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행정구역

< 북한

1 개요

북한은 자잘한 규모의 행정구역 수정이 꽤 많았다. 그래도 1992년 이후로는 현재의 행정구역이 거의 자리 잡았다.

2 북한 출범 전

파일:광복직후 북한 행정구역.jpg
1945년 당시 북한 지역[1]은 5도 13시 89군으로 나뉘어 있었다. 5도는 이북 5도를 말하며 13시는 가나다순으로 개성시[2], 나진시, 사리원시, 성진시, 송림시, 신의주시, 원산시, 진남포시, 청진시, 평양시, 함흥시, 해주시, 흥남시였다.

그러다가 그 놈이 오면서 행정구역에 꽤 자잘한 수정이 가해지는데...

3 북한 출범 후

47-1.JPG

우선 문화어가 자리잡으면서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기 시작했다.

3.1 특별시/ 직할시 / 도 범위의 변화[3]

일단 분단이 현실화되자 1946년 평양시를 특별시로, 38도선 이북의 강원도, 함경남도 원산시, 문천군, 안변군[4], 황해도 연천군 일부를 합하여 강원도를 신설했다.

3년 후 1949년 1월에 평안북도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위원군, 초산군, 희천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일부를 떼어서 자강도를 신설했다. 도의 명칭은 자성군강계시에서 한 글자씩 따왔다.

1951년 전쟁 중에 개성시개풍군을 합하여 중앙 정부 직속인 개성지구로 개편한 이후, 이를 3년 후에 개성시장단군, 장풍군, 개풍군으로 분할하여 개성직할시로 개칭했다.

1954년 10월에 함경남도 개마고원 일대의 혜산[5]운흥군 등 10군과 자강도의 후창군을 떼어서 양강도(량강도)를 신설했다. 도의 명칭은 양쪽(兩)에 강(江 : 압록강두만강)이 있다는 의미로 명명했다.[6]

또 같은 시기에 사리원시, 송림시 및 봉산군 외 13군 등의 황해도 북동 지역과 휴전 후 북한지역으로 편입된 개풍군, 장단군을 합하여 황해북도를 신설하고, 이와 동시에 나머지 황해도 지역은 황해남도가 되었다.

1958년 10월에 함흥시와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시켰다가, 1966년 7월에 다시 일반시로 격하시켰다. 그러다가 청진은 1977년 11월에 청진시에 무산군, 부령군, 경성군을 다시 편입시켜서 직할시로 승격시켰다가, 1985년 8월에 또 다시 일반시로 격하하였다.(...) 심지어는 직할시로 있었던 기간도 둘 다 7년 9개월로 똑같다.(...) 행정구역 가지고 장난치나?[7]

1980년 3월에 남포시대안시, 룡강군을 합쳐서 남포직할시를 만들었다.

1993년 9월에 함경북도 라진시와 선봉군을 합쳐서 라선직할시를 만들었다. 휘하에 라진구역과 선봉군을 두었다.

2001년 5월 북한이 라진-선봉 자유경제구역을 대차게 말아먹으면서(...) 라선직할시를 라선시로 격하하고, 라진구역과 선봉군을 폐지했다.

2002년 11월에 평양특별시를 직할시로, 남포직할시개성직할시를 특급시로 개편하여 각각 평안남도황해북도로 이관했다. 개성시 입장에서는 50년 만에 격하된 셈.

2005년 1월에 라선시가 라선특급시로 승격되었다.

2006년 9월에 라선특급시가 라선직할시로 변경되었다. 이 때 라진시와 선봉군이 다시 부활한 것으로 보인다.

2010년 라선직할시가 라선특별시, 남포특급시가 남포특별시로 승격되었다.

2010년 말에는 평양직할시 소속이었던 상원군, 중화군, 강남군 및 승호구역을 모두 황해북도에 이관했다. 이 때문에 현 평양직할시의 면적은 이관 직전의 57% 수준으로 떨어졌다...가 2011년 강남군이 다시 편입되었다. 아오 진짜...

3.2 시 / 군 범위의 행정구역상 변화

일단 웬만한 신설된 군은 1952년 12월에 단행된 행정구역 정리에서 우르르 쏟아져 나왔다고 보면 된다. 89군을 168군으로 대거 증설하는 과정에서 승격된 시도 많았다. 따라서 여기에는 그 혼란상(...)을 일일이 기재하지는 않으며, 그 이후의 변화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들은 군면리 대폐합강원도(북한) 문서 참고.

1960년 10월 평양시의 인구 증가에 따라 11구역을 18구역으로 증설하였다.

1964년 량강도 부전군이 함경남도에 편입되었다.

1965년 1월 평양시 내에 평성지구를 신설하여 평안남도의 도청 소재지로 두었다. 같은 시기에 양강도에 있던 부전군함경남도로 편입되었다.

1972년 11월 순안군[8]평양시에 편입하여 순안구역이라 하게 되었고, 동시에 평성구역을 평성시로 승격시켰다. 같은 시기 청진시의 남구역을 나누었다. 또 함흥시의 퇴조구역을 퇴조군으로 승격시켰다. 훗날의 락원군이 바로 여기인데, 退潮라는 지명이 "쇠퇴한다"는 뜻이라 그랬다고 한다(...) 퇴조가 낙원되면 살림이 펴지나

1974년 1월, 20년 전 생겼던 11개 군을 폐지하였다. 이 중 훗날 부활한 것은 은산군뿐이다.

