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3호선 | |||||
대화 방면 지 축 | ← 1.5 km | 구파발 (320) | → 2.0 km | 오금 방면 연신내 | |
지축차량기지선 | |||||
지축기지 방면 지축차량기지 | ← 1.5 km | 구파발 |
구파발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Gupabal |
한자 | 舊把撥 |
중국어 | 旧把拨 |
일본어 | クパバル |
역번 | |
서울 지하철 3호선 | 320 |
300px 서울 지하철 3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지하 15-25 (舊 진관동 67-26)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 />?width=100 |
3호선 개업일 | 1985년 7월 12일 |
舊把撥驛 / Gupabal Station
1 개요
서울 지하철 3호선 320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지하 15-25(舊 진관동 67-26번지) 소재. 원래 통일로 아래에 있었으나, 은평뉴타운 개발로 인해 통일로가 서쪽으로 이설되면서 도로명주소가 바뀌었다. 섬식 승강장 채택중.
2 역 정보
역명은 이 역 길목에 있던 파발에서 유래.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 최초 개통 당시(구파발~양재)의 기점이자 시종착역이었으며, 이후 1990년 지축역이 연장 개통되면서 기점의 지위는 지축역으로 넘어갔다. 시종착역으로서는 여전히 수도권 전철 3호선 일부 열차의 시종착역이다. 일부 열차는 구파발에서 운행을 마치고 지축차량사업소로 입고하거나 회차하여 오금역으로 되돌아간다. 지축역 방면으로 가다 보면 회차 선로 및 차량기지 입고선을 볼 수 있으며, 지축역에서 내려오다 보면 중간에 유치선 비스무리한 대기선이 하나 있어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대기 중인 3호선 열차도 볼 수 있다.한마디로 구파발역에서 사람이 많을때 약간의 운으로 빈차를 탈수 있다는것이다[1] 그래서 한때 토요일 낮에 음중[2]가는 아이돌 팬들이 구파발행 열차가 먼저 오거나 구파발행 열차를 잘못 타면 그렇게 빡쳐했다고.[3] 은평뉴타운의 대중교통을 책임지는역이다. 주변시설로는 환승주차장(유료)가 있다.
이전에는 주로 북한산 관광객들과 진관내동(現 진관동) 주민들이 주로 이 역을 이용했다. 1번 국도를 따라 박석고개를 넘어가면 바로 연신내역이 나타나는데, 이 연신내역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시설과 연계가 잘 되어 있어 은평구 북부의 승객 수요 거의 전부를 흡수한다. 구파발역은 舊 진관외동과의 대중교통 연계가 잘 안 됐었을 뿐만 아니라, 연신내역의 강력한 시장권에 눌려 승하차 수요가 제대로 안 나왔었다. 당시 거주했던 원주민의 기억에 의하면, 은평뉴타운 개발 이전의 '기자촌'지역(진관외동 중심부)에서 연신내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는 720번, 7211번, 7720번, 571번, 7722번(당시 박석고개 경유)가 있었으나, 구파발역으로 가는 버스는 현 7723번의 전신인 마을버스 1대 뿐이었으며, 이마저도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았다. 주민들은 구파발역과 인접한 주민들이 아니면 연신내역을 이용하는게 자연스러웠으며, 구파발역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도보 또는 택시를 이용했다. 하지만 출근시간대는 오금방향쪽은 앞의 서술이 안 먹힌다. 교통이 편리한 연신내도 출근시간대 구파발역 출고열차 앞에서는 장사 없게 되었다.
2.1 승강장
지축 ↑ | |||
ㅣ | 하 | 상 | ㅣ |
↓ 연신내 |
상 | 수도권 전철 3호선 | 지축·마두·주엽·대화 방면 |
하 | 수도권 전철 3호선 | 불광·종로3가·교대·오금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은평뉴타운 개발 전에는 1~3층 단위의 저층 건물들이 많았고, 동네가 전체적으로 낡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은평뉴타운 개발당시 은평뉴타운을 환경친화적-대중교통친화적으로 설계한다는 방침에 따라 구파발역을 모든 은평뉴타운 구역의 대중교통 중심지가 되도록 설계, 기존의 도로를 바꾸는 등의 작업을 하여 은평뉴타운 건물에 사람들이 모두 입주하게 될 경우, 많은 승하차인원이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큰 폭의 변화는 없었다.
