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연방

400px
2013년에 개정된 영연방의 깃발. 예전 깃발보다 단순하고 눈에 잘 띄게 개정되었다.[1]

영국이 아직도 전세계적으로 힘을 쓸 수 있는 이유.


홈페이지

1 개요

Commonwealth라는 단어 자체는 영국 올리버 크롬웰이 왕정 폐지 이후 나라를 "Commonwealth and Free state"라고 선언한 예가 있으나 현재의 영연방과는 관계 없다. Commonwealth라는 단어는 본래 republic과 동의어로 공화국이라는 뜻이었으나, 현재는 republic보다 의미가 넓어져 민중에 의한 정치 결사체는 모두 commonwealth라고 부를 수 있다.[5] 하나의 국가든,[6] 국가의 하위 단위(예를 들면 라든가[7]), 복수 국가의 연합체[8]든 상관하지 않다. 또한 republic과 달리 공화제가 아닌 군주제와 결부돼 있어도 상관은 없이 쓰이고 있다.

영연방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연합왕국, United Kingdom)과 자치령(dominion)[9] 정부 간 연합 조직으로서 출범했다. 본래 대영제국(British Empire)은 본토인 영국(연합왕국)이 다수의 자치령, 식민지 등을 거느리는 형태였지만, 1차 대전 때 영국을 도와 피흘려 싸운 자치령들이 그 전보다 많은 권한을 달라고 요구, 영국 정부가 그 요구를 수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치령들이 외교권, 군사권까지 자체적으로 가지게 돼 사실상 독립국[10]이 되었는데(물론 일부 권한은 예외적으로 영국이 계속 가지고 있기도 했다[11]), 이들이 완전히 남남이 되는 건 아니었으므로 영국과 자치령들의 입장을 조율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영연방을 창설하게 되었다. 창설 당시에는 아직까지 영국 정체성이 비교적 강했으므로 정식 명칭을 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라고 하였고, British를 삭제한 것은 훨씬 이후의 일이다. 영연방이라는 번역어는 구칭의 영향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 현재 조직명에서는 영국을 의미하는 단어가 없다 보니 싱가포르[12]에서는 중국어로 Commonwealth of Nations를 번역할 때 영연방 대신 공화연방(共和联邦)이라고 번역한다.[13]

사실 영'연방'이라는 번역어는 적절하지 않다. 영연방은 국제 조직이지 하나의 연방 국가가 아니기 때문. 단지 개념 자체를 정확하게 옮길 단어가 없는 관계로 영연방으로 번역한 게 굳어져서 쓰이고 있다(회원국 하나하나를 연방국가의 주나 영방국가의 회원국처럼 생각하면 비슷하긴 하다[14]).[15] '연방'이라는 번역의 부적절성 때문에 대만(중화민국)에서는 번역어를 영연방 대신 대영국협(大英國協)으로 고쳐, 하나의 연방국가가 아니라 여러 국가들의 협력 기구임을 명시하였다. 다만 British가 조직명에서 삭제된 건 반영하지 않아 '대영'이라는 표현이 붙긴 했다 하지만 대만 외 다른 한자문화권 국가들은 대부분 영연방이라고 부르고, 싱가포르는 공화연방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연방'이라는 번역어가 부득이 유지되고 있다. 영연방이라는 번역어의 모호성 때문에 한자문화권 국가의 국민들이 영연방을 영국의 다른 표현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많다.[16]

2 영연방에서 영국 왕의 위치

영연방 창설 당시 소속 국가들은 영국 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모셨다. 과거형인 이유는 지금은 안 그러는 회원국이 훨씬 많기 때문. 2016년 10월 현재 영연방 회원국 수는 52개국인데 이 중 16개국(영국 포함)만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국가원수인 입헌 군주국이다.[17]

영연방 회원국의 영국 국왕에 대한 충성 의무는 1949년에 폐지된다. 영국에서 갓 독립한 인도가 "우리는 왕[18](조지 6세) 자르고 공화국이 되고 싶다. 하지만 영연방에는 남고 싶으니 규정을 고쳐달라"고 요구했다. 결국 다른 영연방 회원국들이 이를 수용하게 되면서 국왕 조지 6세에게는 영연방 원수(Head of the Commonwealth)[19]라는 어정쩡한 칭호가 부여되었다. 조지 6세가 사망한 뒤 뒤를 이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도 영연방 원수직을 승계하였고, 그녀의 대관식 이후 그녀가 국가원수인 나라에서 쓰는 칭호 안에 반드시 영연방 원수직도 함께 표기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세월이 지나면서 아예 영연방의 정식 명칭에서 British도 빼버려 평등한 국가간의 협력 기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2.1 영연방 왕국

