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拯(1629년 ~ 1714년)
모자 안쪽을 주목하자 자라나라 머리머리
조선의 학자. 서인 소론의 영수다. 자(字)는 자인(子仁), 호는 명재(明齋)·유봉(酉峰), 시호는 문성(文成)이며, 윤선거의 아들이자 성혼의 외증손이 된다.
아버지 윤선거 밑에서 수학하여 성혼의 학맥을 계승하였으며, 그 밖에도 장인이 되는 권시를 비롯해 김집, 유계, 송준길, 송시열 등 당대 최고의 학자들 밑에서 학문을 배웠다. 저 중 셋[1]이나 문묘에 배향된 인물들이니 그야말로 아버지 윤선거의 위상과 평판을 알 수 있는 장면이라 볼 수 있다.
이후 학문연구에 뜻을 품고 벼슬에 나가지 않았는데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있어서 상당한 명망을 얻었다. 하지만 1669년 아버지 윤선거의 죽음이 그의 위치를 바꿔놓게 된다. 윤선거는 같은 서인인 송시열과 달리 남인에게 상당히 관대하였고, 윤증 역시 남인의 대표인 윤휴 등의 조문을 받았으며[2] 이를 송시열이 매우 불쾌해 했다. 그리고 1673년 결국 회니논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회니논쟁에서 회니란 송시열에 살던 회덕(현 대전), 윤증이 살던 이성(현 논산)을 말하는 것으로, 윤증은 아버지 윤선거의 묘갈명을 윤선거의 생전친구였던 송시열에게 부탁했는데 송시열은 윤선거가 생전에 남인 영수 윤휴를 두둔했던 뒤끝 앙금이 남아있었다. 따라서 조문에 병자호란 때 자결한 처를 두고 도망쳐나온 일을 가지고 야유하는 뜻을 적었다. 이에 윤증이 송시열에게 시정이나 삭제를 요구했으나 송시열은 들어주지 않았고, 이 일에 감정이 상한 윤증은 결국 송시열을 비판하고 사제의 관계가 끊어지고 말았다.
이렇듯 당시 서인의 영수였던 송시열과 대립각을 세웠으나 다행히 벼슬에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예송논쟁과 각종 환국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으며[3], 특히 경신환국 이후 남인의 처리를 두고 남인을 강하게 처벌하자는 서인 강경파에 대응하여 박세채, 남구만, 박세당 등과 함께 서인 온건파를 이끌게 되어 소론의 영수로 추앙받는다. 그러나 윤증은 송시열과 대립하였기 때문에 훗날 노론에게 사문난적으로 몰리게 된다.
1714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1716년 소론이 실각하는 병신처분이 일어날 때 관직을 모두 추탈당했으나 1722년 소론이 재집권하자 복관되었다.
대표적인 성리학자였고 양명학은 이단으로 생각했으나 실학에 대해서는 후했으며, 특히 유형원을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