영향을 받거나 관습에 의한 것)대로 쓴다. 병음 표기와 영문 표기를 일치시키기 위해 베이징까지 영어 철자를 바꾼 중화인민공화국과는 대조되는 것[3]. 지룽(基隆)은 Jilong이 아닌 Keelung, 가오슝(高雄)은 Gaoxiong이 아닌 Kaohsiung[4], 신(新竹)는 Hsinchu지만 그 옆에 있는 베이(竹北)는 Zhubei이다. 신주는 나름대로 유명한 도시라서 전부터 쓰던 대로 썼지만, 주베이는 그리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라 그냥 한어병음방안대로 표기한 것. 이렇게 한어병음을 공식적으로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옛 표기법들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로는 한어병음이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정된 표기법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안 좋은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것도 있다. 실제로 본성인들이 많은 대만 남부로 갈수록 한어병음 표기가 잘 지켜지지 않는 편이라고 한다. 남부로 갈수록 통용병음이 많고(아예 가오슝 첩운 역들은 전부 통용병음이다!) 북부에서도 타이베이시 바로 옆의 신베이시의 경우 통용병음과 한어병음(반차오역), 심지어 우정식 병음(단수이역)이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난립한다. 정작 타이베이시 안에서도 우정식 병음을 쓰는 동네가 있다는 건 함정.

다만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중화민국 내 소수 민족 언어를 한자로 음차한 경우 외국어에서 지명을 표기할 때 음차한 표준중국어 발음의 한어병음 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언어의 발음을 기초로 표기한다. 물론 음차했다는 인식이 강한 경우에만 그렇다. 실제로는 소수 민족 언어를 음차한 것이지만 그런 인식이 별로 들지 않은 경우는 영어로도 그냥 음차한 표준중국어 발음대로 표기한다. 가령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도 위륌치(우루무치)의 경우 Wulumuqi가 아니고 Ürümqi, 중화민국 타이완 성 화롄 현의 타로코(타이루거)는 Tailuge가 아니라 Taroko이다. 물론 싱가포르에서 말레이어나 영어를 음차/번역한 지명은 원래대로 말레이어나 영어 철자를 그대로 따라간다. 위에서 예를 든 Queenstown이 좋은 예. 물론 이런 고유명사들을 영어 등 외국어로 옮길 때가 아니라 그냥 표준중국어 발음을 옮겨 발음 기호로서 쓸 때는 당연히 한어병음을 그대로 쓴다.

그리고 영어권에서 표기할 때 성조 부호가 생략되다 보니 대륙의 산시(陝西/陕西, Shǎnxī) 성과 산시(山西, Shānxī) 성의 표기가 Shanxi로 같아져 버리는데, 이 둘을 구별하기 위해 산시(陝西/陕西, Shǎnxī) 성은 Shaanxi로 표기한다.[5] 산시(山西, Shānxī)는 그냥 Shanxi로 쓰고. 물론 이 두 지명도 외국어로 표기할 때 말고 중국어의 발음기호로서 쓸 때는 Shǎnxī와 Shānxī 식으로 쓴다.

중국어 단어를 병음으로 표기한 후 그 약자를 채택하여 쓰는 경우도 있는데, HSK 같은 것이 좋은 예이다. 이 약자를 읽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원래 글자의 발음대로 읽는 것이고, 하나는 라틴 문자의 영어식 발음, 나머지 하나는 라틴 문자의 병음식 발음이다(이게 가장 드물게 쓰인다). 이 세 가지 방법으로 HSK를 읽으면 각각 한위수이핑카오스, 에이치에스케이, 하에스케가 된다. 다만 열차 번호에서는 원래 글자대로 읽는다고 규정되어 있다. 가령 K388에서 K는 快의 병음 표기의 앞 글자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원래대로 kuài sān bǎi bā shǐ bā[6]로 읽는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 여권을 발급할 때 무조건 한어병음을 적용한다.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며, 어깻점과 diacritics(성조 부호 및 Ü의 움라우트)는 모두 생략한다. 다만 예전에는 Ü의 처리 방법에 대해 별다른 표준이 없어서 여권 발급 기관에 따라 U를 사용하기도 했고 V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2012년 8월에 Ü를 YU로 통일해 표기하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현재 吕(Lǚ) 씨는 여권에 LYU로 표기되고, 女(nǚ)는 여권에 NYU로 표기된다. 어깻점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두 음절 Yu'an과 한 음절 Yuan은 구분되지 않고 모두 YUAN으로 표기된다.

2 표기 원칙

한어병음방안의 음소 표기의 일반 원칙과 성모 하나하나 운모 하나하나의 표기 방법을 소개한다. 어떤 음소를 어떤 문자로 표현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주음부호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2.1 성모(聲母)

성모는 중국어 음절에서 첫머리의 자음을 말한다. 성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2.2 운모(韻母)

운모는 중국어 음절에서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한다.

2.2.1 간단한 요약

아래의 상세한 설명이 이해하기 어려운(또는 저 긴 설명을 읽기 귀찮은) 경우, 또는 단순히 철자법만 알면 되(고 그 원리까지는 꼭 알 필요가 없)는 경우 등을 위해 간단한 요약을 따로 만들었다.

운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두 가지 표기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음의 종류주음부호성모 있음성모 없음
단운모a
o
e
ê
iyi
uwu
ü/uyu
복운모ai
ei
ao
ou
부성 운모an
en
ang
eng
권설 운모er/rer
결합 운모ㄧㄚiaya
ㄧㄛ(io)yo
ㄧㄝieye
(ㄧㄞ)(iai)(yai)
ㄧㄠiaoyao
ㄧㄡiuyou
ㄧㄢianyan
ㄧㄣinyin
ㄧㄤiangyang
ㄧㄥingying
ㄨㄚuawa
ㄨㄛuowo
ㄨㄞuaiwai
ㄨㄟuiwei
ㄨㄢuanwan
ㄨㄣunwen
ㄨㄤuangwang
ㄨㄥongweng
ㄩㄝüe/ueyue
ㄩㄢüan/uanyuan
ㄩㄣün/unyun
ㄩㄥiongyong
  • 주음부호로는 표기하지 않는 zh, ch, sh, r, z, c, s 뒤의 운모[7]는 i로 표기한다.
  • ㄩ ü/u, ㄩㄝ üe/ue, ㄩㄢ üan/uan, ㄩㄣ ün/un
    • 성모가 j, q, x 중 하나일 경우 ü를 u로 대체한다. 성모가 l이나 n일 경우 ü를 사용한다.[8]
  • ㄦ er/r
    • 운모 ㄦ(ㄦ이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때)은 er로 표기하고(예: 儿童 értóng), 얼화 운미 ㄦ은 r로 표기한다. 얼화 운미 r은 (실제 발음에 상관없이) 앞 글자 표기와 이어서 쓴다. 가령 边儿는 발음이 biār(뱔)이지만 biānr로 표기한다.
  • 한 단어 내에서 두 번째 음절 또는 그 이후의 음절이 a, o, e 중 하나로 시작하는 경우, 무조건 그 앞에 어깻점(’ 또는 ')을 찍는다. 이는 음절 구분상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piao는 한 음절이고, pi'ao는 두 음절이다.
  • 성조는 모음 글자(a, e, i, o, u, ü) 위에 기호를 붙여 표시한다. 1성은 ¯(āēīōūǖ)을, 2성은 ´(áéíóúǘ)를, 3성은 ˇ(ǎěǐǒǔǚ)을, 4성은 `(àèìòùǜ)를 찍어 나타낸다. 경성에는 원칙적으로 기호를 찍지 않는다. 모음 글자가 하나만 있으면 그 모음 글자에 찍고, 모음 글자가 둘 이상 있으면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찍는다.
    • a나 e가 있으면 그 a나 e에 찍는다. 참고로 표준 중국어에는 a와 e가 모두 포함된 음절이 존재하지 않는다.
    • ou의 경우 o에 찍는다.
    • 나머지 경우에는 마지막 모음 글자에 찍는다.