영연방 52개국 중에 영국 여왕을 왕(국가원수)으로 모시는 16개국이 있다. 이것을 따로 '영연방 왕국(Commonwealth realm)'이라 부른다. 이들 나라들의 목록은 아래 참조. 이들 나라들의 영토는 총 1880만㎢이며, 인구는 1억 3500만 명으로, 따라서 엘리자베스 2세는 세계 군주들 중에서 가장 많은 인구(즉, 일본보다 많은 인구)를 거느린 셈이다.

단, 영국을 제외한 이들 나라들은 여왕을 대신해 명목상의 총독이 있다. 해당국에서 총독을 선출 혹은 지명하면 여왕의 형식적인 인가를 받아 임명된다. 총독은 '이론상' 총리를 해임하거나 의회해산을 할 수 있는데, 캐나다에서는 실제로 총독에 의한 의회해산이 2011년에 한 번 있었다. 물론 총독의 독단적인 행동은 아니었고 조기선거를 위해 총리가 총독의 권한을 빌려간 형식이다. 총리 혼자서 의회해산을 행할 수도 있지만 총독에게 의회해산권을 발동하도록 하여 상징성을 얻음으로써 정치적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한 것이다. 호주에서는 과거 1975년에 존 커(John Kerr) 총독이 호주 국민들의 의견을 묻지 않고 독자적으로 호주 총리를 해임하여 난리가 난 적이 있었다. 호주가 영연방 왕국 중 가장 공화제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이유도 이 사건에 연원을 묻는 사람이 있을 정도였으니까.

그러나 유의할 것은, 총독이라는 관직의 존재 때문에 착각할 수 있지만 영연방 왕국은 영국과 평등한 주권을 가진 독립국가이지, 결코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다. 애초에 총독부터가 총리나 기타 자문 기구의 추천으로 임명되는 명예직이기도 하고. 절대로 영국에서 파견하는 게 아니다. 한마디로 이들 입장에서 보자면 영국은 자기들의 군주가 사는 지역인 것이다. 물론 식민지 시대에는 영국이 본국 행세했고 지금도 그런 의식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현재로선 동등한 주권국가로서 같은 군주를 국가원수로 내건 것이다.(애초에 캐나다나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는 거의 영국인들이 이주해 건설한 멀티 개념이었지 삥뜯는 식민지의 개념은 절대 아니었다. 실제로도 식민지보다 격이 높은 자치령으로 만들어 놓기도 했고...) 이론적으로는 영국의 왕이어도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왕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국가로 이사를 가도 된다.[20] 오늘날의 영국 외 영연방 왕국들이 영국과의 동군연합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영국 왕 자체가 세계에서 위엄이 있다보니, 비록 실권이 없다고해도 영국 왕을 모신다는 자체가 자기들도 위엄이 서기 때문에 완전히 놓아주고 싶은 마음도 쉽게 들지 않고 있다. 실질적으로 국가 원수로서라기 보다는 존경의 의미로서 여기고 있는 것이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공화제 전환 움직임이 있으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대한 해당국 국민들의 높은 지지 때문에 국민 투표에서 왕국의 일원으로 남기로 결정했다.

160px-Micha%C3%ABlle_Jean_1_11072007.jpg
총독 중엔 캐나다의 여성 흑인 프랑스계 총독이었던 미카엘 장(Michaëlle Jean)처럼 국가통합이나 소수자 배려 등 상징적으로 추천되는 경우가 많다.

Clarkson_Adrienne-28.jpg
전 총독이었던 에이드리언 클락슨(Adrienne Clarkson, 1939-)도 이런 소수자 배려였다.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중국계였던 클락슨이 총독으로 근무했다.

현실적으로 영국을 제외한 영연방 왕국들은 총독이 국가원수 '대리'가 아니라 사실상의 국가원수처럼 돼 버렸는데, 군주처럼 평생 그 자리에 있는 것도 아니고 정치적 실권을 쥐는 것도 아니니(내각제라 실권은 총리한테 있으니까) 사실상 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과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 받기도 한다. 바지사장 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도 임기가 정해져 있고 실권 없이 거의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을 하니 영연방 왕국의 총독과 별 차이가 없다. 윤보선 전(前) 총독 차이점은 전자는 진짜 국가원수지만 후자는 국가원수 역할을 대행하는 사람이라는 정도 뿐이다. 그래서 영국을 제외한 영연방 왕국들을 왕관 쓴 공화국(crowned republic)이라고 비꼬기도 한다.

