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북도

북한 광역행정구역
직할시평양직할시
특별시남포특별시라선특별시
특급시 특급시는 광역행정구역에 속하지 않는다. 나무위키에서는 편의상 같이 기재해 두는 것. 자세한 것은 개성특급시 문서에 언급되어 있다. 개성특급시
특별구신의주특별행정구금강산국제관광특별구
평안남도평안북도자강도
함경남도함경북도양강도
황해남도황해북도강원도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파일:황해북도 지도.png

黃海北道 / Hwanghaebuk-do, North Hwanghae

1 개관

북한 남서부에 위치한 도로 원래 황해도였던 곳을 북한이 황해남도와 분리해놓은 것. 도청 소재지는 사리원시.

남쪽 및 서쪽으로 황해남도, 동쪽으로 강원도(북한), 북쪽으로 평양직할시평안남도와 맞닿아 있다.

북한은 그 정권의 특성상(...) 행정구역이 이리저리 바뀌기로 유명하다. 1991년 초판 발행된 <최신북한지도 부 중국주요지도부>에 따르면 해방 당시 11시 89군이던 것을 시 및 군 통합 170여 개로 대폭 늘렸고 시와 군의 경계선도 심하게 바뀌었다고. 오죽했으면 이 지도에서는 아예 해방 전과 당시의 군 경계선을 같이 나타낸다.(...) 현재는 절판.

북한에서 바꾼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는 부정하니, 통일 이후에는 전부 폐지하고 이북5도청에서 쓰는 분단 직전의 행정구역으로 돌아가거나, 제3의 행정구역 개편이 있을 듯하다.

도 북쪽으로 평양-원산간 고속도로가 지나며(그래서 이쪽에는 철길이 없다) 평부선황주군 - 사리원시 - 봉산군 - 서흥군 - 평산군 - 금천군 - 개성시 - 개풍군을 지나 장단군장단역에 이르고 있다. 황해청년선사리원청년역에서 분기하여 은파군을 지나며, 은파군에서는 은률선이 분기한다. 또 청년이천선평산군신계군을 통과한다.

2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표에서 적는 행정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안 쓴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황해도의 행정구역 변화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번호시 / 군면적번호시 / 군면적참고
황해도A송화군723황해남도A과일군324
B송화군193
H삼천군353[1]
황해도B장연군1,073황해남도C장연군396
D룡연군463
J태탄군341[2]
황해도C은률군467황해남도E은률군413[3]
황해도D안악군851황해남도F은천군454
G안악군386[4]
황해도E신천군792황해남도[5]
H삼천군354[6]
I신천군490 
황해도F벽성군1,564황해남도[7]
J태탄군342[8]
K벽성군449
L신원군479[9]
M해주시206[10]
N청단군489[11]
P강령군506[12]
황해도G옹진군1,062황해남도[13]
O옹진군639
황해도H재령군740황해남도Q재령군328
황해북도T은파군378[14]
황해도I황주군874황해북도R황주군517
U연탄군544[15]
송림시65[16]
황해도J봉산군842황해북도S봉산군436[17]
T은파군378[18]
황해도K서흥군914황해북도U연탄군544[19]
V서흥군566
W린산군503[20]
황해도L평산군1,353황해북도[21]
황해남도X봉천군493[22]
황해북도Y평산군545
황해도M연백군936황해남도N청단군489[23]
Z연안군479[24]
a배천군475[25]
황해도N수안군1,215황해북도U연탄군544[26]
b연산군547[27]
c수안군666
황해도O곡산군1,854황해북도d신평군1,075[28]
e곡산군521 
황해도P신계군820황해북도[29]
f신계군722
황해도Q금천군959황해남도X봉천군493[30]
황해북도h토산군422[31]
g금천군498 
경기도R개풍군744황해북도[32]
i개성시179[33]
j개풍군263
경기도S장단군724황해북도k장풍군542
경기도T연천군696

