젬 드래곤

젬 드래곤(Gem Dragon)은 TRPG 시스템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 나오는 드래곤의 종족 분류다. 한국에선 보석 드래곤, 보석룡이라는 번역 표기를 쓰기도 한다. 별명은 사이오닉 드래곤(Psionic Dragon).

88268_620_36.jpg
아메시스트 드래곤

1 설명

사파이어보석 같은 빛깔의 비늘을 가진 중립적인 성향드래곤 종족. 루비 드래곤 사르디오르(Sardior)를 으로 섬기며 독특하게도 마법 대신 초능력(사이오닉)을 사용한다. 다른 드래곤 종족들이 나이에 따라 비전 마법 사용 능력을 얻듯이 이들 젬 드래곤은 나이를 먹으면서 초능력 사용 레벨이 상승한다.[1]

선한 메탈릭 드래곤, 그리고 사악한 크로매틱 드래곤과 함께 3대 트루 드래곤 종족이지만 앞의 둘에 비하면 비교적 지명도는 적은 편. 그 이유는 초능력이 기본 규칙책에 포함되는 능력이 아니고 추가 규칙책에 나오는 파워 소스인 까닭에 젬 드래곤도 덩달아 기본 규칙책에는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2 용어적 역사

지명도는 낮지만 사실 젬 드래곤도 꽤 역사가 오래되었다. 1980년에 나온 드래곤 매거진 37호에 이미 모습을 드러냈고, 정식으로 규칙책에 수록된 것은 AD&D 2판의 《Monstrous Compendium Fiend Folio Appendix》(1992년)이다.

다만 D&D에서 초능력이란 게 워낙 말이 많은 파워 소스라 설정도 여러 번 일신되었는데, 때문에 젬 드래곤의 위치도 여러모로 오락가락했다. D&D 3판에서는 《Monster Manual II》에서나 간신히 등장했고, D&D 4판에선 아예 삭제.

D&D 클래식에도 보석 드래곤이 나오긴 하지만 이들은 젬 드래곤과는 아예 다른 종족이다. 이 당시에는 초능력 설정도 없었고 따라서 젬 드래곤도 없었다. 젬 드래곤이 추가된 이후인 AD&D 2판 이후에 이쪽의 보석 드래곤들은 미스타라의 고유한 드래곤 종족으로 설정 변경되었다.

3 능력

메탈릭 드래곤과 크로매틱 드래곤에 비하면 덩치가 작다. 그래도 드래곤이니 만큼 기본 몸집은 있지만, 레드 드래곤골드 드래곤하고 동급인 아메시스트 드래곤은 저 둘보다 소형이다. 따라서 육박전 능력도 좀 떨어진다.

그런데 초능력 때문에 한때 '최강의 드래곤족'이라는 말까지 들었다. AD&D 2판에서 초능력은 밸런스 파괴의 주범이었고 PC가 쓰면 애매해도 드래곤이 쓰면 이게 워낙 무지막지했던 것이다.

D&D 3판에서는 좀 특이하게도 명목상의 최강인 아메시스트 드래곤 말고 젬 드래곤의 중급 정도인 사파이어 드래곤이 최강 취급을 받았다. 왜냐하면 3판의 초능력은 계열별로 대응되는 능력치가 달랐는데, 사파이어 드래곤이 특기로 삼는 시공계(Psychoportation)는 민첩성이 기준 능력치였던 것이다. 그래서 사파이어 드래곤은 드래곤답지 않게 민첩성이 무시무시하게 높았다![2] 게다가 시공계 초능력들은 무지막지한 파워들이 포진해 있어서 시너지 효과는 더더욱 컸다.