영연방 왕국 중에 내부 구조가 연방제인 나라들은 주와 준주에도 주 총독을 둔다. 캐나다와 호주가 대표적이다. 또 본토와 떨어진 속령이 있는 경우(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각 속령에 대해서도 총독과 유사한 직위를 두어 여왕을 대리하게 하고 있는데 직위 이름은 각각 다르다.

영국 외 영연방 왕국이라고 반드시 총독을 둬야 하는 의무가 있는 건 아니다. 다른 직위명을 써서 여왕의 대리를 맡게 해도 되고, 아예 그런 직위를 없앨 수도 있다. 단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그냥 관례대로 총독을 두고 있는 것일 뿐이다. 영연방 탈퇴 전 아일랜드의 경우가 독특한데, 영연방에 남으면서 대통령도 두고 영국 왕의 지위도 외교 업무에 한해 애매하게 인정하고 있던 시기였던 1937~1949년에는 총독을 따로 안 두고 있었다(그 전신인 아일랜드 자유국 시기에는 있었음). 즉 이 시기 아일랜드는 국왕의 재가 절차가 필요할 경우 대리자 없이 런던에 있는 국왕 조지 6세가 직접 해당 업무를 처리하게 한 것이다. 또 스코틀랜드 자치정부의 집권당인 스코틀랜드 국민당(SNP)은 2014년 주민투표 독립할 경우 엘리자베스 2세가 스코틀랜드의 여왕으로 계속 남되 별도의 총독은 따로 안 두겠다고 한 바 있다. 이 경우 여왕이 스코틀랜드 국가원수로서 수행해야 하는 모든 업무를 그대로 처리해줘야 한다는 뜻. 여왕님의 업무가 늘어난다[21] 물론 일단은 주민투표가 부결돼 이건 현실화되지 못했다. 어쨌든 아일랜드의 과거 사례나 스코틀랜드가 독립 시 실시하려고 했던 방식은 이 두 곳이 런던과 물리적 거리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캐나다 등 다른 영연방 왕국은 이렇게 하기가 힘들고 반드시 총독이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여왕의 대리인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현 국왕인 엘리자베스 2세의 정식 칭호는, 영국에서는 "하느님의 은총에 의한,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및 그 밖의 왕국들과 영토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 신앙의 수호자(by the Grace of God,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and of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Queen, Head of the Commonwealth, Defender of the Faith)"으로 불린다. 그러나 예를 들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하느님의 영광에 의한, 오스트레일리아 및 그녀의 다른 왕국들과 영토들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By the Grace of God, Queen of Australia and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Head of the Commonwealth)으로 불린다.

또한 맨 섬의 군주(Lord of Mann)의 칭호를 사용하며 전통적으로 채널 제도에서 노르망디 공작으로 간주되고 있다.[22] 근데 저 나라들 중 투발루몰디브같은 국가는 온난화의 영향으로 물에 잠기고 있어서 몇 년 뒤에는 보호령이 축소될 듯(…). 다만 노르망디 공작은 해외에선 인정하지 않는다. 프랑스가 왕국이던 시절에 영국 왕이 노르망디 공이자 영국 왕으로 겸업하며 프랑스 왕의 신하였는데 백년 전쟁으로 말아먹은 경력이 있어서. 거기다 프랑스는 현재 공화국이 되어버렸고.[23]

영연방 회원국 중에 영연방 왕국이 아니라고 반드시 공화제 국가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말레이시아만 해도 술탄을 국가원수로 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말레이시아 외에도 이슬람계 국가에는 술탄을 국가원수로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3 현황

대단한 규모를 자랑하지만 1990년대 영국의 EU 가입 이후론 영국이 주도하는 대규모 협력 프로젝트가 거의 없다. 하지만 여전히 그 이전부터 지속된 경제적 협력 체계나 문화적 교류 체계 자체는 살아 있으며, FPDA 같은 군사적 협력 체계도 살아있다. 이런 체계들이 의미가 있는 게, 상호 간의 교류를 지속함으로써 동질성을 이어나가고, 이 덕분에 상호 간에 경제적 혹은 교육이나 문화적 지원이나 무역상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속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이런 체계들 덕분에 영국이나 캐나다, 호주 같은 경제적으로 잘 나가는 나라들로부터 여러가지 원조를 받을 수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우 이런 현상을 잘 보여준다. 케냐, 나이지리아, 남아공 등 커먼웰스 국가들은 안 그래도 기본 베이스가 튼튼한 편인데다, 아프리카 외 커먼웰스 국가들의 지원을 받고 있고, 이 경제적 혜택을 자기들끼리 교류하면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부를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또한 영연방에 남아있는 국가들은 대부분 영국과의 실질적인 관계가 긍정적인 편인 것도 작용한다.