3 정리

원래 봉산군 사리원면이었으며, 군청이 이곳에 있었다. 1931년에 읍으로, 1950년에 시로 승격해 봉산군에서 나뉘엇다. 1954년에 황해북도청을 설치했다. 질 좋은 석회석이 많이 나고 경방산성·정방산성 등 여러 공원이 있어 은근히 관광도시로도 이름이 있다. 평부선과 황해청년선 철도가 사리원청년역에서 분기하며, 관내에 사리원청년역·동사리원역이 있다.
원래 황주군 송림면이었다가 1930년에 겸이포읍[34]으로 승격했고, 1947년에 송림시로 승격해 황주군에서 나뉘었다. 일제강점기 미쓰비시 제철에서 지은 겸이포 제철소는 지금도 송림 제철소라는 이름으로 잘 써먹는다.(?) 이 때문에 중공업 항만도시라는 타이틀이 있다고. 남한의 포항시와 비슷한 위치. 송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송림역과 이름모를 역이 있다. 특이한 지명으로는 새마을동·네길동·꽃핀동(...)·새살림(1~3)동이 있다. 송림 제철소 학살 사건이 난 곳이기도 하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곡산군은 곡산면·청계면·운중면·도화면·서촌면(일부), 신계군 촌면(일부)·동촌면(일부) 일대이다. 철도가 없는 대신 평양원산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금천군은 금천군 금천면·고동면·서북면·산외면·우봉면·웅덕면 일대이다. 평부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금천역·계정역이 있다.
1952년에 평산군 인산면·상월면·문무면·신암면 일대를 나눠 신설했고 철도는 없다. 멸악산맥의 그 멸악산이 이곳에 있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봉산군은 토성면·구연면·산수면·동선면·영천면·만천면·사인면·문정면(일부) 일대이다. 남동부에 서흥호가 있으며, 석회석 매장량이 많아 시멘트 공업이 발달했다. 북한에서 가장 큰 2·8시멘트 공장이 이곳에 있다. 평부선·황해청년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봉산역·청계역·흥수역·정방역이 있다. 전부 평부선상에 있으며 황해청년선은 송산리·지답리 일대를 그냥 지나가기만 한다. 봉산탈춤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서흥군은 신막읍,서흥면,매양면,용평면,내덕면,목감면,율리면 일대이다. 한서 기온차가 심하기 때문에 사과가 많이 난다. 평부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문무역·서흥역·신막역이 있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수안군은 수안면·대성면·천곡면·대오면(일부), 신계군 사진면(일부) 일대이다. 수안광산에서 금·은·구리·몰리브덴을 채굴한다. 철도는 없는 대신 평양원산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신계군은 신계면·다미면·다을면·마서면·고면·적여면·사지면(일부)·촌면(일부)이며 다른 시·군과는 달리 원래 영역을 가장 많이 유지한다. 청년이천선 철도가 지나가고 관내에 정봉역·신계역·침교역이 있다.
1952년에 곡산군 상도면·하도면·이령면·화촌면·멱미면 일대를 나눠 신설했다. 경지면적이 매우 좁아서 거의 밭농사에 기대고, 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철도가 없는 대신 평양원산고속도로가 지나간다.
1952년에 수안군 연암면·공포면·도소면·수구면·대오면(일부), 곡산군 서촌면(일부) 일대를 나눠 신설했다. 철도가 없는 대신 평양원산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폭군 연산군과는 무관하다.
1952년에 황주군 구락면·도치면·인교면(일부), 서흥군 세평면·도면·소사면, 수안군 율리면(일부)를 나눠 신설했다. 농업이 주 산업이며 철도는 없다. 연탄고인돌군이 이곳에 있으며, 탁자식 고인돌을 북한에서는 오덕형 고인돌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오덕리라는 지명은 1967년 10월에 신설했다가 1974년 5월에 성매리·장운리가 흡수해 사라졌다고... 탄광이 없어 연탄 생산은 못한다.
1952년에 봉산군 서종면·초와면·기천면·쌍산면·덕재면, 재령군 상성면(일부) 일대를 나눠 신설했다. 북한의 곡창지대라는 재령평야가 있어서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광업 또한 활발하다. 황해청년선과 은률선 철도가 은파역에서 분기한다. 관내에 은파역·묵천역·어사역(이상 황해청년선)·임동역(은률선)이 있다.
조선시대 토산현이라는 독립한 고을이었다. 1914년 금천군이 흡수해 사라졌다가 1952년에 금천군 토산면·외류면·서천면·합탄면·구이면·화면 일대를 나눠 부활시켰고, 철도는 없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평산군은 남천읍, 평산면, 금암면, 서봉면, 적암면, 안성면 일대이다. 대리석 광산이 이곳에 있다. 관광지로는 태백산성터와 평산온천이 있다. 평부선과 청년이천선 철도가 평산역에서 분기한다. 관내에 물개역·평산역·태백산성역·한포역(이상 평부선)·기탄역(청년이천선)이 있다.
해방 이전부터 있던 군. 지금의 황주군은 황주읍·주남면·청룡면·구성면·청수면·흑교면·삼전면·천주면·도치면(일부) 일대이다. 쌀농사를 가장 많이 짓지만 사과가 특산물이다. 평부선과 송림선 철도가 황주역에서 분기한다. 관내에 흑교역·간동역·황주역·침촌역(이상 평부선)·장천역(송림선)이 있다.