하지만 D&D 3.5판으로 넘어오면서 Monster Manual II가 업데이트되지 않아 능력치의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초능력 계열 규칙서인 Expanded Psionics Handbook(XPH)이 새로 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젬 드래곤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고, 드래곤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규칙서인 드라코노미콘에서도 부록에 MM2를 참고하라고 적혀있을 뿐이다. 결국 초능력 계열 유저들이 XPH를 꺼내서 자작 컨버젼을 해줘야 했다. 그나마 MM2에서 규정된 대로 시전자 직업이 크로매틱 드래곤의 소서러보다 범용성이 훨씬 좋은 사이언인 게 위안.[3]

4 젬 드래곤의 종류

  • 아메시스트 드래곤 - 염동력(Psychokinesis) 특화.
    • 브레스 : 선형의 역장
    • 거주 지역 : 이너 플레인, 지하
    • 성향 : 참 중립(Always neutral)
    • 젬 드래곤들 중 가장 강력하며 명예롭고 고결한 존재. 북부 섬지역의 고립된 호수, 웅덩이의 연안에 거주한다. 태어날 때 이들은 라벤더색의 피부에 아름다운 반투명의 보라색 비늘을 가지고 있다. 비늘은 이들이 나이를 먹으면서 점점 더 어두워지며 결국에는 번쩍거리는 라벤더색이 된다. 이들은 무심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선과 악, 질서와 혼돈의 갈등을 무시한다. 이런 갈등들을 기껏해야 중요하지 않은 일로 옥신각신 하는 정도로 여기며 그들의 시간이나 관심을 쓸 가치가 없다고 여긴다. 이 위대한 드래곤들은 스스로를 젬 드래곤들의 지도자로 생각며 다른 약한 젬 드래곤들도 일상 생활에서나 의회(Council Aerie)에서 모두 이런 생각을 묵인한다. 아메시스트 드래곤들은 비록 실버 드래곤과 카퍼 드래곤을 멍청하다고 여기고 레드 드래곤과 화이트 드래곤을 싫어하기는 하지만, 어떠한 살아있는 존재도 잠재적인 적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들은 거주지 문제 또한 전투보다는 토론이나 협상을 통해 해결하기를 선호하지만 꼭 그래야 한다면 기꺼이 싸울 것이다. 그들의 고귀하고 명예로운 성향 때문에 그들은 절대 숨거나 기습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는 후퇴조차 명예롭지 않은 행동이지만 죽음에 직면했다는 판단이 들때는 도망을 친다. 아메시스트 드래곤은 많은 양의 생선과 보석을 먹는다. 그들은 자신의 필요를 위해 부하를 두기는 하지만 다른 드래곤들만큼 많은 요구와 제약을 두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대부분은 은둔을 위해 물 밑에 최소한 하나의 숨겨진 동굴을 차지해 놓을 것이다. 아메시스트 드래곤들은 매우 이성적인 태도로 짝짓기를 하며 최고의 자손을 생산하기 위해 이상적인 파트너를 찾을 것이다. 사랑이나 즐거움이 이러한 상황에 개입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 크리스탈 드래곤 - 텔레파시(Telepathy) 특화.
    • 브레스 : 선형의 눈멀게 하는 빛
    • 거주 지역 : 이너 플레인, 온화하거나 한랭한 산
    • 성향 : 언제나 혼돈 중립(Always chaotic neutral)
    • 크리스탈 드래곤은 친근한 편이며 그들 주위를 둘러싼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보낸다. 그들은 그 어떤 것보다도 우정을 더욱 중요시하며 보물들 또한 금전적으로 값지기 보다는 정서적으로 가치있는 것들이 많고, 그들은 좋은 의도를 가진 방문객들을 언제나 환영할 것이다. 해츨링은 광이 나는 흰 비늘을 가지고 있으며 나이를 먹음에 따라 점점 반투명으로 변해 간다. 그들이 성체가 되었을 무렵에 비늘들은 달빛 아래에서는 빛을 낸다. 낮의 자연광 아래에서 그들은 휘황찬란하게 빛이 나며 거의 쳐다보기가 힘들 정도이다. 재미있는 것을 사랑하고 장난기 넘치는 성향 때문에 크리스탈 드래곤은 무책임한 지배자가 되고는 하며 그들의 영역을 관리하는 일을 자신의 부하들에게 맡겨놓는다. 그들은 자신의 춥고 탁 트여있는 북쪽 지역에 자신의 영역을 만들며 눈과 얼음으로 성을 만든다. 이러한 성들은 하늘 향해 열려 있도록 만들어지는데, 크리스탈 드래곤들은 춥고 맑은 밤에 밤하늘의 별을 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화이트 드래곤 무리들은 크리스탈 드래곤을 사냥감으로 여기기 때문에 두 종족의 만남은 거의 언제나 싸움을 일으킨다. 또한 빙해(Ice sea) 너머에 살면서 종종 남쪽으로 건너와 비교적 작고 약한 젬 드래곤들을 노예로 만들곤 하는 거인 부족도 좋아하지 않는다. 다른 자애로운 드래곤들처럼 크리스탈 드래곤은 싸우는 것보다 말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이들은 특별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도 극도로 매력적이며 타인의 관심을 쉽게 사로잡을 수 있다. 그들은 보석이나 광물을 먹으며, 원할 때는 언제든지 파트너와 짝짓기를 한다. 또한 크리스탈 드래곤은 화이트 드래곤 해츨링을 입양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에메랄드 드래곤 - 예견(Clairsentience) 특화.
