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파이브디즈/주제가

이 항목은 유희왕 5D's의 주제가와 삽입곡을 정리한 항목이다. 비슷한 영상이 두 개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중복은 아니고 서로 다른 영상이다.

몇몇 누락된 영상들을 가진 위키러는 수정 바람.

1 OP

1.1 1기

『인연-키즈나-』(1화~26화)[1] PV 영상
원제 : 絆-キズナ-
작사 : 케이유우(景夕)
작곡 : 마이(舞)
편곡 : Kra, 増渕 東
아티스트 : Kra

인트로 부분의 가사불명의 노이즈 낀 보이스는 '春夏秋冬 夏服ウザい 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봄 여름 가을 겨울 하복 짜증나 가, 감사합니다)'라는 기묘한 몬데그린으로 팬들을 뿜게 했다. 초반의 유세이가 걸어가는 장면은 분명 유세이는 앞으로 걸어가지만 뒤의 배경은 가로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유세이 꽃게설에 일조했다(...)

『믿음』
아티스트 : 고현호

1.2 2기

Version 2(칼리미스티가 다크 시그너로 변한 모습이 나온다)

『LAST TRAIN-새로운 아침-』(27화~64화) 영어버전 PV[2] 일본어 버전 PV
원제 : LAST TRAIN -新しい朝-
작사, 작곡 : KEIT
편곡, 아티스트 : Knotlamp

이 곡이 쓰이는 2기 부분의 국내 방영시, 챔프TV는 녹음을 한 것도 아니고 일본판을 그대로 튼 것도 아니고 영상은 그대로에 그냥 MR 버전만 내보내는 만행을 저질렀다. 다크 시그너 이야기의 인기와도 더불어 곡과 영상의 퀄리티로 유희왕 시리즈 굴지의 인기 오프닝 중 하나인데, 안습.

영상의 첫 부분은 파이브디즈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나오는 제로 리버스 당시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장면에서 유세이와 똑같은 비슷한 헤어스타일을 한 가운을 입은 남자의 실루엣이 나오는데, 첫 공개 당시 사람들은 유세이의 아버지가 아닌가 추측을 했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1.3 3기

『FREEDOM』(65화~103화)
원제 : FREEDOM
작사 : 榊原正晃
작곡 : 間瀬公司
편곡 : 大村栄二/木村真也
아티스트 : La-Vie

보이!!

노래도 훌륭하다고 평가받고 영상 연출도 훌륭했다고 평가받았으나, 이러한 장점을 작화붕괴라는 단 하나의 단점이 빛을 바래게 했던 오프닝. 그 작붕이라는 게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게 아니라, 오프닝 영상 전체에서 나타났다는 게 문제였다. 이는 유희왕 역사상 유래 없는 "작붕 오프닝"이라는 말까지 듣게 된다. 거의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해당되지만, 그 중에서도 셰리 루블랑의 경우 본편에서 나오는 셰리와 동일인물이 맞는지 의심이 갈 정도로 다른 사람이다(...)

여담으로, 라이딩 듀얼을 위해 도로에서 라이딩 듀얼 전용 도로가 전개되는 장면에서 사이버 포뮬러를 떠올린 사람이 상당히 많았다고 카더라.

그리고 더빙 방영 당시 이 노래도 더빙 되었고 퀄리티도 꽤나 좋았지만 영상을 구하기 힘들다.

[Nameless Death](화~화)
원제 : Nameless Death
작곡 : Time Concerto
죄송합니다. 이이상은 정보를 찾지못했습니다.

1.4 4기

『BELIEVE IN NEXUS』(104화~129화) 라이브 영상
원제 : BELIEVE IN NEXUS
작사 : 엔도 마사아키
작곡 : 엔도 마사아키
아티스트 : 엔도 마사아키
편곡 : 스즈키 마사키(鈴木マサキ)

『Nameless Death』
작사, 작곡, 아티스트 : Time Concerto(타임 콘체르토)

1.5 5기

[3]

『내일로의 길 ~Going My Way!!~』(130화~153화) PV영상
원제 : 明日への道 ~Going My Way!!~
작사 : 엔도 마사아키
작곡 : 後龍
아티스트 : 엔도 마사아키
편곡 : 스즈키 마사키(鈴木マサキ)

중간에 나오는 외침이 'Growing! Go my way!'지만 고드윈! 고드윈!이라는 몬데그린으로 들린다(...).

