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선 | |||||
지축 방면 마 두 | ← 0.9 km | 정발산 | → 1.6 km | 대화 방면 주 엽 | |
수도권 전철 | |||||
3호선 | |||||
대화 방면 주 엽 | ← 1.6 km | 정발산 (311) | → 0.9 km | 오금 방면 마 두 |
정발산역 고양아람누리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Jeongbalsan |
한자 | 鼎鉢山 |
중국어 | 鼎钵山 |
일본어 | チョンバルサン |
역번 | |
수도권 전철 3호선 | 311 |
300px 수도권 전철 3호선 승강장[1]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70 (舊 마두1동 1123) | |
수도권 전철 | |
운영기관 |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
3호선 개업일 | 1996년 1월 30일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서울본부 |
일산선 개업일 | 1996년 1월 30일 |
역등급 | 무배치간이역(대화역 관리) |
鼎鉢山驛 / Jeongbalsan Station
1 개요
일산선 311번.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70(舊 마두1동 1123번지)에 위치해 있다. 역명은 인근 야산인 정발산에서 따왔으며 역명과는 다르게 정발산동이 아닌 마두동(3,4번 출구)과 장항동(1,2번출구)사이에 있다.
2 역 정보
일산선 계획 및 공사 당시 역명은 시청역[2]이었다. 현재의 일산동구청이 원래 일산신도시 개발이 완료되면 '일산시'로 분리되어 시청 역할을 하기로 한 건물이었기 때문이었다. 1994년 역명 확정 당시 마두역으로 확정되고 현 마두역은 낙민역이 되었다가, 주민들이 행정구역 명칭과 맞지 않는다고 반발하여 결국 지금의 정발산역이 되었다. [3]
주엽역 이용인구가 줄어드는 만큼 이 역의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6년 7월 현재 삼송역과 같이 스크린도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명의 모델이 된 정발산은 한때 공포의 쿵쿵따라는 프로그램에 자주 나온 단어였었기에 정발산이라는 이름만은 많이 알려졌다. 당시 이휘재가 자주 썼던 단어 중 하나였는데 이 일대에 자신의 친구가 운영하던 가게에 자주 놀러가서 그랬다나. 어쨌든 정발산-산기슭이라는 마의 콤보가 있었지만 이후에는 옛말인 슭곰발이라는 대책이 나왔었으나, 슭곰발-발냄새-새벽녘 콤보로 재개발된다.
이 역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인접한 주엽역, 마두역과 비교해보면 버스와의 환승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기존에 지하철역과 연계되어 있던 버스정류장이 버스중앙차로가 설치되면서 일산동구청 사거리로 옮겨가 버려 거의 반 블럭은 걸어가야 갈아탈 수 있다. 1번(서)/4번(대)이 일산동구청 방면, 2번(서)/3번(대)이 일산경찰서방면이다.
- 1번 - 일산문화공원 / 웨스턴돔 방면
중간쯤에 보이는 크고 아름다운 교회 하나가 웨스턴돔(쇼핑단지)으로 가는 실질적인 표지판이다. MBC 드림센터는 웨스턴돔 옆 호수공원 방면에 있다.
- 2번 - 일산문화공원 / 롯데백화점 (지하도로 연결됨) 방면
여기서 길 건너지 말고 따라서 쭉 내려가면 육교가 있는데 그걸 건너면 일산호수공원이 있다. 나오자마자 보이는 길을 건너면 롯데백화점이 있고, 그 뒤로 일산우체국, 고양세무서가 있다. 더 들어가면 일산소방서가 나온다. 공원광장에서 호수공원으로 가는 길 도중에 홈플러스가 보이는데 그 앞쪽 맥도날드로 길을 건너면 뒤쪽으로 주엽역상권을 대체하는 라페스타(쇼핑단지)가 있다. 그리고 알라딘 중고서점 일산점도 있다.
아람누리도서관을 지나 고양교육청과 일산경찰서가 있다. 육교쪽으로 올라가되 건너지 말고 옆으로 새면 정발산공원이다.
- 4번 - 일산동구청 방면
이 길 따라 열심히 걸어가면 뉴코아아울렛이 나온다. 그런데 거긴 마두역에서 가는게 더 가깝다.
4 승강장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긴 하지만, 두개의 출구 중 오금방면 앞쪽만 횡단이 가능하다.
주엽 ↑ | |||||||
하 | ㅣ | ㅣ | 상 | ||||
↓ 마두 |
상 | 수도권 전철 3호선 | 주엽·대화 방면 |
하 | 수도권 전철 3호선 | 화정·구파발·고속터미널·오금 방면 |
5 사건‧사고
2006년에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됐던 적이 있다.[5] 일본 뉴스에까지 나왔다.[6]
6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3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5,182명 | 6,497명 | 6,934명 | 8,206명 | 7,524명 | 7,751명 | 7,729명 | 7,756명 | 8,279명 | 8,232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8,326명 | 8,655명 | 8,994명 | 9,293명 | 9,555명 | 9,475명 |
- ↑ LCD 교체 전이며, 현재는 스크린도어 설치를 위해 지붕 위를 뜯었다.
- ↑ 시청역은 이미 있었으므로 계획이 시청역이였어도 일산시청역이 됬을 것이다.
- ↑ 「"일산선 역이름 바꿔야 「마두」 「낙민」 행정구역과 불일치"」, 1994-10-11, 매일경제
- ↑ 이 역의 부역명이기도 하다.
- ↑ 「정발산역 침수, '허술한 물막이 공사' 때문」, 2006-07-13, SBS
- ↑ 「韓国ソウル地下鉄水没」, 2006-07-12, Youtube, 정확한 방송사 및 보도날짜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