3.1 경기도에서 편입한 시·군

고려의 수도였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유명하던 도시. 1930년에 개성군 송도면과 주변지역이 개성부로 독립하였고, 1955년에 개성직할시가 출범하여 관내에 판문군,개풍군,장풍군을 두었다. 2003년에 황해북도 소속으로 바뀌면서 개성특급시가 출범하였다. 평부선 철도가 지나가고, 관내에 개성역·손하역·봉동역·장단역이 있다. 개성공업지구와 시가지를 빼면 여느 농촌이랑 다르지 않다. 예전부터 개성인삼이 유명했지만 정작 인삼농장은 개풍군과 장풍군에 많다고...
원래 개성군과 풍덕군이 따로 있었다가 1914년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개성군으로 통합했고, 1930년 개성군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하면서 잔여지역이 개풍군('개'성과 '풍'덕에서 따옴)으로 개칭했다. 1952년에 군의 동남부가 판문군으로 떨어져 나갔고, 1955년에 개성직할시에 편입했다가 2003년에 다시 황해북도로 넘어왔다. 지금의 개풍군은 해방전 개풍군의 토성면·대성면·광덕면·남면·서면·청교면(일부)이다. 전형적인 농촌. 평부선 철도가 지나간다.
1945년에 개풍군 영남면·영북면·북면, 장단군 장도면·대강면·강상면·소남면·대남면을 모아서 신설했다. 전형적인 산골 오지. 철도가 없어 교통이 많이 불편하다.

3.2 평양직할시에서 편입한 구역·군

2010년에 경제난이 심화하면서 북한당국이 평양 시민들에게 안겨주는 특혜를 도저히 못 감당하자 평양 동남부의 구역과 군을 떼어 황해북도에 넣은 듯하다. 주로 농업지대가 대부분이고 그나마 있는 공업지대도 소규모라 아무래도 특혜를 굳이 안줘도 되는 만만한 인민들이 살아 떼버렸나(...) 싶을 정도.

원래는 평안남도 소속이고 따라서 평양직할시에서 떨어지면 평안남도로 돌아가야겠지만, 그러면 평양에 가려서(...) 이들 군만 고립하니 황해북도로 편입한 듯하다. 졸지에 황해북도는 해방 전 평안남도경기도의 지역 일부씩을 얻어 재미있다. 고구려와 고려의 수도를 한몸에

황해북도 편입 뒤에도 유일한 구역으로 살아남은 듯하다. 여기 있는 만달리 유적은 구석기 시대의 동굴 유적으로, 만달사람으로 불리는 고생 인류의 화석이 나온 곳이다. 이 덕분에 선사시대나 고고학 공부를 하는 사람에게는 친숙한 동네.
협동농장과 소형 공업단지가 있다. 구석기인들이 남긴 검은모루동굴유적이 있다.
비가 정말 잘 안오는 곳으로 유명하며 동부 산지는 석회암지대다. 주로 농업지대가 대부분. 평부선이 지난다.