영연방의 역할이 예전보다 많이 줄긴 했지만 회원국끼리는 다른 나라들과 구분되는 나름의 유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영연방 회원국 사이에 파견하는 외교 사절을 대사라고 하지 않고 고등 판무관(High Commissioner)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회원국 사이에는 대사관 대신 고등 판무관 사무소(High Commission)을 설치한다. 또 영연방 회원국 국민이 다른 회원국을 방문할 때는 입국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편. 또 영연방 소속 국가들이 4년에 한번씩 모여 커먼웰스 게임이라는,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과 비슷한 국가 대항전 성격의 종합 스포츠 대회를 연다. 또한 이민이나 여행 등 인적 자원 교류에서 서로 우대해주기도 하며, 국제적 사안이나 지역 현안에서 서로 협력하고 지원해주기도 한다.

또한 캐나다, 호주 등에서는 커먼웰스 출신들을 위한 특별 비자 제도 등을 운용했거나 운용하고 있으며, 커먼웰스 출신들의 이주에 혜택을 주기도 한다. 이 때문에 캐나다의 경우에는 수많은 인도 시크교도들과 홍콩인들이 이주해왔으며, 자메이카, 나이지리아 출신들도 캐나다로 꽤 이주했다. 호주의 경우에는 백호주의 시절 남아공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출신 백인들에게 이민 혜택을 주었으며, 백호주의 철폐 이후에는 이 혜택이 비백인 커먼웰스 출신들로 확대되었다.

사실 1950~70년대까지만 해도 영연방의 기능은 지금보다 훨씬 많았고, 영연방 가입국에게 주어지는 혜택도 지금과는 비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했다. 대표적으로 기사에서도 언급되듯, 1980년대 후반까지 영연방 가입국끼리는 여행이나 유학, 취업에서 비자가 면제됐었다. 하지만 1960년대부터 시작된 영국의 유럽 중시 정책으로 영연방에 대한 우대 혜택은 하나 둘씩 철폐되기 시작했고, 결국 1973년 영국의 EC 가입과 1993년 EU 창설로 말미암아 영연방의 기능과 혜택은 현재와 같이 축소되었다. 영국 내에서는 이때 사실상 영국이 영연방 국가들을 배신한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는 유럽 중시 정책이 채택된 이후부터 영연방 중시론자들 사이에서 계속 나오던 불만이며, 다른 영연방 국가 국민들에게는 가장 뼈아픈 역사 중 하나로 기억되는 부분이다. 결국 영국이 EU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하게 되자, "결국 이럴 거면 도대체 왜 영연방을 버렸나?"라는 아쉬움도 나오고 있다.

유엔 창설 초창기에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을 선출하는 대륙별 쿼터에 영연방이 있어 한 자리는 영연방 소속국에게 주어졌었다. 그리고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 등을 영연방에 초대해 엄청난 규모를 가진 국제 기구로 만드는 방안도 검토했었다. 여담이지만 2차대전 후 영국과 프랑스는 국제 조직인 영연방 차원 뿐만 아니라, 국내적으로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한 나라로 합병하는 방안을 극비리에 논의하다가 포기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당시엔 사안의 민감성 때문에 양국 정부 차원에서 극비리에 논의를 했었다가 취소하여 최근까지 기밀로 돼 있었다. 물론 실제 합병에 나서기로 결정했었다면 그때는 그 계획을 국민들에게 공개하고 설득에 나섰겠지만, 검토 단계에서 무산됐기 때문에 수십 년 간 기밀로 묶여 있었다. 아무리 외교적, 군사적으로 양국의 연계가 긴밀해졌다고는 해도 국민들 사이에 정서적 유대감이 약한 두 나라를 합치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니 포기한 듯.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경제적, 정치적 탈출구로 영연방을 강화하는 안건이 주목 받고 있다. 실제로 호주, 인도, 캐나다, 나이지리아 같이 상징성이 큰 시장이 많은 영연방과 협력이 수월하게 이뤄질 경우 유럽 연합 탈퇴로 인한 공백을 보완할 수 있을 거라 보인다. 또한 유럽 연합으로 인해 막혔던 상호 지원 프로젝트와 협력 체계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7월 현재 브렉시트가 결정되자 백인이 주류인 영연방 왕국들 내에서 유럽연합 수준의 자유 노동 이주 연합체를 만들자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홍콩 특별행정구는 법적으로 주권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영연방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 대신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중국 중앙정부가 홍콩의 국제기구 참여를 허용하고 있다. 때문에 이론적으론 홍콩이 영연방에 가입할 수도 있지만 그러지 못하고 있다. 아일랜드 공화국의 경우 처럼 아편전쟁 등으로 인한 영국에 대한 중국 중앙 정부의 거부감 때문으로 추측된다.