2.2.2 상세한 설명

운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운모, 운두, 운복, 운미' 등의 용어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표준중국어 운모를 참고하자.[9]

우선 운모는 성모(자음) 이후의 모든 부분을 이르는 것이며, 이 운모가 운두(韻頭), 운복(韻腹), 운미(韻尾)[10]로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운미는 또한 모음 운미와 자음 운미로 나뉘어진다.

  • 운두 : i, u, ü
  • 운복[11] : a, e
  • 운미
    • 모음 운미 : i, u
    • 자음 운미 : n, ng

운두 단독, 운복 단독만으로도 운모를 이룰 수 있으니, 이것이 단운모(單韻母)이다.
운복에 모음 운미가 따라 붙으면 이것이 복운모(複韻母)이다.
운복에 자음 운미가 따라 붙으면 이것이 비운모(鼻韻母)이다.
한편 혀를 굴려서 운복 e를 발음하는 권설운모(捲舌韻母)가 있다.

  • 단운모 : ㄚa, ㄛo, ㄜe, ㄝê[12][13], ㄧi, ㄨu, ㄩü
  • 복운모 : ㄞ ai, ㄟei[14], ㄠao[15], ㄡou[16]
  • 비운모 : ㄢan, ㄣen, ㄤang, ㄥeng
  • 권설운모 : ㄦer

운두에 운복이 붙을 수 있다.

  • i 운두+운복 : ㄧㄚia, ㄧㄝie[17]
  • u 운두+운복 : ㄨㄚua, ㄨㄛuo[18]
  • ü 운두+운복 : ㄩㄝüe[19]

운두에 '운복+운미[20]' 조합이 붙을 수 있다. 즉 '운두+복운모(=운복+모음 운미)', '운두+비운모(=운복+자음 운미)'가 가능하다.
이론적으로는 '운두 3가지[21]×(복운모 4가지[22]+비운모 4가지[23])'이므로 도합 24가지가 가능하겠으나, 실제로 쓰이는 것은 아래 15(또는 16)가지이다.

  • '운두+복운모(=운복+모음 운미)'
    • i 운두+복운모 : (ㄧㄞiai)[24], ㄧㄠiao[25], ㄧㄡiou[26]
    • u 운두+복운모 : ㄨㄞuai, ㄨㄟuei
    • ü 운두+복운모 : 없다(…)
  • '운두+비운모(=운복+ 자음 운미)'
    • i 운두+비운모 : ㄧㄢian, ㄧㄣin[27], ㄧㄤiang, ㄧㄥing[28]
    • u 운두+비운모 : ㄨㄢuan, ㄨㄣuen, ㄨㄤuang, ㄨㄥueng
    • ü 운두+비운모 : ㄩㄢüan, ㄩㄣün[29], ㄩㄥiong[30]

참고로 위 운모들을 운두 기준으로 재분류하면 i 운두 조합은 제치호(齊齒呼), u 운두 조합은 합구호(合口呼), ü 운두 조합은 촬구호(撮口呼)라고 한다. 운두가 없는 경우 개구호(開口呼)라고 한다.

이상의 운모 결합 구조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운두
i
u
ü
운복
a
e
모음 운미
i
u
(예시)
자음 운미
n
ng
(운두) 단운모i, u, ü
(운복) 단운모a, e(ê, o)
복운모(운복+모음 운미)ai, ao(←au),
ei, ou(←eu)
비운모(운복+자음 운미)an, ang,
en, eng
운두+운복ia, ie,
ua, uo(←ue),
üa, üe
운두+운복+모음 운미(iai), iao(←iau), iei, iou(←ieu),
uai, uau, uei, ueu,
üai, üau, üei, üeu
운두+운복+자음 운미ian, iang, in(←ien), ing(←ieng)
uan, uang, uen, ueng
üan, üang, ün(←üen), iong(←üeng)
권설음모er

한편 운모의 철자법에서 다음과 같은 유의점이 있으니 살펴보자.