가장 큰 이유는 구파발역의 핵심수요 중 하나인 파주 등 경기 북부지역 주민이 구파발역을 이용하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은평뉴타운을 개발하면서 통일로 구간이 서쪽으로 이설된 결과 기존 통일로에 있었던 구파발역은 도로와 버스정류장에서 무려 500m나 떨어지게 되어 안습하게 된 것인데, 물론 환승주차장이 있으니 아주 나쁜 것은 아니지만 버스를 이용한 3호선 환승은 불편하게 되어 연신내역이나 불광역으로 사람이 몰린다. 하지만 출근시간대는 제외이며, 구파발에서 출발하는 빈 열차에 탑승(정확히는 착석)하기 위해 일산선에서 출발한 열차승객 중 일부 하차+연신내에서 역으로 구파발로 오는 승객+은평 뉴타운 자체 승객이 뒤엉켜 상당히 혼잡하다. 게다가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마저 입석으로 채우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이 때는 연신내역에서 오금방향으로 승차시에는 좌석 보장은 매우 높은확률로 |포기해야 한다.
즉, 경기 북부 주민들이 버스를 이용해 구파발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것이 불편해진 만큼 차라리 연신내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더 유리하게 된 것이다. 통일로변 버스정류장에서 5분 이상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이 불편은 구파발역 중심상업지구가 개발되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실은 5년이 넘도록 착공도 되지 않은 상태라고 오랫동안 적혀 있었다. 롯데가 2016년을 목표로 이 곳에 롯데몰을 짓고 있다. 앞서 서술한 출퇴근 시간대에 이 역에서 승차할 것이라면 대화방향 한정.
여기에 더해 은평뉴타운 지구 특성상 구파발역보다 연신내역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도 승차량 감소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은평뉴타운에서 연신내역이 인접한데다 연신내로 향하는 버스교통편이 잘 되어 있는데, 통일로의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간선버스들 + 서울 버스 7211이나 서울 버스 571, 서울 버스 701 등 은평뉴타운 내에서 연신초등학교/은평경찰서를 경유해 연신내역으로 직행하는 노선도 많다. 이런 상황때문에 6호선을 이용하려면 굳이 구파발에서 3호선을 타고 환승하지 않고 바로 연신내역으로 이동하는게 더 효율적이기도 하고, 연서로에 인접한 몇몇 단지들은 바로 연신내로 이동하는 것이 구파발로 가는 것보다 더 빠른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줄어든 교통수요가 은평뉴타운 개발에 따른 자체 수요 상승으로 벌충되면서 일평균 승차량 기준 이용수요는 2000년대 초반에 기록했던 16,000명대를 뛰어넘었다. 은평뉴타운 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여전히 구파발역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은평뉴타운에서 구파발역을 연결하는 서울 버스 7723의 운행 간격이 줄어들었는데다, 서울 버스 704나 서울 버스 7211, 서울 버스 720 등 지구 내에서 구파발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노선도 많이 있다.
은평 롯데몰이 완공되면 지하를 통해 구파발역과 구파발역 환승센터와 직결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구파발역 서측의 대형 블록 전체가 전부 롯데몰 공사구역이다.
파일:QTrZ9Sm.jpg
서울특별시청에서 구파발역 역세권 재개발 사업 조감도를 내놓았는데, 알파로스 사업이 무산되기도 했고 이 대로 진행될 지는 알 수 없다.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3호선[4]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6,033명 | 16,030명 | 15,592명 | 14,803명 | 14,633명 | 13,530명 | 12,168명 | 10,629명 | 10,976명 | 11,446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2,894명 | 15,551명 | 16,301명 | 17,001명 | 17,646명 | 17,598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