2 ED

2.1 1기

『START』(1화~26화) PV영상
원제 : START
작사 : 코사카 나오미(こさかなおみ)
작곡 : 上田晃司
편곡 : 増渕東
아티스트 : 나카가우치 마사타카(中河内雅貴)

참고로 이 노래를 부른 가수 나카가우치 마사타카는 테니뮤에서 니오 마사하루 역을 맡았었다.

『START』
아티스트 : 김진욱

2.2 2기

『CROSS GAME』(27화~64화) PV영상
원제 : CROSS GAME
작사 : 将
편곡 : 아리스나인 / 타쿠미 마사노리(宅見将典)
작곡, 아티스트 : 아리스나인(アリス九號)

이 곡은 아예 짤렸다. 그래서 한판에서는 다크 시그너편이 끝날 때까지 계속 1기 엔딩를 사용했다.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의 모습이 보이지만 6기가 되서야 첫 출연을 한다.

Ozone
아티스트 : 이형석

2.3 3기

『-OZONE-』(65화~103화) PV영상
원제 : -OZONE-
작사 : 智
작곡 : Tohya
편곡, 아티스트 : vistlip 칠석밴드답게 가사도 칠석 이야기

天の川浮ぶ背の低い丘
은하수가 떠오르는 키작은 언덕

見渡す景色は想像と違う
멀리 펼쳐진 경치는 상상과 달라

あの頃と比べ前に進めた?
그 시절에 비하면 전진한걸까?

答えはNOじゃない だけど足りない
대답은 NO가 아냐 하지만 아직 부족해

意地悪な神が僕等試すんだ
심술궂은 하느님이 우리를 시험하는 거야

空席を埋めて次のステージ向かおう
공석을 채워서 다음 스테이지로 향하자

「どんな関係?」 なんて聞かれたら
"어떤 관계야?"라고 질문한다면

友達以上かな...それも少し違うか
친구 이상이려나... 그것도 조금 아닌가

絆と云う言葉が相応しい
유대라는 말이 딱 들어맞아

喧嘩し合いながら 分かち合いながら
다투면서 또 화해하면서

「ねぇ今何処?」 「地球ん中」
"저기 지금 어디야?" "지구 안"

宇宙飛行士じゃないから
우주비행사가 아니니까

オゾンより下なら問題無い
오존보다 아래라면 문제 없어

「わかってる、すぐ行く。」
"알고 있어, 지금 당장 갈게"

朝まで騒ぎたいのでしょう
아침까지 떠들고 싶은 거잖아

大切な居場所で
소중한 안식처에서

오프닝보다는 나았지만 엔딩 역시 작붕 엔딩이라는 오명을 피하진 못했다.[4] 영상에서 나오는 이자요이 아키는 완결될 때까지 단 한 번도 나온 적이 없는 장발의 모습이 나온다(...)

곡 자체는 상당히 인기가 많다. 단 가사가 의☆미☆불☆명이라고 좀 까였는데, 풀 버전 가사를 모르면 이해하기 힘든 가사이다. 1절은 견우와 직녀에 비유되는 힘겨운 사랑을 이어가는 연인의 이야기가 나오고, 엔딩 영상에 사용된 2절은 "적어도 오존층 아래에 함께 있는 우리는 견우와 직녀에 비하면 아무 문제 없다"는 뜻. 비교적 연애 색깔이 옅고, 파이브디즈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키워드와 연관된 2절 가사를 영상에 사용한 듯 하다.