4 기타

한국영화 가운데 '겨울나비'라는 영화의 배경인데, 황해북도 지방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그 줄거리는...

진호라는 아이는 나무를 해다가 팔며, 병든 엄마와 함께 살며 닭고기와 개고기를 먹어본 적이 1번도 없다고 한다.

다음 날 아침 진호친구 성일이는 남의 집에 들어가서 밥이나 꾸역꾸역 처먹고 갔다.개XX 이번엔 진호 집에 들어가서 밥을 달라고 한다.

진호는 밥을 얻어먹는 성일이를 얄미워하고, 진호 엄마는 그 애한테 밥을 나눠주었다. 이제부터 밥을 안 얻어먹으리라 약속을 하고.

엄마는 나무를 팔러나갔지만 나무를 사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한편 그 시각 진호는 우연히 숲에서 버섯을 발견하였으며, 그건 엄마가 먹질 않고 진호한테 주었다.

그러나 엄마는 행주를 빤 물로 허기를 채웠으며, 흙을 음식으로 착각하고 결혼식 앨범에 있는 음식을 진짜 음식이라고 착각하여 웃으면서 사진을 먹는다...

자다 일어나니 개 1마리가 있었는데, 그 개를 먹어버렸다. 알고 보니 그 개는 그의 아들 진호였다.ㅎㄷㄷㄷㄷ

또 밥을 먹으러 간 성일이는 그걸 보고 신고하였다. 그녀는 "남의 개를 잡아먹어 죄송합니다, 단 진호가 오면 먹을 수 있게 국물이라도 조금만 남겨달라"고 애원했다.

  1. 남부 2개의 면만 이동
  2. 동부 2개의 면만 이동
  3. 일부 면적이 송화군 소속으로 넘어가 면적이 줄어듦.
  4. 동남부 4개의 면만 이동
  5. 북부 3개의 면이 이동
  6. 서부 3개의 면이 이동
  7. 북부 1개의 면만 이동
  8. 서부 2개의 면만 이동
  9. 동부 5개의 면이 이동
  10. 중부 1개의 면과 2개 면 일부가 이동. 구 면적은 불과 14.52㎢였다. 좌측 지도의 F 안의 조그만 동그라미가 해주시.
  11. 동부 5개의 면과 2개 면 일부가 이동
  12. 남부 3개의 면이 이동
  13. 동부 4개의 면이 이동
  14. 동부 1개의 면만 이동
  15. 동부 3개의 면이 이동
  16. 겸이포읍이 승격함. 지도에서 R로 표시한 부분 안쪽의 표시없는 곳.
  17. 양쪽 지도의 봉산군 구역 내에 있는 조그만 도시가 사리원시이다. 현재 면적 188㎢.
  18. 남부 5개의 면이 이동
  19. 북부 3개의 면이 이동
  20. 서남부 1개의 면만 이동
  21. 북서부 4개의 면이 이동
  22. 남부 5개의 면이 이동
  23. 북서부 2개의 면과 1개 면 일부가 이동
  24. 중부 8개의 면이 이동
  25. 동부 9개의 면이 이동
  26. 서부 1개의 면만 이동
  27. 북부 5개의 면이 이동
  28. 북부 5개의 면이 이동
  29. 동북부 1개의 면만 이동
  30. 서부 2개의 면이 이동
  31. 동부 6개의 면이 이동
  32. 북부 1개의 면만 이동
  33. 중부 1개, 남부 1개의 면이 이동
  34. 항만 건설을 지휘한 공병 장교인 와타나베 겐지(渡辺兼二)의 이름을 따서 '겸이포(兼二浦)'라고 지었다니 이뭐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