4 회원국

영연방 회원국이 표시된 지도

굵은 글씨는 현재 영연방 왕국인 회원국
이탤릭체 글씨는 과거에 영연방 왕국이었던 회원국
밑줄 표시는 현재 회원 자격이 정지돼 있는 회원국
취소선 표시는 현재 영연방에서 탈퇴한 전(前) 회원국
★표시는 원래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는데도 영연방에 가입한 회원국
※표시는 초소형 국민체
  • 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2013년 영연방을 신식민지주의라고 비난하면서 탈퇴했다. 가장 최근에 탈퇴한 나라.
    • 나미비아★ : 199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 직후 영연방 가입. 원래 영국의 직접 통치를 받지는 않았으나, 독립 과정에서 아프리카 영연방 국가들의 도움을 받은 게 영연방 가입에 영향을 줬다.
    • 나이지리아 : 1995년 자격정지, 1999년 자격회복
    • 남아프리카 공화국(구 남아프리카 연방) : 1961년 탈퇴, 1994년 재가입. 남아프리카 연방(Union of South Africa) 시절에 영연방 왕국이었다가 공화정을 도입하면서 현재의 국호로 변경됐다.
    • 레소토
    • 르완다★ : 2009년에 가입. 가장 최근에 가입한 나라. 벨기에 식민지였으나 모잠비크(구 포르투갈령)처럼 영연방에 가입했다. 심지어 영연방에 가입하면서 영어를 공용어 중에 하나로 추가하였다. 영어 공용화는 모잠비크도 하지 않은 조치다.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1995년 가입. 영국이 아니라 포르투갈 식민지였지만, 주변이 모두 영연방 국가들로 둘러싸여 영향을 많이 받다보니 가입했다. 심지어 이 영향으로 운전도 좌측통행을 한다. 그래서 영국의 지배를 받지 않았는데 영연방에 가입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 보츠와나
    • 세이셸
    • 스와질란드
    • 시에라리온
    • 우간다
    • 잠비아
    • 짐바브웨(구 로디지아) : 1965년~1970년 사이 로디지아 백인정권이 영연방 왕국을 자칭했고 1970년 공화제 전환했으나, 영국 정부는 인정하지 않았다. 1980년 정식으로 짐바브웨 수립이후 가입했다가 2002년 자격정지, 2003년 탈퇴 더러워서 내가 나간다.
    • 카메룬
    • 케냐 : 엘리자베스 2세가 1952년 영국의 식민지였던 케냐를 방문 중일 때 부왕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여왕이 되었다. 1963년 케냐가 독립하면서 영연방 왕국이 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공화국으로 바뀌었다.
    • 탄자니아
      • 잔지바르 : 탕가니카와 합쳐 탄자니아 건국.
      • 탕가니카 : 잔지바르와 합쳐 탄자니아 건국. 탄자니아는 탕가니카와 잔지바르가 영국으로부터 따로 독립하였다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나라로 (애초에 탄자니아라는 국호도 탕가니카의 Tan과 잔지바르의 Zan을 합친 것), 탕가니카만 1961~62년 사이에 영연방 왕국이었고 잔지바르는 별도의 술탄을 모시고 있었다. 탄자니아는 1964년에 공화국으로서 성립하였으므로 영연방 왕국이었던 적이 없다.

5 영연방 에피소드

5.1 호주

현재의 호주는 [세계 2차대전 이후 건너온 유럽계 이민자나 이후의 유입인구가 거의 절반이고, 미국과 다르게 아직도 호주는 영국계 백인들이 절대 다수인 국가다.