  • ㄧi가 성모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앞에 y를 추가하여 yi라고 쓴다. 운미가 붙을 때도 이 규칙을 준용한다.(예:ing→ying)
  • ㄨu가 성모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앞에 w를 추가하여 wu라고 쓴다. 운미가 붙을 때도 이 규칙을 준용하고 싶지만 운미가 안 붙는 운모다.
  • ㄩü가 성모 없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앞에 y를 추가하는데, 주의할 점은 이 때 ü에 있는 점 두 개(움라우트)를 생략한다. 결국 최종적으로 보이는 것은 yu. 운복이나 운미가 붙을 때도 이 규칙을 준용한다.
  • ㄧi 운두+운복 조합인 운모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i가 y로 바뀐다.(예:ian→yan[31]) 운미 유무 상관없이 운두와 운복을 갖췄으면 다 적용된다.(예:iang→yang)
  • ㄨu 운두+운복 조합인 운모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u가 w로 바뀐다.(예:uai→wai) 운미 유무 상관없이 운두와 운복을 갖췄으면 다 적용된다.(예:uang→wang)
  • 이외에 ㄩü가 j, q, x 뒤에 후속할 때도 두 점이 빠진다. 그러므로 qu를 '추'처럼 읽지 않도록 주의하자. qu는 ㄑㄨ가 아니라 ㄑㄩ다. 참고로 j, q, x는 구개음이라는 특성상 i, ü를 제외한 다른 운모는 운두가 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ㄨu가 올 일이 없다. 그래서 한어병음에서는 표기의 편의를 위해 이런 경우 ü 위의 두 점을 쓰지 않고 u로 적게 한 것이다. 하지만 ü가 운모가 될 수 있는 다른 성모인 ㄋn, ㄌl과 함께 쓰일 때는 점이 그대로 들어간다. n, l 뒤에는 ㄨu가 올 수 있기 때문에 구분을 안 하면 헷갈리기 때문이다.
  • 운모 내의 운복 e가 발음이 약화되어 표기에 반영되지 않거나, o 등의 다른 모음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 e를 포함하는 복운모(ㄟei[32], ㄡou[33])
      • ㄟei
        • ㄧi와 더해지면 이론상 ㄧㄟiei가 되겠지만 이건 발음 자체가 없다. 고어에서는 이런 발음이 있었던 걸로 보이는데(鷄 자처럼 한국어 한자음에서 받침없이 ㅖ나 ㅔ로 적히는 일부 발음이 여기에 대응) 현대 관화에서 ㄧi로 병합됐다.
        • ㄨu와 더해진 ㄨㄟ는 글자 그대로 적으면 uei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uei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 없는 단독 표기시에는 위 철자 원칙에 의거 wei로 바뀐다.
          • 그러나 성모가 있으면 e를 빼고 ui로만 적는다. 이때 성조부호는 뒤쪽 모음에 붙인다. 외래어 표기법/중국어에서는 이 ui를 그냥 철자에 따라서 '우이'로 적고 있는데, 표기상으로만 e가 빠졌을 뿐 발음상으로는 (전설화되어 '어'가 아니라 '에'가 된) e가 여전히 반영되어 '우에이~웨이'에 가깝게 발음되기도 한다.[34][35]
        • ㄩü와 더해지면 이론상 ㄩㄟüei가 되겠지만 이건 발음 자체가 없다. iei가 없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 ㄡou
        • ㄧi와 더해진 ㄧㄡ는 글자 그대로 적으면 iou[36]가 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iou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i가 y로 바뀌고 you가 된다.
          • 성모가 있으면 (e가 변한) o가 사라져서 iu가 된다.[37]
        • ㄨu와 더해지면 이론상 ㄨㄡuou[38]가 되겠지만 이건 발음 자체가 없다.
        • ㄩü와 더해지면 이론상 ㄩㄡüou[39]가 되겠지만 이건 발음 자체가 없다.
    • e를 포함하는 비운모(ㄣen, ㄥeng)
      • ㄣen
        • ㄧi와 더해진 ㄧㄣ은 글자 그대로 적으면 ien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ien이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yen이 될 법하지만, ien에서 e가 빠진 in에 y를 첨가한 yin으로 표기한다. 위 두 경우와 다르게, 성모가 없을 때에도 e가 빠진다는 게 차이점.
          • 성모가 있으면 마찬가지로 e가 빠진 in으로 표기한다.[40]
        • ㄨu와 더해진 ㄨㄣ은 글자 그대로 적으면 uen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uen이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wen으로 바뀐다.
          • 성모가 있으면 e가 생략되어 un으로만 적힌다.[41]
        • ㄩü와 더해진 ㄩㄣ은 글자 그대로 적으면 üen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üen이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yuen으로 쓰일 법하지만,[42] üen에서 e가 빠진 ün에 y를 첨가하고 점 두 개를 뺀 yun으로 표기한다.
          • 성모가 있으면 마찬가지로 e가 빠진 ün으로 표기한다(j, q, x 뒤에 올 경우 표기의 편의를 위해 점을 생략하여 un).
      • ㄥeng
        • ㄧi와 더해진 ㄧㄥ은 글자 그대로 적으면 ieng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ieng이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yeng이 될 법하지만, ieng에서 e가 빠진 ing에 y를 첨가한 ying으로 표기한다.
          • 성모가 있으면 마찬가지로 e가 빠진 ing으로 표기한다.[43]
        • ㄨu와 더해진 ㄨㄥ은 글자 그대로 적으면 ueng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ueng이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weng이다.
          • 성모가 있으면 e가 생략되긴 하는데 ung…이 되는 게 아니라 ong으로 적는다.[44][45]
        • ㄩü와 더해진 ㄩㄥ은 글자 그대로 적으면 üeng이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üeng이라는 표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yueng(위엉)이 될 법하다.[46] 그러나 üeng에서 원순 모음 ü(위)가 비원순 모음 i(이)로 바뀌고, 비원순 모음 e(어)는 원순 모음 o(오)로 바뀐다. 그래서 iong이 되며, 성모가 없으므로 위 표기 규칙에 따라 i를 y로 바꾸어 yong이 된다.
          • 성모가 없을 때에는 (위에서 보았던 변화에 따라) iong으로 표기한다.
※ 사실 중국어 전통 성운학의 사호(四呼)에서의 운모 분류와 한어병음 철자에 의한 분류가 달라져서 약간 떡밥이 되기도 한다. ㄩㄥ은 전통 성운학에 따르면 촬구류(ü 계열 운모)이지만 병음 철자만으로는 제치류(i 계열 운모)로 생각되기 쉬운 것.[47] 이론상 ü 계열이나, 실제 발음상으로는 i 계열이라고 편하게(…) 생각하자.
  • 주음부호로는 표기하지 않는 zh, ch, sh, r, z, c, s[48] 뒤의 운모는 i로 표기한다.
  • 얼화 운미 儿은 r로 표기하고(실제 발음에 상관없이) 앞 글자 표기와 이어서 쓴다. 가령 边儿는 발음이 'biār(뱔)'이지만 biānr로 표기한다.[49]
  • 음절 구분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는 어깻점(’ 또는 ')을 찍어서 음절을 나눈다. 예를 들면 piao는 한 음절 pi'ao는 두 음절.
    • 지명 표기 등에서 성조 부호를 생략할 경우에도 어깻점은 절대로 생략하지 않는다.[50]
    • 원칙적으로 2음절이나 그 이하의 음절이 a, o, e로 시작할 경우 닥치고 무조건 어깻점을 찍도록 규정돼 있다.
      • 어깻점 안 찍어도 음절의 구분이 확실할 때도 반드시 찍는 게 원칙이다. 예를 들면 ke와 ai가 연달아 나올 경우 절대로 keai로 쓰면 안 되고 ke'ai로만 적도록 하고 있다. 물론 ke'ai와 같은 경우, 굳이 어깻점이 없이 keai라고 쓰더라도 e와 a 사이에 음절 경계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는 있다. ea나 eai라는 복운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e와 a 사이에 음절이 갈린다. 하지만 그래도 반드시 ke'ai 식으로 어깻점을 찍도록 규정하고 있다.[51] a, o, e는 성모가 없을 때 철자 변형 규칙이 없어서 어깻점이 꼭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런데 a, o, e 앞에 어깻점이 꼭 있어야 하는 경우와 없어도 되는 경우를 판단하는 게 헷갈릴 수 있다. 그래서 한어병음방안에서는 다른 음절 뒤에 a, o, e로 시작하는 음절이 올 경우 반드시 '을 찍도록 강제함으로써, 실수할 가능성을 줄이려는 것이다.
      • 성조 기호를 생략하고 쓸 경우 어깻점이 있어야 음절 경계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지만, 성조 기호를 쓸 경우 어깻점을 생략해도 음절 경계가 있는 걸 알 수 있는 예가 있다. Xī'ān이 그 예이다. 이 경우 성조 부호를 삭제하면 Xi'an처럼 어깻점을 달아야지, 안 달면 1음절의 Xian과 혼동된다. 하지만 성조 기호를 달 경우 Xīān 이렇게 어깻점을 안 써도 i와 a 사이에 음절 경계가 생긴다는 걸 알 수 있다. 성조 기호는 한 음절에 하나만 쓰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Xīān 식이 아니라 Xī'ān으로 적게 하고 있다. Xīān 같은 표기를 허용할 경우, 성조 부호 생략 시 새로 어깻점을 찍어주어야 하는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데 이러면 헷갈려서 실수할 수가 있다. 그래서 한어병음방안에서는 이런 경우에도 무조건 어깻점을 찍게 하고 있다.
      • 한어병음방안에서 ng 뒤에 어깻점 없이 a/o/e가 올 경우 n과 g 사이에 음절 경계가 생긴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n과 g 사이에 음절 경계가 생긴 경우에는 n과 g 사이에 어깻점을 안 찍는 게 옳은 표기이다. 반대로 g와 a/o/e 사이에 음절 경계가 있을 경우 경우 반드시 g와 a/o/e 사이에 어깻점을 찍어줘야 한다.
    • 다만 중국 여권에는 어깻점을 표기하지 않는다. 그래서 두 음절 Yu'an과 한 음절 Yuan은 구분되지 않고 모두 YUAN으로 표기된다.
    • 띄어쓰기가 이뤄진 경우, 띄어 쓴 자리 앞뒤에는 어깻점을 추가하지 않는다.

2.2.3 감탄사·의성어·의태어 등 특수한 운모

일부는 위에서도 주석으로 설명은 했지만 다시 정리한다.