어찌됐든 Q : 저기 지금 어디야? A : 지구 안이라는 문답은 유희왕 팬덤에서 소소한 네타가 되었다. 오존보다 밑이면 문제없어라는 가사도 최종보스전에서 주인공이 오존 위로 우주로 날아가는 바람에 네타가 되었다. 팬덤에서 나름 인기 있는 소재. [5] 이 외에도 '대답은 NO가 아냐 하지만 부족해' '어떤 관계야?'등의 가사가 파이브디즈 팬들에게는 깊은 인상을 남겨서, 주제곡 가사중에서는 제법 소재로 자주 쓰이는 노래가 되었다.

한국판 3기 엔딩.
OZONE의 더빙판을 보고 싶으면 2기 엔딩 항목으로 가면된다.

2.4 4기

『Close to you』(104화~129화) PV영상
원제 : Close to you
작사, 작곡 : 潤
편곡 : HΛL A.v.n
아티스트 : ALvino ~Alchemy vision normal~

비디오 링크

『The Redemption:유희왕5D's Edition』
원곡 : The Redemption
작사, 작곡, 아티스트 : Time Concerto(타임 콘체르토)

2.5 5기

151화에서 나온 ED.
[6]

『미래색』(130화~154화) PV영상
원제 : みらいいろ
작사 : 아리무라 류타로
작곡 : 하세가와 타다시
편곡 : Plastic Tree
아티스트 : Plastic Tree

역대 최초로 특정 등장인물에 초점을 맞춘 영상이 사용된 주제가.[7]

영상의 종반부에서 유세이아키가 손을 맞잡고 있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드디어 역대 주인공 고자 전통이 깨지는 것인가하고 기대했건만... 또한, 마지막 장면에서 등장한 유세이와 아키가 바라보고 있는 광채가 슈팅 퀘이사 드래곤과 비슷하면서도 뭔가 날개가 다른데, 애니 제작진 왈, 그냥 슈팅 퀘이사 맞는데 날개를 좀 늘린 것 뿐이라고(...). 다만,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시프르가 이 때의 작화와 꽤 비슷해서, 모티브를 따 오지 않았나 하는 말이 있다.

[8]

『인연-키즈나-』

1기에 쓰였던 오프닝 곡. 5ds 154화 특별 엔딩곡으로 등장했다. 그 후에 5기 엔딩인 "미래색"이 본격적으로 나온다.

3 삽입곡

『You say…내일로』
원제 : You say…明日へ
작사 : 榊原正晃
작곡 : 間瀬公司
편곡 : La-Vie/木村真也
아티스트 : La-Vie

이 곡은 유희왕 시리즈 최초의 삽입곡이다. 또한, 가사의 제목인 You say는 후도 유세이의 유세이와 발음이 비슷하다.

Clear mind
원제 : Clear mind
작사, 작곡 : 엔도 마사아키
편곡 : 鍋島圭一
아티스트 : 엔도 마사아키

『YAKUSOKU NO MELODY(약속의 멜로디)』라이브 영상
원제 : YAKUSOKU NO MELODY
작사, 작곡 : 엔도 마사아키
편곡 : 三宅博文
아티스트 : 엔도 마사아키

마지막화인 154화에 나온 삽입곡.
  1. 참고로 오프닝에서는 2절이 쓰였다. 풀 곡을 들으면 확연히 알 수 있다.
  2. 애초에 이 노래는 영어 가사가 원곡이다. 제작진들의 요청으로 오프닝에는 일본어로 편곡해서 부른 것 뿐이다. 그리고 이 버전은 코나미의 기타도라 시리즈에도 수록되었다.
  3. 151화에서만 나온 오프닝이다. 151화가 시작하자마자 오프닝이 시작되며, 중간에 본편 내용이 나오면서 이어진다.
  4. 실제로도 루카의 작붕이 있어 나중에 수정되었다.
  5. 관련 동영상에 '오존보다 위라도 문제없어'라는 식의 태그가 걸린다.
  6. 154화에서 나온 ED.
  7. 오프닝은 151화에서 잠시 영상이 바뀌긴 했지만 특정 인물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기 보다는, 주제가가 흘러나오는 와중에 최종보스와의 전투를 하는 본편으로 넘어가는 것이었다.
  8. 5기 스페셜 엔딩. DVD 외전판에만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