    • 브레스 : 강력한 바람 폭발
    • 거주 지역 : 이너 플레인, 지하(비활동성 화산이나 사화산을 선호)
    • 성향 : 언제나 질서 중립(Always lawful neutral)
    • 에메랄드 드래곤은 이오의 피의 열도(Io's Blood chain)의 남쪽에 있는 열대 섬에 거주한다. 그들은 호기심이 많으며 역사, 구전 지식이나 관습을 파악하기를 좋아한다. 그들은 은둔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며 다른 이들이 자신의 보물이나 영역을 탐내지 않을까하는 의심이 강하다. 해츨링들은 반투명한 초록 비늘을 가지고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점점 단단해지고 음영이 진해진다. 이 비늘들은 낮에는 빛이나며 에메랄드 드래곤을 계속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해서 실제 에메랄드 드래곤에게 은신을 제공한다. 남쪽 섬에서 에메랄드 드래곤들은 사화산 근처에서 열대 섬에 미치는 범위에 그들의 영역을 건설한다. 오직 그들의 가장 신뢰받는 부하들만이 그들의 레어에 있으면서 그들을 보좌할 수 있도록 허락되며 나머지들은 레어 밖 영역의 일들을 처리한다. 레어는 함정과 경보 장치로 가득차 있으며 드래곤에게 방문자들이나 다른 위협을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에메랄드 드래곤은 조용하게 침입자들을 지켜보는 것을 좋아하며 은신 상태에서 스스로를 드러내는 일은 거의 없다. 필요한 일이 있다면 그들은 자신의 부하들을 보내 일을 처리하게 하고 자신은 숨은 채로 지켜볼 것이다. 꼭 싸워야만 하는 상황이 온다면, 에메랄드 드래곤들은 매복을 통해 공격하기를 선호하며 은신해있다가 기습적으로 적들을 덥쳐 무력화킨다. 만약 적이 상대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는 것이 밝혀지면 에메랄드 드래곤은 후퇴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이에 대한 복수를 계획할 것이며, 이런 계획은 필요하다면 몇 세기에 걸쳐 진행될 수도 있다. 에메랄드 드래곤은 무엇이든지 먹을 수 있다. 주로 도마뱀과 거인을 즐겨 먹지만 배가 고픈 상황에서는 음식을 가리지 않을 것이다. 모든 드래곤들을 통틀어서 에메랄드 드래곤은 사파이어 드래곤과 가장 잘 지내는데, 종종 같은 영역을 공유하기도 한다(에메랄드 드래곤은 지상에, 사파이어 드래곤은 지하에 거주). 그들은 탐욕스러운 레드 드래곤 일족을 무서워하며 불타는 바다(Burning sea) 너머에 사는 불거인들과 싸움을 일으키기도 한다. 에메랄드 드래곤들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주는 보호감과 안도감을 좋아하며 단 한명의 짝을 만나서 오랜 시간을 함께 한다.
  • 사파이어 드래곤 - 시공간 이동(Psychoportation) 특화.
    • 브레스 : 고깔모양(cone)의 초음파
    • 거주 지역 : 이너 플레인, 지하
    • 성향 : 늘 질서 중립(Always lawful neutral)
    • 사파이어 드래곤은 이오의 피의 열도(Io's Blood chain) 남부 섬들의 지하와 동굴을 지배한다. 그들 영역의 지상부 대부분이 에메랄드 드래곤에 의해 지배받기는 하지만, 그들 또한 지상부에도 약간의 영역을 가진다. 사파이어 드래곤은 태어날 때부터 매우 아름다우며 비늘의 색은 어두운 파란색에서부터 밝은 파란색까지 다양하며 빛을 받으면 번쩍거린다. 색 때문에 종종 블루드래곤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모든 드래곤들을 통틀어서 사파이어 드래곤 집단은 아마 가장 군국주의적일 것이다. 그들은 외부인들로부터 아주 철저하게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며 심지어는 자신들의 영역 근처에 다가오는 이들마저 의심의 눈초리로 쳐다볼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부하들을 가장 싸움에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것이며 자신의 섬에 잘 훈련된 군대를 두기도 할 것이다. 사파이어 드래곤들이 주로 관심을 가지는 영역은 지하이며, 자신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동굴을 차지하려고 하지 않는 이상 다른 드래곤들과 싸움을 일으키는 일은 거의 없다. 오직 블랙 드래곤들만이 열대 지역의 지하를 차지하기 위해 그들과 경쟁하지만, 블랙 드래곤들 조차 사파이어 드래곤들의 군대와 직접적으로 싸우는 것은 피한다. 사파이어 드래곤을 보좌하는 부하들은 대부분이 드워프나 놈인데, 이들 종족은 지하에서 생활하며 일하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드로우 같은 엘프들은 사파이어 드래곤들이 자신의 적으로 간주한다. 