  • 한어병음에서 e만 단독으로 표기하면 '으어'(1~4성) 내지 '어'(경성) 정도의 발음을 나타내고 단순한 '에' 발음은 표현하지 못한다. 물론 ei, ie, üe 처럼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이룰 때 e 부분의 발음이 변해서 '에'에 가까운 발음으로 실현된다.[52] 하지만 감탄사에서는 순수한 '에'가 존재하는데, 이 발음을 표기하고자 할 때에는 ê라는 특수 기호를 쓰고 그 위에 성조 기호를 쓴다.[53]
    • 예를 들어 감탄사로 쓰는 欸 자는 발음이 엄청 많은데, 이 글자의 발음으로 āi, ǎi, ê̄, ế, ê̌, ề가 있다. 뒤에 있는 네 개가 '에'처럼 읽히는 발음이다.
    • ê는 자주 안 쓰이기 때문에 한어병음을 사용하는 중국어 입력기에서 아예 누락시킨 경우가 많아서, 해당 글자의 다른 발음(欸의 경우 ai)으로 입력해야 한다. 애초에 한어병음 학습 시 ê라는 기호 자체를 가르치는 경우 자체가 거의 없다.
  •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o(ㄛ)는 원래 입술소리인 b, p, m, f 뒤에서만 나타나고, 나머지는 uo/wo(ㄨㄛ)가 나타난다. 하지만 경성 등에서 종종 b, p, m, f 외의 성모가 있거나 성모 없이 o(ㄛ)만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그냥 o를 표기에 쓰면 된다. 예를 들어 咯 자의 발음 중에 lo(경성)가 있는데 이런 특수 케이스에 해당된다.
  • 감탄사 중에 '이오' 내지 '요' 정도의 발음을 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io(성모가 없으면 yo)로 적으면 된다. 예를 들면 감탄사 哎哟(āiyō)가 여기에 속한다.
  • 噷은 hēn, hèn, xīn, 哼 자는 hēng 또는 hèng이 정식 발음이지만, 의성어로 쓸 때 hm(ㄏㄇ)이나 hng(ㄏㄫ[54])으로 기재하기도 한다. 대강 "흥" "흠" 정도의 감탄을 옮겨 적은 거라 성조를 엄격하게 기재하진 않는 듯. 보통 이 발음을 사전에 기재할 경우 대체로 경성으로 정리하는 듯하다. 한어병음방안 원문에는 이런 음에 대한 규정이 없지만, 사전에 종종 등장한다.[55] 이런 감탄사에서 성조를 달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m, n 위에 성조 기호를 다는 경우도 있다. 한어대사전에 「呒, 呣, 唔, 嗯 등의 발음을 기재할 때 m이나 n(ng일 경우도 포함) 위에 성조 기호를 단 발음을 기재하기도 했다고 한다.

2.3 성조(聲調)

성조는 기호로 표시한다. 한어병음방안에서는 1~4성 기호의 경우 한 음절의 어느 한 모음 글자 위에 찍도록 돼 있다.

  • 1성(음평성, 陰平聲)은 ¯(āēīōūǖ).
  • 2성(양평성, 陽平聲)은 ´(áéíóúǘ). 올라가는 소리이므로 사선을 아래에서 위로 올려 그어야 한다는 불문율이 있으나, 아래에서 위로 긋든 위에서 아래로 긋든 딱히 강제하진 않는다.
  • 3성(상성, 上聲)은 ˇ. 뾰족한 caron(ˇ, ǎěǐǒǔǚ)이고, 둥그런 breve(˘, ăĕĭŏŭ)가 아님에 주의할 것. 가끔씩 3성 두개가 연달아서 오면 앞것이 표시는 3성으로 하되 실제 소리는 2성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예:발음상 nǐ hǎo→ní hǎo) 일부는 이렇게 원래의 발음이 아니라 변한 발음을 기준으로 쓰기도 한다. 규정상은 원래 성조를 쓰는 것이 원칙이나 교육 목적상 필요한 경우 바뀐 성조로 쓸 수도 있다고 되어 있다.
  • 4성(거성, 去聲)은 `(àèìòùǜ).
  • 경성(輕聲)은 기호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경성임을 명확히 표시하고 싶다면 음절 앞에 가운뎃점(·)을 찍는다. 예를 들어 什么는 shénme라고 적지만, 么(me)가 경성임을 강조하고 싶다면 shén·me라고 쓰면 된다.[56] 본래 한어병음방안 원문에서는 경성일 경우 그냥 성조 표기를 하지 않도록 규정돼 있을 뿐 가운뎃점을 음절 앞에 붙이는 규정은 없지만, 관행상 인정되고 있다.
    • 일부 사전에서는 경성으로 읽히기도 하고 경성이 아닌 성조로 읽히기도 하는 경우 가운뎃점과 1~4성 성조 기호를 같이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méi·yǒu라는 표기는 두 번째 음절을 3성(yǒu)으로도 읽을 수 있고 경성(·you)으로도 읽을 수 있다는 뜻이다.

성조 기호를 찍는 모음자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 모음 글자(a, e, i, o, u, ü)가 하나만 있으면 거기에 찍는다. 단, i에 성조 기호를 더할 때는 i 위에 있는 점을 쓰지 않고 점이 들어갈 자리에 성조 기호를 더한다.
  • 둘 이상이면 운복에 찍는다.[57]

두번째 규칙을 좀 더 쉽게 말하면, 모음 글자 중 처음 나오는 것이 i, u, ü면 두 번째 모음 글자에, 그 이외는 첫 번째 모음 글자에 찍는다.

위의 원칙은 언어학과 주음부호의 구조를 어느 정도 알 수 있으면 당연하게 느낄 수 있으며 설사 모르더라도 간단한 원칙으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한 규칙이다. 하지만 사실 한어병음 표기 상으로는 운복표기가 아예 생략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가르치는 사람들이 주음부호를 모르거나 이미 잊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교재에서 아래처럼 복잡하게 서술한다. 물론 가르치는 사람들도 대부분 교재대로 설명한다. 이 설명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학습서에서 서술한 방법이며, 웬만한 국내 교재도 이 방식을 따른다(영어권 교재에서 위의 방식을 따른 경우도 있다).

  • 모음 글자가 하나만 있으면 거기에 찍는다.
  • 모음이 두 개 이상 있을 때는 a>o,e>i,u 순서로 찍는다.[58] 이 순서는 입을 벌리는 정도와 똑같다.
  • i와 u가 같이 올 경우에는 뒤에 있는 모음에 찍는다.

라는 식으로 한다.

2.4 띄어쓰기와 대문자 처리

쭉 붙여 쓰는 중국어의 한자 표기와는 달리(중화인민공화국에서 출판하는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학습서의 기초 교재에서는 띄어쓰기를 하기도 하지만) 한어병음방안 표기에서는 단어별로 띄어 쓴다. 그리고 문장 처음과 고유 명사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다만 '한 단어'인가 '두 단어'인가를 가르는 기준, 또는 고유명사의 기준이 애매한 경우가 있어서 사람마다 띄어쓰기나 대문자 처리가 다른 경우도 있다. 최근(2010년대)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띄어쓰기에 대한 좀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기는 했다.

3 한어병음자모와 한어병음방안의 차이

한어병음자모와 한어병음방안은 미묘하게 다르다. 한어 병음 방안은 중국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수많은 방식 중 하나이고, 한어병음자모는 한어 병음 방안에 의해 중국어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문자를 가리킨다(잘 알다시피 한어 병음 자모는 한어 병음 방안 제정자들이 새로 발명한 문자가 아니라 이미 있는 다른 언어의 글자를 차용한 것이다). 즉 한어 병음 자모란 a, b, c, d, …(에이, 비, 시, 디가 아니라 1성으로 아, 베, 체, 데이다. 한어병음방안 원문#을 확인하면 알 수 있다. 하지만 중국어를 가르칠 때 이건 안 가르쳐 준다. 그리고 솔직히 중국인들도 이걸 거의 대부분이 1성으로 에이, 비, 시, 디라고 읽는다[59]) 등을 가리키고, 한어 병음 방안은 中의 발음을 표기할 때 다른 철자가 아닌 zhong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즉 중국어 교재의 연습 문제에서 한자로 적힌 문장을 주고 한어병음자모(또는 한어병음방안)로 표기하라는 지시문은 실제로는 '한어 병음 자모를 이용하여 한어 병음 방안의 규정에 맞게' 표기하라는 뜻이다.

