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9901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시외버스 시절. 출처

1 노선 정보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9901번
기점인천광역시 남구 관교동(인천종합버스터미널)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4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6:00
막차23:00(공휴일)/23:30(평일, 토)막차00:30(공휴일)/01:00(평일, 토)
평일배차30~40분주말배차40분
운수사명삼화고속인가대수?대
노선인천종합버스터미널(5번 플랫폼) - 길병원 - 구월2동주민센터 - 모래내시장 - 만수동하이웨이주유소 - 건설기술교육원 - 만월중 - 영동고속도로 - 서창JC - 제2경인고속도로 - 안현JC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학의JC - 봉담과천고속화도로 - 양재시민의숲 - 양재역 - 강남역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2 개요

삼화고속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노선이다.

3 역사

  • 2007년 10월 10일에 시외직행버스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이 때는 '연수구청후문 - 신연수 - 선학역 - 인천터미널 - 구월동 - 만수동하이웨이주유소 - (고속도로 직행) - 사당역' 구간을 오가는 노선이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인천 구간은 이후 9902번 시외버스가 개통될 때 같은 구간으로 운행하게 된다.
  • 2007년 12월 13일에 '사당역 - 이수역 - 이수교차로 - 고속터미널' 구간이 연장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2008년 고유가 파동 때 저조한 수요와 비싼 유류비 문제 등으로 한때 운행중단까지 고려하는 일까지 있었으나 극심한 민원으로 운행중단 시행 바로 전에 취소가 된 적도 있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하지만 그 일을 겪고 난 이후에도 긴 배차시간으로 인해서 많은 수익을 벌어들이지 못하는 적자 노선으로 유지되었다.
  • 신반포로 버스중앙차로가 개통됨에 따라 2009년 6월 13일부터 버스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동작대로 버스중앙차로가 개통됨에 따라 2009년 11월 21일부터 버스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되었다. 삼화고속 공지사항
  • 2011년, 인천시에서는 국토해양부의 광역버스 진입 거리제한이 풀림에 따라 삼화고속의 경기 면허 시외직행 노선을 상반기까지 형간전환시킨다고 발표했다. 그에 따라서 기존까지 남아있던 삼화고속의 경기면허 직행버스(9800, 9801, 9802, 9902)이 순차적으로 형간전환이 되고 이 노선과 시외버스 9900번이 삼화고속에 남은 유이한 번호가 달린 시외버스로 남았다. 9502번은 인천시 구간이 없어서 형간전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 9900번과 9901번 통합이 논의되었을 당시 광역급행버스 M6410의 정류장 문제로 인해 9900번으로 통합, 에코메트로(한화지구)를 경유하는 방안이 나왔고, 이에 따라 9900번이 미경유하게 될 만수3지구 구간의 경우 9100번이 대신 투입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1]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인천터미널 - 신연수역 - 논현1지구 - 에코메트로 - 강남 노선이 거의 확실시 되는듯 했으나...
  • 5월 25일 삼화고속 공지사항에 게시된 통합 노선의 결과는 정 의외의 결과로 나온 것이었다. 만수3지구 구간이 남고 당초 논의되었던 한화지구 경유안은 결국 무산되었던 것. M6410번 정류장 삭제 문제로 불만감이 많았던 한화지구 주민들에게는 큰 실망감을 안기는 소식이었다.
  • 통합노선이 한화지구로 들어가지 않은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국토해양부에서 광역급행버스에 대한 정류장 제한을 각 지역 첫 정류장 기준 5km 내 정류장수 4개 제한 ▶7.5km 내 정류장 수 6개 제한으로 상향조정을 하면서 M6410번이 다시 한화 9단지로 들어갈 수 있는 여지가 생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M6410번이 미경유하면서 통합노선이 대신 투입하려 했던 계획이 틀어지면서 더 이상 한화지구를 경유할 이유가 없어지고, 그렇게 계획이 무산되었다. 한화지구-고잔요금소 직통노선을 바랐던 한화지구 주민들에게는 아쉬운 소식이 아니었을지...
  • 2011년 6월 1일에 형간전환이 발표되었다. 9900번이 9901번에 흡수되고 9901번의 인천터미널~만수동 구간과 9900번의 만수3지구 구간을 살리고 서울 구간은 9900번에 맞춰 '인천터미널 - 고속터미널' 노선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또한 이 때 기점이 인천터미널로 단축되면서 정류장이 터미널 내부로 이전되었다.
  • 하지만 9900번과 통합한 이후에도 여전히 승객 부족에 시달리던 와중에 2011년 삼화고속에서 파업을 한 이후 승객 부족을 이유로 인천시에 노선 폐선 신청을 냈었다가 취소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노선에 관심을 가졌던 인강여객이 이 노선을 인수하게 되었으나 인강여객에서는 이 노선을 '9100번 증차에 쓸 예정이다'라고 밝혔으며 결국 삼화고속 파업이 종료된 11월 17일에 인천광역시에서 정식적으로 공지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9201번 증차에 쓰였다.
  • 이후 한동안 인천터미널 출발 강남행 노선이 존재하지 않다가, 2014년 중순에 9500번이 터미널까지 연장되면서 9901번의 뒤를 잇게 되었다. 대신 인천 구간은 1400번 + 9500번으로 운행된다는 게 차이점. 10900번

4 특징

  • 광역버스로 전환된 인천-서울 간 시외직행버스 노선 중에서 가장 늦게 전환되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에 존재했던 철도역만 기재하였다.

  1. 실제로 인천시의 보도자료에서도 인천터미널에서 출발, 에코메트로 경유를 거의 기정사실화 했었고, 중간 경유지 문제를 놓고 조율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