드워프 부하들은 노예보다 조금 더 나은 정도의 취급을 받는데 이는 두 종족이 과거에 전쟁을 치룬 적이 있기 때문이며 드워프들은 사파이어 드래곤들과 유대를 쌓도록 허락되지 않는다. 이러한 영광은 오직 놈에게만 허락된다. 사파이어 드래곤의 주식은 거대 거미이며 지하 세계에서 주로 거대 거미들을 잡기 위한 사냥이 벌어진다. 종종 드래곤이 귀찮다고 느낄 때는 거미를 찾기 위해 자신의 드워프 부하들을 터널로 보내기도 한다. 물론 이들은 거미를 산채로 붙잡아야 한다. 사파이어 드래곤들의 군국주의적이고 전쟁을 좋아하는 성향과는 별개로 사파이어 드래곤들은 쉽사리 적을 공격하지 않는다. 그들은 침입자(사파이어 드래곤은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모두를 침입자로 간주한다)를 지켜보며 이들을 어떻게 처리할지 계획을 짠다. 만약에 다른 집단에 속한 드로우 엘프나 드워프가 접근한다면 이들은 즉각적으로 공격받는다. 그렇지 않은 자들은 최소한 떠나라는 말을 듣기 전에 우호의 표시를 취할 여지는 가질 수 있다. 만약 사파이어 드래곤 자체나, 아니면 그들의 보물이 위험에 처했다면 사파이어 드래곤은 즉시 브레스와 주문, 육체적 공격 모두를 적에게 사용한다. 이들이 자신보다 강한 적을 만나게 되면 도망치기 위해 초능력과 특수능력을 사용한다. 사파이어 드래곤은 오랜 기간 동안 오직 한 명의 짝을 가지지만 이들이 짝을 가지는 이유는 다른 것 보다는 그들의 지위와 위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 토파즈 드래곤 - 신체 강화(Psychometabolism) 특화.
    • 브레스 : 고깔(cone)모양의 탈수공격
    • 거주 지역 : 이너 플레인, 물이 있는 곳 어디든(any aquatic)
    • 성향 : 언제나 혼돈 중립(Always chaotic neutral)
    • 토파즈 드래곤은 온화한 기후의 섬 해안 지역에 거주하며 수선(waterline) 아래에 레어를 건설하는데 레어 자체는 건조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 이 드래곤은 배타적이고 이기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섬에 거주하는 다른 존재들과 교류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들은 이웃들에게 자신의 영역이 번영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자신의 부하들을 그들의 영토에 채워넣으며, 종족의 회의(Council)에 가끔 참여하기는 하지만 대체로 동료를 찾지도, 반기지도 않는다. 알에서 나왔을 때의 토파즈 드래곤은 노란색과 주황색이 흐릿하게 섞인 색을 띄고 있다. 나이를 먹음에 따라 비늘은 점점 단단해지고 반투명해지면서 모서리가 깎여나간다. 토파즈 드래곤이 성체가 되면 태양빛 아래에서 번쩍이게 된다. 이들은 바닷바람을 느끼기를 좋아하고 자신들의 비늘에 물방울이 튀는 감각을 즐기지만 특별히 물을 좋아지는 않는다. 그들은 사냥하거나 적을 공격하기 위해, 또는 레어에 가기 위해 수영을 하는 것 뿐, 그 자체를 즐기지 않는다. 그들은 생선과 다른 해양 생명체를 주로 먹으며 특히 거대 오징어를 좋아한다. 악의가 있지는 않지만 토파즈 드래곤은 함께하거나 상대하기에 즐거운 존재는 아니다. 타인을 대하는 예의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행동은 매우 변덕스럽고 혼란스럽다. 그들은 방문자들을 싫어하지만 가능한 전투는 피하고 싶어한다. 만약 전투를 피할 수 없다면 그들은 자신의 이빨과 발톱으로 공격하기 전에 속임수를 써서 적들의 주의를 분산시키려고 한다. 토파즈 드래곤들은 특별히 자신들에게 영향을 주거나 흥미롭지 않은 이상에는 다른 드래곤들이 중요시하는 사건이나 관심사에 무관심하다. 그들은 브론즈 드래곤을 싫어하며 자주 그들에 적대하는 행동을 한다. 토파즈 드래곤이 다른 드래곤과의 교우 관계를 받아들이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한 번 친구가 되면 그 관계는 평생을 간다. 어떠한 드래곤이 토파즈 드래곤의 자기 방어와거친 외향을 뚫을 수 있다면, 그는 토파즈 드래곤을 충직한 동료이자 보호자로 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옵시디언 드래곤 - 창조(Metacreativity) 특화.
    • 브레스 : 고깔 형태의(Cone) 불
    • 거주 지역 : 따듯한 산과 지하, 이차원(demiplanes)
    • 성향 : 중립 악(Always neutral eveil)
    • 옵시디안 드래곤은 젬 드래곤들 중에서 가장 지능적이지만, 동시에 가장 잔인하다. 그들은 극도로 오만하고 쉽게 화를 내며 사냥감을 가지고 놀기를 좋아한다. 옵시디안 드래곤은 끝이 날카로우며 서로 맞물리는 부드러운 흑색의 비늘을 가지고 있다. 처음 알을 까고 나왔을 때 비늘은 거친 회색이다. 그들이 성장함에 따라 점점 비늘은 어두워지고 부드러워지면서 서로 섞이기 시작한다. 대부분의 옵시디안 드래곤들은 불의 차원에있는 화산 근처나 석탄의 산 근처에 레어를 만들고 싶어한다. 가장 강력한 그레이트 웜들은 창조계열 초능력을 이용해 자신만의 이차원을만들기도 한다.