4 참고

  • 한어병음방안 원문#에는 한자에 발음을 덧붙여 표기할 때(주음할 때) 자음 두 글자들을 한 글자로 줄여 쓸 수도 있다고 되어 있다. 원문에 규정된 대로는 ng은 줄여서 ŋ으로 쓸 수 있고, zh, sh, ch를 줄여서 각각 ẑ, ŝ, ĉ(z, s, c 위에 ^를 덧붙임)으로 쓸 수 있다고 돼 있다. 아무래도 한자 위(가로쓰기 시)에 작은 글씨로 발음을 기재할 때 글자 수가 많으면 적기 힘들기 때문에 이런 방식을 고안해 낸 듯. 예를 들어 zhuang은 ẑuaŋ으로 줄여 쓸 수 있다. 근데 이렇게 줄여 쓸 수 있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알아두면 한자 위에 발음을 메모할 때 편하니 나쁠 건 없다.[60]
  • 중화민국 국어(중화민국이 규정한 표준중국어)에서는 ㄧㄞ, 즉 한어병음으로 -iai(yai) 정도로 적는 운모를 인정하고 있으나, 보통화(중화인민공화국이 규정한 표준중국어)에서는 이 운모를 인정하지 않는다.[61] 한어병음방안 원문#에도 이 운모를 제외하고 있다. 물론 굳이 이 발음을 적을 경우 -iai(yai)라고 쓰긴 한다. 이제는 중화민국도 역시 한어병음을 채택했으므로 중화민국 국어의 발음을 표기할 때에 한해 이 표기를 쓸 일이 많다.
  • 경극의 경우 현대 관화(표준중국어)보다 다소 고어인 관화를 사용하기 때문에 현대 관화에 없는 음절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현대 표준중국어에는 사라진 발음인 ziang(ㄗㄧㄤ), süo(ㄙㄩㄛ) 등이 경극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이런 발음은 그냥 한어병음 표기법을 응용해서 옮겨 적으면 된다. 이 역시 일반적으로 쓸 일은 없다.
  • 관화 하위 방언 사용자들은 z+이, c+이, s+이, 즉 주음부호로 옮긴다면 ㄗㄧ, ㄘㄧ, ㄙㄧ 같은 발음이 나오기도 한다. 근데 이런 발음은 굳이 한어병음으로 표기하려고 할 경우 문제가 생긴다. 한어병음에서는 zi, ci, si를 찌, 치, 씨가 아니라 쯔, 츠, 쓰처럼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z+이, c+이, s+이 식의 발음을 굳이 적어야 할 때는 zii, cii, sii처럼 적기도 하는 모양이다(성조 기호를 쓸 때는 두 번째 i에 덧붙인다. 즉 ciī처럼).[62] 단 이것은 한어병음방안 원문에 적혀 있지 않으니 비표준 표기법이다. 어차피 이런 발음을 한어병음으로 표기해야 할 일도 거의 없고 표준 표기법도 아니니까 몰라도 된다
  • 한어병음 자모 중에 j, q, x가 채택된 경위는 다음과 같다고 짐작된다(중국어 위키백과의 한어병음 항목을 참고함).
    • 한어병음의 j는 영어의 j와 비슷하여 채택된 것으로 보인다.
    • q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ㅋ 계통의 음소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한어병음의 q 발음은 이질감이 심하다. 굳이 q로 ㄑ(주음부호) 발음을 나타내게 한 이유는 일단 남는 글자가 없어서(...)인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아무렇게나 정한 건 아니다. 현재 한어병음으로 성모가 q로 적히는 한자들 상당수가 원래는 [kʰ] 발음이었다가 구개음화가 진행되면서 지금의 [tɕʰ]로 바뀐 경우로, 방언이나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에서는 [kʰ] 비슷한 발음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气(氣, qi)는 중고 한어에서 '킈' /kʰɨiH/[63] 비슷한 발음이었으며, 현재도 다른 방언이나 언어에서 기~키 계열의 발음으로 읽힌다. 따라서 이 점을 고려해서 ㅋ 계통의 소리가 나는 q를 ㄑ 발음을 나타내는 한어병음자모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64] 참고로 알바니아어에서도 q가 ㅊ 비슷한 소리가 난다.
    • x 역시 다른 언어와 괴리감이 좀 있는데 채택한 가장 큰 이유는 남는 글자가 없어서겠지만 역시 그냥 정한 건 아니다. 성모가 한어병음으로 x로 적히는 한자 중에 원래는 ㅎ 발음이었다가 구개음화가 진행되면서 지금의 발음로 바뀐 경우가 많다. 방언이나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에서는 ㅎ 비슷한 발음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下(xià)는 중고 한어에서 '하' /ɦɣa/ 비슷한 발음이었으며, 현재도 다른 방언이나 언어에서 하 비슷한 발음으로 읽힌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ㅎ 계통의 소리가 나는[65] x가 ㄒ(주음부호) 발음을 나타내는 한어병음자모로 채택된 것으로 보인다.[66] 참고로 포르투갈어 등의 몇몇 이베리아 반도 기원 언어들에서도 x가 ㅅ 비슷한 소리가 난다.

5 A, G의 소문자에 대해

100px

한어 병음 방안 원문에는 A, G의 소문자가 2번의 ɑ, ɡ로 되어 있기에 병음을 출력할 때 2번의 ɑ, ɡ로 대체해서 쓰는 경우가 많이 보이지만, 그냥 1번의 a, g로 출력해도 상관없다. 한어 병음 방안은 어디까지나 철자법을 규정한 것이지 글자의 모양을 규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67]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나오는 각종 영문 문서에서도 1번의 a, g가 사용된다.

6 대체 기호

컴퓨터 입력 등 편의를 위해 악센트 붙은 부호 등을 다음과 같이 바꿔 쓰기도 한다.