원래는 영국과 한 나라라는 의식이 강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은 호주의 국가 의식이 싹트는 계기로 작용했다. 영연방의 호주와 뉴질랜드 군단(ANZAC)의 일부로 참전한 호주 군인들은 1915년 갈리폴리 전투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전쟁이 끝나을 때에는 인구 500만 명 중 약 6만 명이 죽거나 실종되었다. 사실상 대부분의 호주 가족들은 이 전쟁에서 가족 중 한 명을 잃었다고 볼 수 있다.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찾아온 불경기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전[30], 그리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31]의 참전으로 국민들은 자신이 호주인이라는 사실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호주는 영국과 친밀한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영연방의 일원인 이 나라는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이 나라의 국가 원수(군주)이기도 한다.

TV 시청률 상위권에 영국에서 제작되는 일일드라마 코로네이션 스트리트, 애머데일, 캐주얼티가 몇십년간을 버텨오고 있으며, 닥터 후, 셜록 등 최신 영국 드라마를 즐겨 보는 사람들도 많다. 이러한 문화적 영향력 때문에 영국을 평생 가보지 않은 호주인들도 영국을 잘 안다. 영국 정치 소식이 거의 매일 방송이 될 정도[32]이며, 영국 경제와 문화, 사회에 대한 소식도 호주 주요 언론 매체들이 곧잘 다루곤 한다. 현재도 영국에서 많은 수의 이민자들이 호주로 건너가고 있다.

뉴질랜드와 캐나다에 대한 공식 관계나 국민 감정도 매우 좋은 편이다.

5.2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영국과의 전통적이고 특별한 유대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공식 국가 원수가 영국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이며, 엘리자베스 2세의 임명장을 받은 총독이 국가 원수직을 대행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뉴질랜드인들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영국을 모국 같이 생각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영연방의 회원국이자 영연방 왕국의 일원이며, 1995년 오클랜드에서 영연방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도 했다.

자타공인 럭비 세계 최강국. 럭비 종주국인 영국을 쌈싸먹고 매년 유럽 순회를 돌며 연승을 거두고 오기도 한다. 럭비에서 최대 라이벌은 호주로, 커먼웰스 게임이나 올림픽, 메이저 럭비 대회에서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기가 최고의 빅매치로 꼽힌다.

포클랜드 전쟁 당시 뉴질랜드 총리가 뉴질랜드 해군 소속 HMNZS 캔터베리 함을 보내 영국군을 돕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5.3 캐나다

애초에 영국인 개척자들이 와서 세운 나라이고 영국의 지원을 받았으며 평화로운 법적 절차를 통하여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기 때문에 영국에 상당히 우호적이다.

영연방 내에서 가장 밀접한 파트너 관계로 캐나다-영국 관계가 꼽히며, 캐나다와 영국 둘 다에서 피로 맺어진 가족 관계로 묘사되곤 한다.

캐나다의 공식적인 국가원수는 캐나다의 군주이며, 엘리자베스 2세가 현재 캐나다의 군주이다.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 이후 군대도 영국군과 분리됐고 외교도 독자적으로 하게된다. 자치령의 지위가 승격된 원인은 제1차 세계대전에 기여한 뒤 이들이 영국 정부에 더 많은 자치권을 요구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다 1982년에 영국 의회와 캐나다 의회가 캐나다법(Canada Act)을 통과시켜 캐나다가 영국에서 완전히 분리된 독립국가가 되자, dominion을 없애고 '캐나다'를 법률 등에서 공식 명칭으로 쓰게 됐다.