  • 평안남도 은산군(→순천군)
  • 평안북도 청성군(→삭주군)
  • 함경남도 광천군(→단천군), 덕산군(→함흥시), 수동군(→고원군), 신상군(→정평군), 신창군(→신포시/북창군), 인흥군(→영흥군), 흥상군(→함주군)
  • 함경북도 유선군(→회령군)

1978년 8월 양강도삼지연군 일부와 함경북도연사군 일부를 떼어서 대홍단군을 신설했다.

1982년 9월 단천군이 시로 승격되었다.

1983년 4월 남포시대안시가 구역으로 격하되었고 평안남도순천이 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 7월 평안북도신도군[9]이 신설되었다.

1991년 7월 개천군, 회령군, 문천군이 각각 시로 승격되었다.

3.3 시 / 군 범위의 명칭상 변화

1977년 4월 영흥군이 금야군, 경원군이 새별군, 경흥군이 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1981년 8월 신파군이 김정숙군[10]으로, 함경북도 웅기군이 선봉군으로 개칭되었다. 동년 10월에는 명간군이 화성군[11]으로 개칭되었다.

1982년 9월 신설되었던 퇴조군이 락원군으로 개칭되었다.

1988년 8월 후창군이 김형직군[12]으로 개칭되었다.

1990년 8월 풍산군김형권군[13], 한 달 후 평천군이 봉천군으로 개칭되었다.

3.4 그 이하 범위의 변화

1952년 12월 행정구역을 변화시킬 때 종래의 읍과 면을 싸그리 폐지하고 군의 중심인 리를 그 군의 이름을 딴 읍으로 개칭하였다. 또한 400명 이상의 어촌, 광산, 공장 등이 있는 지역은 노동자구(북한에서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으니 로동자구라 한다)라 했다.

남한과 비교해 보면 이렇다.

남한 : 도 ─ 시/군 ─ 읍/면/동 ─ 리/통/반
북한 : 도 ─ 시/군 ─ 읍/동/리/노동자구

이것이 북한 건물의 소재지가 일부는 읍까지만 기록되어 있는 이유이다.

남한의 구(區)에 해당하는 개념은 구역(區域)이라 하여 평양(19), 남포(5), 청진(8), 함흥(6) 등에 있고, 개성에는 없다.

3.5 하위 항목

북한 광역행정구역
직할시평양직할시
특별시남포특별시라선특별시
특급시 특급시는 광역행정구역에 속하지 않는다. 나무위키에서는 편의상 같이 기재해 두는 것. 자세한 것은 개성특급시 문서에 언급되어 있다. 개성특급시
특별구신의주특별행정구금강산국제관광특별구
평안남도평안북도자강도
함경남도함경북도양강도
황해남도황해북도강원도
  1. 북한에서 해방 이후~한국 전쟁 당시에 월남한 노인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남한의 영남(경상도)-호남(전라도)의 관계는 애들 장난 수준으로 보일 정도로 관서(평안도)-관북(함경도)의 관계가 많이 좋지 못하다고 한다. 남쪽과는 반대로 북쪽은 서쪽인 평안도가 더 발전하고 인구도 많은 편이라서 대놓고 은근히 무시하는 편이라고. 한창 심할 때의 남한의 지역감정 수준과 비슷하다고 한다.
  2. 단, 당시 개성은 38도선 이남에 있어 남한 관할이었다.
  3. 남한에서는 한때 광역시직할시라고 불렀고, 수도인 서울을 특별시로 따로 두므로 생소할 수 있는데, 북한의 행정구역 체계는 특별시(나선(라선), 남포), 직할시(현재는 평양만) > 도 >>> (도 산하의) 특급시(개성)로 헷갈릴 수 있다. 처음에는 특별시 > 직할시로 확실하게 구별했지만, 평양은 당시에는 정식 수도가 아니었으므로 직할시로 두었던 것이 현재의 뒤집어진 행정체제의 원인이 되었다.
  4. 이상 1시 2군은 당시 함경남도 소속
  5. 뒤에서도 설명하겠지만, 1952년 12월에 군을 증설하면서 이 와중에 시로 승격된 도시들이 많았다. 혜산시도 이런 경우.
  6. 이 양강도(량강도) 신설은 자강도와 함께 남한과 동등한 지역수를 갖춰 통일협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세심한 뻘짓
  7. 청진직할시의 경우, 직할시가 존재했던 기간 동안 함경북도는 도역(道域)이 둘로 나뉘어 상호 월경지가 되었다.
  8. 순안국제공항이 있는 곳이다
  9. 현재 한반도 최서단.
  10. 이름에서 따 온 건데, 누구 이름이냐면 자기 아내 이름이다.
  11. 化城. 대한민국의 화성(華城)시와는 한자가 다르다.
  12. 김일성의 아버지
  13. 김일성의 숙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