5 관련 항목

  1. 특수하게 포가튼 렐름처럼 초능력이 생소한 세계관에서는 던전 마스터의 의향에 따라 초능력의 존재를 아예 배제할 수 있는데, 그럴 경우 젬 드래곤조차 다른 드래곤처럼 초능력 대신 비전 마법을 사용한다.
  2. 민첩성은 드래곤의 유일한 약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부분이다. 드래곤의 민첩성은 평범한 인간과 동급.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끝까지 고작 10에서 바뀌질않는다. 심지어는 128 HD의 어드밴스드 프리즈매틱 드래곤같은 무지막지하게 강력한 고룡조차도 민첩은 끝까지 10이다. 접촉 주문에는 비늘의 방어도가 아무 쓸모도 없어서, 악명 높은 클레릭위해(Harm) 주문에 박살나기 십상이었다.
  3. 사이언-위저드, 소서러-와일더의 비교 관계를 대입시키면 젬 드래곤은 사이언이 아니라 와일더의 시전 능력을 얻는 게 맞아보일 수 있지만, 원래 초능력은 소서러의 임의시전 능력처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시전 능력이기 때문에 굳이 와일더를 끼워맞출 필요는 없다. 원판 크로매틱 드래곤이 쓰는 클레릭 도메인 주문을 감안하면 학파 제한이 있는 사이언이 더 잘 들어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