  • 성조 부호를 생략하고 대신 음절 뒤에 성조 번호를 쓴다. 1~4성은 각각 1, 2, 3, 4를 음절 뒤에 쓴다. 경성은 음절 뒤에 0이나 5를 쓰거나 아무 숫자도 표기하지 않는다.
    • 예를 들어 mā는 ma1로 쓰고, ma(·ma)는 ma0나 ma5 또는 ma로 쓴다.
    • 얼화(儿化/兒化)를 나타내는 -r은 컴퓨터 입력에서 종종 앞 글자에 r을 덧붙인 형태가 아니라 경성인 er로 취급되곤 하는데, 이를 위 규칙대로 쓸 경우 er0이나 er5로 쓴다. 그래서 nǎr의 경우 na3 er0이나 na3 er5로 기재되기도 한다. 또는 儿/兒이 원래 2성이기 때문에 몇몇 입력기는 er2로 처리하기도(또는 er2을 허용하기도) 한다.
  • ü 위의 두 점은 성조 생략 시에도 쓰도록 돼 있어서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그래서 대체 문자를 쓰는 경우가 많다.
    • 컴퓨터 입력 시에는 주로 v로 바꿔 쓴다. 한어병음에서는 v가 쓰이지 않기 때문에 ü의 대체 부호로 쓰는 것이다.
      • 예를 들어 lǜ는 lv4로 쓰는 식이다. 단 ju, qu, xu, yu처럼 ü가 편의상 u로 기재되는 경우는 v가 아니라 본래 쓰던 철자 그대로 u로 쓴다.
      • 여기서 유추해서 üe는 ve로 바꾸는 게 원칙이다. lüe는 lve, nüe는 nve 식으로.
    • 그런데 어차피 보통화를 한어병음으로 쓸 때 l이나 n 다음에 ue라는 문자 조합이 따라오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컴퓨터의 중국어 입력기에서 lüe를 lue로, nüe를 nue로 적는 것 역시 허용하는 경우가 꽤 있다.
    • 다른 방식으로 ü가 쓰일 자리에 yu로 고정시키는 표기법도 있다. lyu, lyue, nyu, nyue 식으로. ü 대신 v를 쓰는 게 기계적으로 쓸 때는 유리하지만 v를 모음으로 쓰는 게 영 익숙해지지가 않아서 yu를 쓰는 것이다. 이 점은 통용병음과 비슷하다.
      • 중국 여권(2012년 8월부터) 등에서 이 규칙을 적용하기도 한다. 뤼(吕, Lǚ) 씨가 Lü나 Lv나 Lu 식이 아니라 LYU로 적히는 식.
      • 하지만 이런 표기 방식을 전면적으로 적용할 경우 어깻점(') 찍는 규칙을 바꿔야 해서 불편이 따른다(그래서 한어병음으로 중국어를 입력하는 IME에서는 ü 대신 v를 입력하는 방식이 더 선호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妓女(jìnǚ)와 金鱼(jīnyú)의 경우, ü를 yu로 대체하면 jinyu로 똑같아지는데 전자를 ji'nyu로 찍게 할 것인가 후자를 jin'yu로 찍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된다(전자를 ji'nyu로 적게 하는 게 후자를 수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어서 이 쪽이 더 나을 듯하다).
    • 귀찮을 땐 ü를 그냥 u로 적어버리는 비표준 표기도 종종 보인다. 이 경우 원래 u였던 경우와 구분을 못하게 되니 정확한 발음을 보존하고자 할 때에는 피해야 한다.
  • 감탄사·의성어·의태어로만 쓰이는 음절인 ê(欸), hm(噷), hng(哼) 등의 경우 한어병음 입력기에서 이 발음들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게다가 ê는 글자 자체를 입력할 수가 없다 해당 글자의 다른 음으로 입력하면 된다. 즉 각각 ai, hen, heng으로 입력하는 식. 단 yo(喲/哟), lo(咯) 등의 다른 감탄사·경성 전용 음절 조합은 입력기에서 철자 변형 없이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7 미국 국회 도서관

