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마시는 새의 용어.
"또 왕이야? 이 땅엔 참새보다 왕이 더 많은 것 같군."
실제로 세계관 내에 있는 병이 아니라, 자신이 왕의 그릇이라 여기며 아라짓 왕국의 부활이라는 헛된 꿈을 꾸는 자들을 비아냥거리며 하는 말이다. 인간들 사이에서만 있다.[1] 레콘은 그런 것에는 관심이 없고 도깨비는 어울리지 않으며 나가는 왕이란 개념이 없었다.[2] 그 끝은 심히 좋지 않다. 본래는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의 삶도 다 버리고 자신을 무슨무슨왕이라고 하며 그 주변이 추종자로 가득찬다. 파계승이라든가 미친 학자같은 좀 머리 돌아가는 자들이 붙으면 기세가 더욱 오른다. 하지만 진짜 위험한 제왕병자는 제대로된 재력과 병력이 있는 제왕병자. 지그림 자보로와 빌파 3부자가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하는 일은 실제로는 민폐 그 자체. 제왕병자 무리 때문에 륜 페이가 죽을 뻔했다. 지그림 자보로는 구출대 일행들을 모조리 묶어 아스화리탈을 강탈하려 했고 빌파 3부자는 바라기를 뺏으려고 달려들어 케이건 드라카를 거의 죽일 뻔했다. 제때에 사모 페이가 눈뜨지 않았다면 확실히 죽었을 것이다.
라수 규리하는 모든 인간은 제왕병자로 오해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며 아예 오해받을 여지가 없는 나가 사모 페이를 왕으로 지지했다. 워낙 많다보니 사모 페이가 지그림 자보로를 보고 한 말이 심히 공감될 수밖에 없다.
작중 가장 유명한 제왕병자는 주퀘도 사르마크. 재력과 실력과 인망을 모조리 갖춘 제왕병자로 그에게 바라기가 있었다면[3] 왕이 되는 것이 더욱 쉬웠을 것이라는 생각을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다. 그에 대한 세간의 의견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문장은 '왕이 되지 못한 것은 오로지 키탈저 사냥꾼의 저주 때문이었다고 할 정도로.'라고 한 케이건의 대사.
하지만 대체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는 공통점이 있는데, 왕이 되면 뭐든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 저 주퀘도 사르마크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시구리아트 유료 도로당을 공격하다가...망했어요 보통의 인식과는 반대로 레콘에게 하대를 하다가 엉망이 되는 멍청이도 있었다.
변경백을 자처하고 있는 규리하령 영지에서는 이런 제왕병자들을 발견하면 반역자로 간주하여 즉시 참형에 처한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지러쿼터 산맥을 넘지 않는, 규리하령 내에 그친 일. 대륙 전역에서 벌떼처럼 일어나는 제왕병자들은...
이 사실을 알게된 티나한 왈. 후들겨 패서 제 정신으로 돌리는 것이 그들을 도와주는 일이다.
실제로 대부분 제왕병자들은 생업도 포기하고 떠돌이 생활을 하며 가산을 탕진하기 때문에 말년에는 보나마나 추종자 무리에게 버림을 받거나 배신당해 가진 것을 모두 빼앗겨 비참하게 죽을 것이 뻔하다. 티나한 말대로 그나마 아직 돌이킬 여지가 있을 때 정신 차리게 해주는 것이 제왕병자들에게도 나은 일이기에 티나한은 제왕병자라 불리우는 자들을 있는 족족 쓰러뜨렸다. 현실에서는 대왕병이 있으며 모티브로 보인다.
작중 등장한 제왕병자들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특출난 능력 하나 믿고 설치는 중2병 환자들이지만 간혹 실력,재력,무력를 모두 갖추고 왕의 버금가는 세력을 지닌 이도 있다.
- 주퀘도 사르마크 - 왕에 가장 가까웠던자.
- 토디 시노크 - '무적왕'. 자칭 영웅왕의 49대손(...)[4] 그 아버지는 '정의왕'.
- 현명왕 - 자칭 영웅왕의 55대손. 대사 하나 없이 왕 잡아 먹는 괴물한테 개털렸다.
- 철권왕
편수왕- 맨손으로 바위를 부수는 용력을 갖췄다며, 티나한의 부리를 향해 주먹을 휘둘렀다. - 지그림 자보로 -
담장왕위엄왕. 사실 영주급의 상당한 세력을 부모로 물려받았지만 제왕병에 걸려 각종 찌질한 짓으로 인해..... - 빌파삼부자 : 조금 특이한 형태. 코네도는 제왕병자이긴 했지만 자기가 아닌 자기 아들 대에서 왕이 나오길 바란 케이스. 그래서 둘째 아들을 하인샤에 보내, 유력가들과의 친분을 쌓아두게 만들었다. 첫째 아들이 왕이 되고, 머리가 좀 깨인 둘째를 측근 참모로 만들 생각이었던 것.[5] 제왕병자라기 보단 미래를 생각하는 야심가로 보는게 더 적절하다.
- ↑ 실제 인간의 역사로 치면 대왕병이라는게 있다.
- ↑ 2차 대확장 전쟁 이후로는 대수호자라는 개념이 생겼다. 이쪽은 제정분립이 되지 않은 초기적인 형태의 통치자.
- ↑ 즉 아라짓 전사 임명권이 있었다면
- ↑ 영웅왕은 레콘이다.
- ↑ 이후 원시제-치천제의 나가 황제 대가 이어질 때 발케네 공작 그룸 빌파는 "북부의 권위는 북부로 돌아와야 한다" 라는 말을 하여 이 제왕병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산다. 물론 이 말은 사모 페이가 대호왕으로 즉위하면서 남긴 조건중 하나인 "전쟁이 끝나면 북부에 왕위를 돌려준다"를 뜻하는 것. 천일전쟁에 의한 필요성, 또한 스스로의 사기적인 천재성 때문에 원시제의 즉위는 어쩔수가 없었다. 물론 그 아들인 락토 빌파는 분리주의자지 제왕병자가 아니다.
스카리는 좀 가능성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