본래 당시 캐나다 현지의 영국계 주민들이 원한 명칭은 Kingdom of Canada, 즉 캐나다 왕국이었다. 하지만 영국 정부는 이 제안을 듣고 손사래를 쳤다고 한다.
  1. 위키백과에서는 라이선스 문제 등이 걸려 있는지 일단 예전 깃발만 제시하고 디자인 수정은 말로만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2. Commonwealth라는 단어의 뉘앙스를 정확히 살려 번역하기가 어려워 그냥 영어 표기를 그대로 쓴다.
  3. 과거에는 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 약칭 British Commonwealth였으나 현재는 British가 삭제되었다.
  4. 생략형은 그냥 (the) Commonwealth이지만 Commonwealth가 다른 의미로 쓰일 때도 있으니 문맥을 잘 살펴야 한다.
  5. 영연방의 라틴어 번역인 Consortio Populorum도 이런 뉘앙스를 살린 번역어이다.
  6.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호주)는 정식 국호가 Commonwealth of Australia이다. 또 도미니카 연방의 영어명은 Commonwealth of Dominica이고. 이 두 나라는 동시에 영연방 회원국이기도 한데 국호에 커먼웰스가 들어간 것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7. 예를 들어 미국의 주(state)들 중에 네 개는 스스로를 커먼웰스로 지칭해 state와 동의어로 쓰고 있다. 물론 미국에서 커먼웰스라는 말을 쓴다고 전부 주와 동의어는 아니다. 푸에르토리코 같은 속령도 커먼웰스라고 쓴다. 결국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치 결사체가 스스로를 커먼웰스라고 부르면 그대로 커먼웰스인 셈.
  8. 영연방 자체도 커먼웰스라는 단어를 쓰고 있고, 독립국가연합의 영어명에도 커먼웰스가 들어가 있다.
  9. 자치령들은 식민지처럼 속령이긴 하지만 본국인 영국 정부를 본따 자신들만의 자치 정부를 갖추고 내정에는 간섭을 받지 않았다. 캐나다가 최초의 자치령이었다.
  10. 1차 대전 때는 자치령들이 독자적인 외교, 군사권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과 별도의 선전포고를 하지 않고 참전했다. 하지만 2차 대전 때는 자치령들이 이미 독립국과 마찬가지로 외교와 군사권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과 별도로 선전포고를 하고 참전했다.
  11. 예를 들면 호주의 헌법은 1980년대까지 영국 의회에서 개정 권한이 있었고 호주에서는 스스로 개정할 수 없었다. 이론상 호주가 헌법을 고치고 싶다면 영국 정부에다가 이러저러하게 고쳐달라고 요청해서 협의해야 했던 것이다. 물론 지금은 그 권한이 호주로 완전히 넘어왔다.
  12. 중국어가 공용어 중 하나이며 영연방 회원국이다.
  13. Commonwealth가 원래 공화국을 뜻하는 단어였던 걸 감안한 표현으로 짐작된다. 아무래도 싱가포르로서는 회원 당사국이다 보니 국민들에게 영국의 산하에 남는 게 아님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었을 것이라 영연방 대신 다른 명칭이 필요했을 것이다.
  14. 실제 영연방 창설 당시에는 대영제국(British Empire)의 여러 자치 공동체(autonomous communities)들의 연합체 정도로 설명하기도 했다. 대영제국은 실제 하나의 독립 국가가 아니라 영국과 영국 자치령, 식민지 등을 총칭하는 말이었지만, 대영제국이 하나의 국가라고 칠 경우 그 핵심 구성원인 영국과 자치령들이 연방국가의 구성 요소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래서 당시에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영연방이라는 번역어가 채택됐을 것이다. 애초에 이 조직 자체가 전례가 없는 새로운 것이었기 때문에 이 조직만을 위한 번역어를 만들지 않고 대충 비슷한 용어인 연방을 끌어온 것으로 보인다.
  15. 마찬가지로 다른 데에 쓰인 커먼웰스도 실제 의미와 상관 없이 그냥 연방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Commonwealth of Australia의 경우 호주가 실제로도 연방 국가이므로 호주 연방이라고 번역하는 게 이상할 건 없다고 볼 순 있다. 하지만 Commonwealth of Dominica를 도미니카 연방이라고 번역하는 건 엄밀히 말하면 오역이다. 이 나라는 연방제 국가가 아니라 대한민국처럼 단방제 국가이기 때문. 또, Commonwealth of Puerto Rico를 푸에르토리코 연방이라고 번역하는 예도 있는데 이 역시 올바른 번역이라 할 수는 없다. 단지 번역어가 없어서 닥치고 Commonwealth를 연방으로 옮기는 셈.
