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기념공원

(유엔공원에서 넘어옴)

1 개요

K_0230_02.jpg
홈페이지
부산 재한UN기념공원은 6.25 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장병들을 안치하기 위해 만든 추모시설이다. 앞으로도 유엔 평화 유지군이 아닌 유엔군이 결성될 가능성이 매우 낮으므로 지금까지도 그래왔고 앞으로도 사실상 세계에서 유일한 유엔군 묘지이다.

2 역사

img_01_1.jpg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년 1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을 시작해 같은 해 4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전국 각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유해를 모아 안장하였다. 전후 1955년 11월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이곳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아울러 묘지를 성지로 지정할 것을 결의, 12월 15일, 한국 정부로부터 국회의 결의사항을 전달받은 유엔은 이 묘지를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기로 유엔총회에서 결의문 제 977(X) 호를 채택함에 따라 1959년 11월 유엔과 대한민국간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 이 체결됨으로써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3 관리

현충원과는 달리 대한민국유엔에 영구기증하고 국제연합에서는 영구관리를 결의함으로써 지금은 매장된 전사자의 출신 국가 11개국이 관리위원회를 구성 관리하고 있다. 관리 예산도 11개국이 분담해서 내며 대한민국은 절반 가까이 부담한다고 한다. 그와 별개로 1954년 10월 24일 등록문화재 359호로 등록되어 있다.

4 현황

주로 영연방 국가들과 프랑스, 터키, 네덜란드 등 11개국에서 파병된 UN군 2300위가 모셔져 있으며, 나머지 참전국 군인들의 유해는 본국으로 송환한 상태다.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은 실종자 포함 약 4만 명인데 사실은 대부분 미군이고, 미군을 제외하면 3천여 명이며 그중에도 영국군터키군에서만 천 명 넘게 발생했다.[1] 대한민국에서 파견한 유엔군 전사자 36위도 모셔져 있다.
미군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전원 본국송환이 되었으나 한국에서 근무한 유엔군 중 희망자에 한해 이곳에 모셔져 있다. 희망자라는 의미는 한국전쟁의 전사자가 아니라 한국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유엔군 군인이 천수를 누린 후 이곳에 안장되기를 희망한 경우를 말한다. 영연방 국가들은 전사한 땅에 매장하는 문화가 있어 대부분 한국에 남아 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사자 배우자가 희망하면 합장도 해 준다.

위의 희망자에 관한 이야기에서처럼 안장자 모두가 한국전쟁 당시의 전사자나 순직자인 것은 아니다. 참전 용사가 아닌 사람일 수도 있다. 터키군의 경우 안장자의 신상명세를 보면 사망 날짜가 전후인 경우도 여럿 있다. 가령 1959년 당시 21세로 안장된 군인이 있는데, 해당 군인의 경우 한국전쟁에 참전해서 부상당했다가 후에 죽은 경우도 아닐 것이며, 한국전쟁이 끝난 후 터키군에 입대한 뒤, 근무지가 한국으로 정해져 주둔 중 사고로 순직한 경우로 보인다. 각국에서 한국으로 파견한 군대가 휴전 직후 바로 철수한 것은 아니고 몇 년씩 더 한국에 머물러 있었기에 이런 일이 벌어졌을 것이다. 영국의 경우도 안장자 중 1956년에 일어난 교통사고의 사망자가 포함되어 있다.

5 봉안 통계

참전국봉안 유해 수
영국885
터키462
캐나다378
오스트레일리아281
네덜란드117
프랑스44
미국36
대한민국36
뉴질랜드34
남아프리카공화국11

이외에도 비전투원의 유해 11구와 무명용사의 유해 4구가 안장되어 있다.

6 가는 법

위치는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유엔평화로 93.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연역에서 가깝다. 부산시립박물관과 부산문화회관과 옹기종기 모여 있기 때문에 부산시민에게 문의할 때 모르면 박물관이나 문화회관의 위치를 물어보면 된다. 부산역에서 134번을 타고 UN기념공원에서 하차하면 된다. 다른 자세한 방법들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자.

7 이야깃거리

뉴스에 잘 안 나와서 그렇지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당사국 고위직들이 참배를 꼭 하고 간다고 봐도 무방하다.

부산 시민은 한 번쯤은 방문할 법한 곳이기도 하다. 비록 묘지이긴 하나 죽음의 상징인 무덤을 멀리 두기 좋아했던 동양권과 다른 서양식 묘역으로 조성되어 정비가 꽤나 잘 되어 있어서 한 번쯤은 둘러보기에도 나쁘진 않기 때문에 적막하지만 방문객은 간간히 눈에 띄일 정도는 된다. 원래 묘지라는 곳이 잘만 꾸며지면 공원처럼 사람들이 자주 들르는 곳이기도 하다. 다만 성격이 성격인 만큼 피크닉 등의 일반적인 공원처럼은 이용할 수 없다. 애초에 곳곳에 정숙 푯말이 세워져 있으므로 조용히 산책하기엔 좋다.

대연4동우체국의 기념통신일부인 도안이 UN기념공원이다.

공원 입구에는 부산을 위수지역으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제53향토보병사단 소속 헌병들이 배치되어 있다.[2] 이들은 공원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에게 일일히 경례를 한다.

훈훈한 일화도 있다. 한 한국인이 외국에서 참전자 가족을 둔 현지인을 만났다. 그 유해가 이 공원에 묻혔으나 사정상 직접 참배하러 한국을 방문한 적이 없다는 안타까운 사연에 그 한국인과 지인들이 도와 해당 묘역을 찾아 촬영하여 보여줬다고.

공원 개방시간이 17:00까지이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공원이기때문에 오전 오후 시간대에만 입장이 가능하다.
  1. 기념공원 홈페이지도 그 때문에 한국어, 영어, 터키어로 만들어져 있다.
  2. 다만 이 헌병들이 쓰고 있는 방탄모에는 '헌병'이 아닌 '위병' 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