미국 국회 도서관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미국 국회 도서관(Library of Congress, LC)도 한어 병음으로 중국어로 된 서적 제목들을 로마자 표기하고 있다. 다만 한어 병음 방안과는 달리 각 음절을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68], 언제 붙여 쓰는지에 대한 규정을 마련해 두었다(물론 붙여 썼을 때 혼동의 여지가 있을 경우 한어 병음 방안과 마찬가지로 ' 기호를 사용한다). 성조는 아예 표기하지 않는다. 대소문자 처리, 문장 부호, 날짜 표기 등에 대한 규정도 있다.
  1. 물론 이것 외에도 다양한 입력 방법이 있다. 발음을 입력하는 방식은 입력 속도가 느린 데다가, 표준어를 모르는 중국인들은 입력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자형을 기준으로 한자를 입력하는 입력 소프트웨어들(예를 들면 오필자형)이 빠른 타이핑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선호되는 편이다. 물론 학습은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익히면 평생 빠르게 타이핑 가능하기 때문.
  2. 성모나 운모 표기에 어떤 글자를 사용할지는 그대로 따라가지만 대문자 처리법이나 기타 띄어쓰기 등의 차이는 있다
  3. 가령 베이징의 영문 표기는 원래 Peking(우정식 병음)이었으나 영문 표기도 한어병음방안 철자(Beijing)에 맞춰서 써줄 것을 각국에 요구했고 유엔에서도 이를 받아들였다. 다른 지명도 마찬가지. 다만 영어 이외의 로마자 사용 언어에서는 Beijing으로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예: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Pekin, 독어 Peking, 카탈루냐어 Pequin, 포어 Pequim). 그리고 역사가 긴 대학의 영문 표기는 한어 병음 방안 표기를 따라가지 않는 경우가 꽤 많다. 베이징 대학은 Peking University이고 칭화 대학은 Tsinghua University)
  4. 음절로 나누면 Kaoh-siung이 아니다. Kao-hsiung이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ㄒ를 hs로 표기한다.
  5. 주의할 점은 그렇다고 陝西의 성조를 생략한 한어병음 표기가 Shaanxi가 되는 것은 절대 아니라는 것. 어디까지나 병음 표기는 Shanxi가 맞다. Shaanxi는 첫 음절을 한어병음이 아닌 국어라마자 표기법이라는 다른 로마자 표기법으로 적은 예외적인 표기이다. 자세한 사항은 산시 성 문서의 설명을 참고할 것.
  6. 콰이싼바이빠스r빠로 읽는다
  7.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ih/ŭ에 대응되는 발음이다. 사실 이 운모를 표기하기 위한 특수한 주음부호 ㄭ(帀)가 존재는 하는데, 거의 쓰이지 않는다.
  8. 그런데 사실 표준 중국어에 lüan, nüan, lün, nün이라는 음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ü가 실제로 필요한 경우는 lü, nü, lüe, nüe 네 음절뿐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9. 아래 내용에서도 해당 링크와 상통하는 부분이 많이 있다.
  10. 한자 명칭 그대로 '머리, 배, 꼬리'의 순서
  11. 시각에 따라 i, u, ü도 운복으로 볼 수 있으나 일단은 제외한다.
  12. 기본은 ㄜe(어)이며, ㄛo(오)와 ㄝê(에)는 ㄜe(어)의 이형태이다.
  13. 감탄사 등에서 단독으로 ㄝ로 발음하는 음절들이 있는데, 이것은 e 위에 ^을 붙여서 ê라고 써서 일반적인 ㄜe(어~으어)와 구분한다. 성조 부호까지 붙이면 ê̄, ế, ê̌, ề가 된다. 자주 쓰이진 않는다. 감탄사를 적을 때 사용되고 발음이 많은 欸 자의 발음을 적을 때 이 기호가 사용된다(欸 자의 발음 엄청 많다: āi, ǎi, ê̄, ế, ê̌, ề).
  14. 이 발음은 'ㄜe(어)+ㄧi(이)'가 아닌 'ㄝê(에)+ㄧi(이)'로 해석된다. ㄧi(이)의 전설성 때문에 ㄜe(어)가 ㄝê(에)로 바뀐 것.
  15. 체계상으로는 '운복 ㄚa+모음 운미 ㄨu'이므로 au여야 하겠으나, 한어병음방안 제정자들은 이것을 au가 아닌 ao로 정했다. 이는 필기에서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예를 들어 au를 악필로 흘려서 쓰면 ɑи처럼 되기 때문에 이것이 au인지 an인지 헷갈리므로 au를 ao로 정한 것이다. 다만 헷갈릴 염려가 별로 없는 곳에는 u를 충실히 표기하였다. 예를 들어 sun을 막 적어서 sии처럼 해놨어도 이걸 보고 sun인 걸 알 수가 있다. 왜냐면 sии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 sun, suu, snn, snu 중 표준중국어에서 있을 수 있는 음절은 sun뿐이기 때문이다. 근데 liи처럼 쓴 경우 lin인지 liu인지 헷갈릴 수 있다는 건 함정이긴 하다. 하지만 이 경우는 성조를 정확히 기재하면 안 헷갈린다. lin의 경우 i 위에, liu의 경우 u 위에 성조 부호가 붙기 때문. 물론 성조를 생략한 경우엔 똑바로 쓰지 않으면 헷갈리겠지만...
  16. 체계상으로는 '운복e+모음 운미u'이므로 eu이나, 이 발음은 'ㄜe(어)+ㄨu(우)'가 아닌 'ㄛo(오)+ㄨu(우)'로 해석된다. ㄨu(우)의 원순성 때문에 ㄜe(어)가 ㄛo(오)로 바뀐 것.
  17. 단 ㄜe가 아닌 ㄝê가 붙는다. ㄧi(이)의 전설성 때문에 ㄜe(어)가 ㄝê(에)로 바뀐 것.
  18. 단 ㄜe가 아닌 ㄛo가 붙는다. ㄨu(우)의 원순성 때문에 ㄜe(어)가 ㄛo(오)로 바뀐 것. 참고로 두 주음부호도 일부러 이런 연계성을 고려했기 때문에 두 글자를 비슷하게 만들었다.
  19. 단 ㄜe가 아닌 ㄝê가 붙는다. ㄩü(위)의 전설성 때문에 ㄜe(어)가 ㄝê(에)로 바뀐 것.
  20. 모음 운미, 자음 운미 모두 포함
  21. i, u, ü
  22. ai, ei, ao(<au), ou(<eu)
  23. an, en, ang, eng
  24. 후술하겠지만 중화민국 국어에서만 인정된다.
  25. 체계상으로는 '운두i+운복a+모음 운미u'이므로 iau이다. 그러나 iau를 흘려 썼을 경우 iɑи이 되어 iau인지 ian인지 헷갈릴 수 있기에 iao로 쓴 것.
  26. 체계상으로는 '운두i+운복e+모음 운미u'이므로 ieu이다. 그러나 ㄨu(우)의 원순성 때문에 ㄜe(어)가 ㄛo(오)로 바뀐 것.
  27. 체계상으로는 ' 운두i+운복e+자음 운미n'이므로 ien이다. e의 생략에 관해서는 후술.
  28. 체계상으로는 ' 운두i+운복e+자음 운미ng'이므로 ieng이다. e의 생략에 관해서는 후술.
  29. 체계상으로는 '운두ü+운복e+자음 운미n'이므로 üen이다. e의 생략에 관해서는 후술.
  30. 체계상으로는 '운두ü+운복e+자음 운미ng'이므로 üeng이다. 이게 신묘하게도(…) iong이 되는 이유는 후술.
  31. '얀'으로 발음하면 안된다. 표준중국어의 발음 변형에 따라 실제로는 '옌'처럼 발음한다.
  32. 이 발음은 'ㄜe(어)+ㄧi(이)'가 아닌 'ㄝê(에)+ㄧi(이)'로 해석된다. ㄧi(이)의 전설성 때문에 ㄜe(어)가 ㄝê(에)로 바뀐 것.
  33. 체계상으로는 '운복e+모음 운미u'이므로 eu이나, 이 발음은 'ㄜe(어)+ㄨu(우)'가 아닌 'ㄛo(오)+ㄨu(우)'로 해석된다. ㄨu(우)의 원순성 때문에 ㄜe(어)가 ㄛo(오)로 바뀐 것.
  34. 다만 '우에이~웨이'처럼 발음하고자 할 경우 다른 발음으로 오해될 수 있으므로, 그냥 '우이'라고 발음하는 게 안전하다.
  35. 여담으로 하오 후이위의 慧(huì)는 가타카나로는 ホェイ로, 한글 표기 '후이'보다 좀 더 원음에 가깝게 적고 있다.
  36. 체계상 'i+e+u'
  37. '이어우'나 '요우' 정도로 발음할 수 있으나 안전하게 '이우'로 발음하는 게 낫다.
  38. 체계상 'u+e+u'
  39. 체계상 'ü+e+u'
  40. '인'처럼 발음해도 되고 '이언'처럼(단 '어' 부분을 약하고 어정쩡하게) 발음해도 된다. 근데 괜히 '이언'을 발음하려다 '어'를 확실하게(…) 발음해 버리면 2음절 짜리의 다른 발음으로 오해 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인'으로 발음할 것을 권장한다.
  41. 해서 dun, tun, nun, lun… 모두 묘하게 '두언, 투언, 누언, 루언…'으로 들릴 때가 있으나, 위 각주 내용과 마찬가지로 그냥 안전하게 '둔, 툰, 눈, 룬…'으로 읽자.
  42. ü가 성모 없이 어두에 오는 경우, 일단 y를 앞에 첨가한 이후, ü에 있는 점 두 개(움라우트)를 표기에서 빼기에 yu로 표기되므로.
