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왕

" />?width=50
백제의 역대 국왕
32대 풍왕 부여풍33대(?) 융왕 부여융34대(?) 경왕 부여경
왕호융왕(隆王) / 대방군왕(帶方郡王)
부여(扶餘)
융(隆)[1] / 숭(崇)[2]
생몰년도음력615년 ~ 682년
웅진도독음력665년 ~ 676년 (12년)
소백제 통치(?)음력677년 ~ 682년 (6년)

1 개요

백제의 前 태자이자 웅진도독부의 도독. 융왕

백제부흥운동을 망하게 한 장본인 중 하나. [3]

부여 서씨(氏)의 시조라고 한다.

2 생애

2.1 초기일생

부여융의 묘지명에 따르면 부여융은 615년에 의자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확실한 기록이 남아있아서 한때 부여융을 의자왕의 셋째 아들로 여기는 시각도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정황상 의자왕의 맏아들로 여겨진다.

이후 부여융은 644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는데, 이상하게도 백제 멸망 당시의 기록에는 태자가 부여효로 바뀌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아무래도 655년 정월에 일어났던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의 영향으로 보인다.

부여효는 부여융의 배다른 형제로 추측되는데, 백제 말기에 전횡을 일삼았다는 의자왕의 대부인이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를 도와 권세를 잡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대부인의 소생인 부여효가 부여융을 몰아내고 태자위를 빼앗아갔다는 설이 유력하다. 한편 이 의자왕의 대부인이 은고라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못하다.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받자 의자왕과 함께 웅진으로 피난했으나 결국 의자왕과 함께 항복하였고 이후 항복식에서 신라의 태자 김법민(=문무왕)에게 침을 맞게 되었다.[4] 그리고 백제의 백성 1만명과 함께 으로 압송되었다.

662년 수군을 이끌고 귀국하여 나라 장수 유인궤와 함께 주류성을 근거지로 하는 백제부흥군의 수장 풍왕 부여풍을 공격했다. 이후 백제부흥군이 백강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패배와 내분으로 무너지자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그를 웅진도독으로 삼았다.

665년 한때 그에게 침까지 뱉으며 모욕을 주었던 신라 문무왕과 맹약을 맺으면서 사비성 부근에 대한 지배권을 얻어냈다. 그러나 672년 신라의 대당전쟁을 피해 당으로 돌아갔고 웅진도독부가 물러나고 신라가 온전히 구 백제영토를 점유함으로서 백제의 역사는 끝나게 된다.

676년 웅진도독부는 고구려의 옛 땅인 건안성으로 옮기게 되었고, 그는 여기서 백제유민들을 모아 백제인의 자치구를 건설했고 이 것이 훗날 신성의 소고구려와 비슷한 형태로 남게 된다. 일명 소백제. 이후 죽을 때까지 웅진도독으로 재직하다 낙양에서 사망해 북망산에 묻혔고 사후에 당나라 조정으로부터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을 추증받았다.

3 후일담과 평가

이후 그의 자손들이 웅진도독의 작위를 계승하다가 신성의 소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발해의 요동진출로 인해 8세기 중반~9세기 초에 건안성의 소백제발해에 흡수되어버린다. 웅진도독부는 분명 백제인이 중심이 된 자치정부였지만 한편으론 당에 의해 세워진 괴뢰정부다.

분명 백제인이 부흥운동 실패 이후 사활을 걸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백제세력들이 동조한 것도 아니고 도리어 신라에 편입되어 백금서당처럼 군사적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도리어 부여융과 웅진도독부의 활약 후 통일전쟁 이후 백제계의 정치적 입지를 크게 약화시켰다.

부여서씨 측에서는 부여융이 당황제에게 서씨를 사성받은 후 내려온 것이 그들 가문이라고 자처하지만, 발견된 부여융 묘지명에는 사성받았다는 기록이 전혀 없다.

4 대중 매체에서

삼국시대 말기를 다룬 사극에서 몇 번 등장했는데, 대부분 제법 개념 있는 왕자로 묘사되었다.

삼국기에서는 이경영이 연기했다. 직접 무열왕과 소정방에게 항복을 청하고 신라 태자 법민에게 모욕을 당하는 장면은 나오지만 그 와중에도 백제 백성들의 목숨은 살려줄 것을 청하는 왕자로 등장한다.

대왕의 꿈에서는 공정환이 연기했다. 의자왕의 태자였으나 신라를 얕잡아보는 아버지에게 간언을 하다가 아버지의 눈 밖에 나서 태자 자리를 빼앗기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 드라마에서는 자기 욕심 채우기에나 바쁜 다른 형제들이나 자만심에 빠진 아버지 의자왕과는 달리 나당동맹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황산벌에서는 박수현이 연기하였다.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향하고 있다하자 패닉에빠지고 아버지 의자왕에게 소정방에게 뇌물을 주자고했다가 도리어 박치기 당하는(...) 코믹한 역할로 등장

  1. 자(字)도 이름과 같다.
  2. 《당회요(唐會要)》에 나온 이름
  3. 실제로 부흥운동을 탄압한 것이 융왕이었다. 그러나 그 상황에서 부흥운동을 이끈 사람은 다름아닌... 친동생 풍왕.
  4. 이 때 문무왕의 행동은 복수의 의미를 담은 것으로, "네 놈의 아비(=의자왕)때문에 대야성에서 내 누이(=대야성주 김품석의 아내 고타소)가 무참하게 죽었다. 오늘 너(=부여융)의 목숨은 나의 손에 달려 있다.라는 말을 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부여융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