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육군특수전사령부
width=100% |
역대 | 성명 | 사 진 | 임 관 | 최종 계급 | 임 기 |
비 고 | |||||
1 | 조문환 | width=100% | 육사 7기 | 중장 | 1969년 8월 18일 ~ 1972년 6월 12일 |
주월 비둘기부대(건설 지원단) 단장, 19대 국방부 차관, 대한광업진흥공사 이사장 역임 1987년 11월 별세 | |||||
2 | 조천성 | width=100% | 육사 8기 | 소장 | 1972년 6월 12일 ~ 1974년 12월 10일 |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역임 | |||||
3 | 정병주 | width=100% | 육사 9기 | 소장 | 1974년 12월 10일 ~ 1979년 12월 13일 |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의해 총상을 입고 강제 예편 1989년 의문사(타살 의혹) | |||||
4 | 정호용 | width=100% | 육사 11기 | 대장 | 1979년 12월 13일 ~ 1981년 3월 4일 |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가담, 25대 육군참모총장, 25대 국방부 장관, 13·14대 국회의원 역임 | |||||
5 | 박희도 | width=100% | 육사 12기 | 대장 | 1981년 3월 4일 ~ 1982년 11월 10일 |
12.12 군사반란 반란군에 가담, 26대 육군참모총장 역임 1여단장 시절 군복을 벗고 징역을 살게 될 위기에서 구해준 은인이 다름아닌 정병주였음에도 그런 은인을 배신했다. | |||||
6 | 최웅 | width=100% | 육사 12기 | 중장 | 1982년 11월 10일 ~ 1984년 7월 4일 |
12.12 군사반란 가담 의혹, 주 파키스탄대사, 주 폴란드대사 역임 "우리는 마치 반란군인 것처럼 매도당했다. 우리 군인들은 명령을 받고 행동했으며, 계엄령을 준수하지 않은 위반자들이 흐뜨러뜨린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간 것이다" | |||||
7 | 육완식 | width=100% | 육사 13기 | 중장 | 1984년 7월 4일 ~ 1987년 1월 15일 |
국가안전기획부 본부장 역임 | |||||
8 | 민병돈 | width=100% | 육사 15기 | 중장 | 1987년 1월 15일 ~ 1988년 6월 30일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9 | 이문석 | width=100% | 육사 17기 | 대장 | 1988년 6월 30일 ~ 1989년 12월 28일 |
제1야전군사령관, 26대 총무처 장관 역임 | |||||
10 | 서완수 | width=100% | 육사 19기 | 중장 | 1989년 12월 28일 ~ 1991년 12월 31일 |
29대 기무사령관 역임 | |||||
11 | 김형선 | width=100% | 육사 19기 | 중장 | 1991년 12월 31일 ~ 1993년 4월 2일 |
12 | 장창규 | width=100% | 육사 21기 | 중장 | 1993년 4월 2일 ~ 1995년 4월 17일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13 | 정영무 | width=100% | 육사 22기 | 대장 | 1995년 4월 17일 ~ 1997년 4월 24일 |
제13대 한미연합부사령관, 국방개혁위원장 역임 | |||||
14 | 오남영 | width=100% | 육사 24기 | 중장 | 1997년 4월 24일 ~ 1998년 11월 2일 |
육군사관학교장 역임 | |||||
15 | 김희중 | width=100% | 육사 25기 | 중장 | 1998년 11월 2일 ~ 2000년 4월 27일 |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 |||||
16 | 류해근 | width=100% | 육사 26기 | 중장 | 2000년 4월 27일 ~ 2002년 4월 8일 |
교육사령관 역임 | |||||
17 | 김윤석 | width=100% | 육사 27기 | 중장 | 2002년 4월 8일 ~ 2004년 5월 29일 |
국군체육부대장, 52사단장 역임. 전역식에서 고공낙하 시범으로 화제가 되었다. | |||||
18 | 백군기 | width=100% | 육사 29기 | 대장 | 2004년 5월 29일 ~ 2005년 11월 3일 |
제31향토보병사단장, 21대 제3야전군사령관, 19대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국방자문위원 | |||||
19 | 김진훈 | width=100% | 육사 30기 | 중장 | 2005년 11월 3일 ~ 2007년 10월 30일 |
건군 60주년 기념사업단 단장, 2대 군인공제회 이사장 | |||||
20 | 김상기 | width=100% | 육사 32기 | 대장 | 2007년 10월 30일 ~ 2009년 4월 22일 |
제50향토보병사단장, 23대 3야전군사령관, 42대 육군참모총장 역임 | |||||
21 | 최용림 | width=100% | 육사 33기 | 중장 | 2009년 4월 22일 ~ 2010년 12월 27일 |
국방부 특별검열단 단장, 육군사관학교 초빙교수 | |||||
22 | 신현돈 | width=100% | 육사 35기 | 대장 | 2010년 12월 27일 ~ 2011년 11월 16일 |
제1보병사단장, 38대 제1야전군사령관 역임. 1군사령관 재직 당시 군사대비태세 기간 작전지역 이탈, 음주로 인한 품위손상을 일으켜 책임지고 전역했다. | |||||
23 | 최익봉 | width=100% | 육사 36기 | 중장 | 2011년 11월 16일 ~ 2012년 3월 10일 |
제23보병사단장으로 있었던 2009년, 해당 보병사단의 여군 부사관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던 것이 특전사령관이 된 후인 2012년 3월에 뒤늦게 들통나서 보직 해임됨. 이 때문에 윤광섭 특전부사령관이 직무대리 수행. 첫 보도엔 동료 여 부사관의 증언을 참고해 강요된 성관계에 가까웠다는 기사가 나왔었고 후에 이를 토대로 국방부와 육본의 취재가 수행됐으나 양 측에선 최익봉 중장에 관한 건 개인사생활에 관한 것이므로 징계위원회의 징계 사유와 징계 결과를 알려 줄 수 없다 말하였다. | |||||
23" | 윤광섭 | width=100% | 육사 34기 | 소장 | 2012년 3월 10일 ~ 2012년 4월 30일 |
최익봉 사령관 보직해임으로 인한 사령관 직무대리, 전역 후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 본부장' 역임 | |||||
24 | 장준규 | width=100% | 육사 36기 | 대장(현역) | 2012년 4월 30일 ~ 2013년 10월 31일 |
제21보병사단장, 39대 제1야전군사령관. 신현돈 사령관 전역으로 제1야전군부사령관 시절 사령관 직무대리. 現 육군참모총장. | |||||
25 | 전인범 | width=100% | 육사 37기 | 중장 |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
제27보병사단장,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차장·부참모장 역임. 2013년 10월 중장 진급과 함께 특수전사령관 임명. 현역 장성 최다 훈장 수훈자. 제1야전군 부사령관을 거쳐 2016년 7월 전역. | |||||
26 | 장경석 | ![]() | 육사 39기 | 중장 | 2015년 4월 ~ 2016년 10월 |
육사 수석 졸업자로, 제12보병사단장, 국방부 정책기획관 역임. 사제장비 금지령으로 인해 논란과 비판, 비난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역대 최악의 특전사령관 중 한 명. | |||||
27 | 조종설 | 육사 41기 | 중장(현역) | 2016년 10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