  43. 발음은 '잉'과 '이엉' 둘 다로 볼 수 있으나, 후자의 '이엉'처럼 발음할 경우 '어'를 약하게 발음해야 한다. 한국인한테 어색한 발음이므로 그냥 안전하게 '잉'으로 발음하는 게 좋다. 어차피 중국인도 그냥 '잉'처럼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44. weng으로 적을 때와 ong으로 적을 때의 실제로 발음 차이가 있기는 하다. 전자는 '우엉~웡', 후자는 '웅~옹'으로 말이다. ㄨㄥ은 성모가 없을 때는 weng, 성모가 있을 때는 ong으로 읽는 게 원칙인데, 가끔 일부 감탄사·의성어·의태어 등에서는 성모가 없어도 ong으로 읽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의성어 嗡은 사전에 따라 wēng으로도 읽지만 ōng으로 읽어도 된다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이것을 주음부호로는 두 발음을 명확히 구분해서 적는 건 불가능하지만 한어병음으로는 확실히 구분해서 적을 수 있다. 사실 weng과 ong이라는 두 소리에 대한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이 다른 것. 즉 중화민국 국어에서는 두 소리를 같은 음운(ㄨㄥ)의 변이음으로 보지만, 중화인민공화국 보통화는 아예 서로 다른 음운으로 보아 구별하고 있는 셈이다.
  45. u는 글씨를 휘갈겨 쓰면 n과 헷갈릴 수 있으니까 o로 대신한다는 법칙이 적용된 것이다. 하지만 ung을 ииg으로 흘려 써서 헷갈릴 수 있는 uug, nng, nug 등은 표준중국어에 없는데도 굳이 ong이라고 쓰게 한 이유는 불명. 그냥 외워라.
  46. ü가 성모 없이 어두에 오는 경우, 일단 y를 앞에 첨가한 이후, ü에 있는 점 두 개(움라우트)를 표기에서 빼기에 yu로 표기된다.
  47. 한어병음방안 원문에서는 ㄩㄥiong을 ㄧi와 ㄨㄥong의 결합으로 본다.
  48.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의 ih, ŭ에 대응되는 발음.
  49. 단, 한어병음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기(IME) 대다수는 컴퓨터 입력 시 얼화 운미를 r이 아닌 er 또는 'er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边儿은 bianr이 아니라 bian'er로 써서 입력해야 한다. 발음 입력 시 성조 번호를 입력하여 다른 성조를 가진 한자를 배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입력기의 경우, 얼화 운미 r을 경성인 er로 간주한다. 이런 입력기에서 성조 번호까지 입력할 경우 bian1er5나 bian1er0로 입력해야 한다.
  50. n, l 뒤에 ü를 사용하는 경우 ü의 두 점도 생략하지 않는다. 그리고 흔히 안 쓰는 감탄사용 부호인 ê 역시 성조 생략 시 생략하지 않는 게 원칙이다. 생략 가능한 부호는 오로지 성조 부호 뿐이라고 보면 된다.
  51. i, u, ü는 이런 규정이 없다. 왜냐면 이들 모음은 성모가 없을 경우 철자가 y나 w로 시작하게 바뀌기 때문에 y와 w만 봐도 이게 새 음절의 시작임을 알 수 있으므로 어깻점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52. 물론 주음부호로는 이들을 별개의 문자로 표기하기 때문에 ㄝ는 ㄜ의 변이음이 아닌 별개의 음운으로 간주한다고 볼 수 있다. ㄟ도 마찬가지.
  53. 주음부호에서는 아예 e와 ê 발음을 구분하여 각각 ㄜ와 ㄝ로 할당해 놨다. 또, 한어병음에서 e가 '에'처럼 발음되는 경우 중 ie, üe에 ㄜ가 아닌 ㄝ를 쓰게 하고 있다. ei(에이)의 경우 ㄟ라는 주음부호가 따로 있고.
  54. ㄏ 뒤에 쓴 글자는 兀 자와 생김새가 같은 확장 주음부호인데 컴퓨터에 따라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 기호는 한자 兀에서 유래한 것으로, ng 발음을 나타낸다. 주로 방언의 성모를 표기할 때 쓰지만 이런 식으로 모음이 없이 성절 자음이 된 경우 등에서 쓰기도 한다.
  55. 예를 들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출간하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중국어대사전편찬실이 편찬한 '혁신판 현대중한사전'에 hm(噷)과 hng(哼)이 실려 있다. 그리고 구글 등에서 이 두 한자를 검색해 보면 중국어권 온라인 사전 사이트에 hm과 hng이 발음으로 기재돼 있는 경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56. 주음부호(세로쓰기 시)나 통용병음 등에서도 경성을 표시할 때 해당 음절 앞에 쓰는 게 원칙이다. 다른 성조와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을 하던 게 정착된 듯하다. 그런데 만약 경성 부호를 한어병음의 다른 성조처럼 모음 위에 보조부호를 더하는 식으로 쓰게 했다면 문제가 생겼을 것이다. i에 성조 기호를 찍을 때는 i 위의 점을 지우고 그 자리에 성조 기호를 쓰는 게 원칙인데, 만약 경성을 나타내는 점을 i에 결합할 경우 모양이 똑같아서 구분이 안 된다. 그렇다고 경성만 예외로 i 위에 점을 하나 더 덧붙이는 식으로 쓰면 모양이 이상하다. 따라서 점을 경성 기호로 쓴다면 음절 앞에 쓰는 게 낫다는 걸 알 수 있다.
  57. 운복이 한어병음 철자상 전부 또는 일부 생략되는 경우도 있는데 어차피 모음 글자 하나가 남는 경우가 되거나 운복의 일부 모음 글자가 남게 되어 상관은 없다.
  58. 예를 들어 ao는 a>o이므로 a에 찍는다(위의 원칙대로면 i나 u로 시작한 것이 아니므로 그냥 첫 번째 모음 글자 a에 찍는다). 또한 o와 e는 같이 오지 않으며,ü는 단독으로 오지 않는 한 표기되는 일이 없다.
  59. 이 이야기는 뒤집어 놓고 생각하면 중국 대륙인들은 라틴 문자를 '자국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문자'라기보다는 '영어 표기에 쓰는 문자'로 인식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대만인들이야 주음부호가 있으니 라틴 문자를 더더욱 자국어 발음 표기 문자로 인식하지 않을 것이고.
  60. 그런데 주음부호를 알면 굳이 이런 약식 한어병음을 쓰는 것보다 빠르고 편하게 기재할 수 있긴 하다. 성조 부호를 제외하고 세 글자만으로 모든 음절을 기재할 수 있고(단, 얼화운은 경성 er로 간주하고 따로 기재해야 하니 예외) 세로쓰기에도 불편함이 없다. 로마자는 가로쓰기에만 적합한 문자라 혹시 세로로 써진 문장 옆에 발음을 기재할 경우 불편하다.
  61. 국어에서 -iai(yai)로 발음하는 운모는 보통화에서는 -ia(ya, ㄧㄚ)로 바뀌었다(예: 涯 yái→yá). 보통화 자체가 중화민국 국어를 일부 개정한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62. 예를 들면 영어 위키백과의 주음부호(Bopomofo) 항목에 ciī가 사용되었다.#(본 위키의 주음부호 항목에서도 위키백과와 동일하게 이 표기를 사용하였다) 글 내용이 많으니 F3나 Ctrl+F를 누른 뒤 ciī를 복사·붙여넣기해서 찾는 게 빠르다. 다른 곳에서도 이런 식의 표기를 한 예가 있는지 확인바람.
  63. 이하 Zhengzhang Shangfang의 재구 참조.
  64. 물론 七(qī)처럼 이런 발음의 변천과 무관한 케이스도 있긴 하다. 七 자가 한국어에서 '칠'로 읽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래 이 글자의 경우 과거에도 성모가 ㅈㅊ 계통의 발음이었다. 하지만 한어병음은 어원을 반영하는 표기법이 아니므로 그냥 qī로 적는다.
  65. 원래 x는 그리스어 Χ에서 기원한 글자로, 현대 그리스어 χ는 한국어 '흐름'의 ㅎ 비슷한 /x/ 발음이 나고, 국제음성기호의 x도 같은 발음이 난다. 자세한 내용은 X 항목 참조.
  66. 물론 相(xiàng)처럼 이런 발음의 변천과 무관한 케이스도 있긴 하다. 相 자가 한국어에서 '상'으로 읽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래 이 글자의 경우 과거에도 성모가 ㅅ 계통의 발음이었다. 하지만 한어병음은 어원을 반영하는 표기법이 아니므로 그냥 xiàng으로 적는다.
  67. 한글 맞춤법 원문에 초성 ㅈ이 2획으로 나왔다고 해서 글꼴을 디자인할 때 반드시 초성 ㅈ을 2획으로 디자인해야 하는 게 아닌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중화인민공화국 쪽에서 나오는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학습서(설명을 유럽 언어로 하는)에서는 중국어 발음 표기에서는 2번의 ɑ, ɡ, 해설 부분에서는 1번의 a, g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뭔가 좀 다르다는 느낌을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중화민국 교육부의 웹사전은 발음표기로 주음부호, 주음부호 2식,한어병음을 병기하고 있는데, 주음부호 2식에서는 1번으로, 한어병음에서는 2번으로 사용하고 있다.
  68. 이건 LC가 Wade-Giles 표기법을 쓰던 시절의 잔재이다. LC가 Wade-Giles를 쓰던 시절에는 각 음절을 띄어 썼고, 고유 명사의 각 음절들 사이에는 하이픈(-)을 넣어 썼다. LC는 2000년에 한어 병음을 따르기로 결정했는데, 이때 Wade-Giles로 표기된 기존 기록들을 (음절 단위로) 한어 병음으로 변환하면서 하이픈은 제거하고(즉 그냥 붙여 씀) 공백은 그대로 두었다. 띄어쓰기를 단어 단위에 따라 하도록 자동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도 로마자 철자는 한어 병음 방안에 따르나 띄어쓰기는 기본적으로 음절 단위로 하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