  16. 예를 들면 스코틀랜드가 독립하는 걸 영연방을 떠난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그 예. 스코틀랜드가 독립하게 되면 영국(연합왕국)은 떠나도 영연방은 떠나지 않는다. 현재 스코틀랜드는 영연방의 회원국인 영국의 일부라서 영연방에 속해 있고, 설사 독립한다 해도 영연방의 신규 회원국이 될 것이기 때문에 독립을 하더라도 영연방에 남을 확률은 100%나 마찬가지이다. 아일랜드 공화국이야 전쟁까지 치러서 독립을 쟁취했을 정도로 뿌리깊은 반영 정서 때문에 영연방을 떠난 뒤 재가입을 안 하고 있지만 스코틀랜드는 사정이 다르다.
  17. 다만 영국을 제외한 15개국에는 평상시에 여왕이 현지에 주재하지 않으므로 총독을 두어 사실상의 국가원수 역할을 한다. 총독이라고 하니까 한국인들은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를 생각해서 영국에서 파견, 임명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옛날엔 그랬지만 현재 저 15개국 중에 그러는 나라는 한 개도 없다. 전부 자기 나라 사람 중에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인사(원로 정치인, 전직 고위 외교관 등)를 여왕한테 총독으로 추천하고, 여왕이 거기에 따라 임명하는 식이다. 그리고 여왕은 '영국' 여왕으로서가 아니라 그 나라의 여왕(예를 들어 호주 총독을 임명할 때는 호주 여왕)으로서 임명한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막연히 상상하는 식민 통치 방식과는 이미 상당한 거리가 있다.
  18. 인도 독립 전에는 영국 왕이 '인도 황제' 칭호를 썼지만 독립 후에는 인도 황제 칭호를 폐지하고 다른 데와 마찬가지로 국왕의 칭호를 썼다.
  19. Head of the British Commonwealth나 Head of the Commonwealth of Nations 식으로 적진 않는다. 그냥 Head of the Commonwealth가 정식 칭호이다.
  20. 이 상황에서 새로운 왕궁 역할을 할 궁궐은 현재 총독관저로 사용중이다. 예를 들면 캐나다의 경우에는 오타와리도 홀과 퀘벡시티의 퀘벡 요새가 있다. 영국을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들에선 이를 반영해 영국 본토가 막장 상황이 될 땐 영국 왕실이 영연방 국가인 캐나다 등으로 피신하는 경우가 많다.
  21. 다만 지금도 스코틀랜드 자치의회를 통과한 법안의 재가 절차 등을 여왕이 직접 밟고 있긴 하다. 만약 스코틀랜드 독립이 이뤄졌어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직접 처리해야 할 업무가 갑자기 엄청나게 늘어나진 않았을 것이란 얘기.
  22. 다만 노르망디 본토를 상실한 지 오래됐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쓰지 못하고 있다. 관행상 현지에서 노르망디 공작으로 대우해주고 있다는 정도일 뿐.
  23. 다만 실질적으로 노르망디 공작의 영토라고 여겨지는 곳의 일부는 아직도 영국령인데 채널 제도가 바로 그렇다.
  24. 원래는 영연방 측에서 회원 자격 정지를 가할 예정이었으나, 몰디브 측에서 먼저 탈퇴를 선언했다.
  25. 여왕에게 서신을 보낸 후 1970년 4월 21일 영연방임을 선언했다.
  26. 이전·현재의 유럽 내 영연방 회원국들은 전부 유럽연합 회원국이기도 하다.
  27. 1937년 이후로는 아일랜드 섬 전체나 북아일랜드와 구분하기 위해 영국에서는 이 나라를 아일랜드어명인 Eire로만 불러서 Ireland(섬 전체를 가리킬 때만 사용)와 의미를 구분했었다. 그 후 이 나라가 공화국이 된 1949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아일랜드 공화국이라고 불린다. 다만 1949년에 아일랜드(나라)가 공식 국호를 바꾼 건 아니다. 영국 등에서의 대체 표기만 바뀐 것이다.
  28. 이전 버전에서는 연방의 '수장'이라고 돼 있었는데 현재는 공식적으로 수장 역할을 하는 국가가 없다.실질적 수장
  29. 이외에도 키프로스 섬에는 키프로스 공화국이 독립할 때 예외적으로 영국 영토로 잔류해 현재까지 군사 기지로 쓰이고 있는 아크로티리 데켈리아(Sovereign Base Areas of Akrotiri and Dhekelia)라는 특수한 지역이 있다. 이 곳의 경우 영국을 통해 영연방에서 간접 대표된다.
  30. 영국이 홍콩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빼앗기며 인도 본토와 인도양 사수에 매달리는 바람에 호주 북부 지역이 일본의 폭격에 노출되었다.
  31. 호주와 달리 영국과 캐나다는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전하기를 거부했다.
  32. 이에 대한 안 좋은 일화도 있는데, 2012년 호주의 한 라디오 방송 매체에서 영국 왕실 관계자 흉내를 내며 왕세손빈인 캐서린 미들턴을 담당하고 있는 병원 간호사를 속여 정보를 빼내는 사건이 터졌다. 죄책감과 압박감에 시달리던 해당 간호사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호주와 영국 모두에서 큰 문제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