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신발)

파일:Attachment/flip flop.jpg

  • 사진은 이글 조리[1]

한국어 : 조리 혹은 쪼리[2]
일본어: 草履, ぞうり(조리)
영어 : flip-flop, thong sandal
쪼리냐? 쪼리냐고

1 개요

샌들의 일종. 납작한 판과 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검지 발가락 사이에 끈을 끼워서 신는 신발. 많은 경우 발의 앞만 고정하는 슬리퍼의 형태를 띤다.

한국에서 부르는 이름인 조리는 100% 일본어로, 결국 일본에서 볏짚 등으로 만든 납작하고 끈으로 묶인 일본식 전통신발인 ぞうり(조리)에서 온 말이다.

2 특징

이러한 thong sandal 자체는 고대 이집트를 비롯한 세계 여러곳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어느 문화권의 신발이라고 우기는 것은 힘들지만, 근대 이후에 일본의 조리가 미국이나 태평양 지역에 큰 영향을 준 것이 사실이다.[3] 미국에서는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에 주둔했던 주일미군들이 조리를 사가기 시작했고, 1950년대 이후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조리 형태의 신발인 플립-플랍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이후로 플라스틱 등 재료도 다양화 되었다. 그러나 다른 지역, 주로 남태평양 등에서는 일본의 영향이 빨라 이보다 수십년 더 빠른 시기에 조리를 수용하였다. 혹은 그러한 전통적인 형태의 신발을 가졌던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지역별로 이름도 다르고 그 수도 많다.

애초에 신기 쉬워서 인기를 끈 만큼 허술해서 걸을 때 소리도 잘 난다. 플립플랍 (flip-flop)은 이러한 소리를 빗대서 붙은 이름이다. 때문에 많은 문화권에서 격식있는 자리에서 신을 것이 못된다. 참고로 flip-flopper라는 말도 있는데, 자기 의견을 줏대없이 바꾸는 인간을 뜻한다. 미국 공화당의 대선 후보 밋 롬니의 별명 중 하나. flip-flop의 이미지가 어떤 것인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주로 여름철에 해수욕장에서 수영복 등을 입은 남녀가 신은 모습을 연상하겠지만, 평상시에 외출용으로 많이 신기도 하는 만능 아이템. 양말과는 함께 할 수 없다. 하지만 발가락 양말이 출동한다면 어떨까?[4]

실제로 보통 사람들이 신고 다니는 신발들 중 가장 발등 및 발가락을 많이 노출하는 종류의 신발이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하고 시원하여 여름철에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신는 편이지만 대체로 10대 이상의 여학생들이 엄청 많이 신는다.

농담이 아니고 여름만 되면 초중고에 다니는 여학생들이 신발을 조리로 통일하고 우르르 몰려다니는걸 정말 자주 목격할 수 있는데 이쯤 되면 거의 여학생들의 전유물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조리를 신는 연령대도 남자보다 여자가 훨씬 더 빠른 편에 속할 정도다.[5][6]

종류도 그만큼 매우 다양한 편. 참고로 이보다 더한 노출도(?)를 갖는 신발로는 맨발아예 끈이 없는 '끈 없는 조리', '끈 없는 슬리퍼' 등으로 불리우는 괴랄한 물건이 있다. 이 신발은 아예 밑창만 있고 발등위로 올라오는 부분이 아예 없는데, 발바닥 부분에 인체에 무해한혹은 무해하다고 주장하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어 그 접착력으로 발바닥에 달라붙은 채로 신는다고 한다. 햇볕에 끈 부분만 노출되지 않아 하얗게 자국이 나는 게 싫거나, 끈으로 인해 발가락 사이를 다치는 게 싫은 이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신발이다.

이 종류의 신발은 대체로 신발이 벗겨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부분이 앞쪽에 집중되어 있고 뒤쪽에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신고 편하게 걷다보면 뒷 부분이 덜렁덜렁 거리게 되고 딱딱한 바닥과 만나면 철썩철썩 하는 소리가 제법 울리게 된다. 구두과 함께 도서관 등에서 평화를 깨뜨리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7] 다만 이 문제 때문에 신발을 잡아주기 위해 불필요하게 근육에 힘이 집중되므로, 생각보다 발 건강에는 그다지 좋지 않은 신발이기도 하다. 밑창이 매우 얇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걸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잘 흡수해주지 못한다는 것도 또다른 건강상의 단점.[8]

또한 이것을 신고 걸을 때 뒷부분이 덜렁거리기 때문에 건달스러워 보인다며 싫어하는 어르신들도 있다. 조리가 보편적이지 않던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초중학교 수련회에서 조리는 일진 혹은 노는애들이나 신는 거라고 보는 인식이 비일비재했기에, 한 때는 소위 노는 애들이나 신는 신발이라며 손가락질을 받은 적도 있었다. 물론 세월이 지난 지금은 모범생이나 양아치나 전부 조리를 신고 돌아다니는 세상이다보니 저 주장을 하는 어르신들도 많이 줄은 편이고, 심지어 조리 신고 다니는 어르신들도 늘었다.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신기 꽤 불편한 편으로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끈을 끼우고 그 좁은 단면적에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때문에 끈이 닿는 부분이 까질 수도 있다. 신고 ㎞ 단위를 걷게 된다면 반드시 까지거나 물집이 잡히게 된다. 남자들의 경우 대부분 어릴 적에 한두 가지 정도 운동을 하기 때문에 나중에 가면 발이 변형돼서 조리를 신을 경우 적응하는데 시일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여학생들의 경우 운동을 하는 경우가 거의 드물기 때문에 매우 어린 나이부터 신는데 10대 이상의 여학생들의 경우, 이미 어린 시절부터 끈이 가는 종류만 신어왔기 때문에 대다수가 이런 형태의 조리를 신는다. 여학생들치고 끈이 두꺼운 종류를 신는 경우는 매우 드문 편.

참고로 초심자라면 발등 위를 지나는 끈이 두껍고 납작한 종류를 신는 것을 추천한다. 중학교 과학만 제대로 배웠어도 알 수 있듯이 압력은 접촉하는 단면적에 반비례 한다. 하지만 결국 계속 신고다니다 보면 적응해서 여름철에 이것만 신고 다니게 되기도 한다. 이런 사람들은 십중팔구 발등에 나이키V모양의 탄 자국이 생긴다.

특히 여학생들이 신고 다니는 비율이 매우 높다[9] [10]

이는 대학가에서도 예외는 아닌데 오히려 중-고등학생들보다 더 많이 볼 수 있다. 기숙사에서나 자취할 때는 물론, 조리를 신고 수업을 듣거나 도서관을 다니기도 하고, 까페를 갈 때나 데이트 할 적에도 남자들과는 달리 편안하게 조리를 신고 다니는 여학생들이 매우 많다.

주로 치마, 핫팬츠, 레깅스, 원피스와 조합을 많이 이루는데 이 중에서도 핫팬츠나 반바지, 레깅스가 가장 메이저한 조합이고 츄리닝, 청바지 등이 그 다음, 가장 마이너한 쪽이 치마와 원피스다. 날씨가 조금이라도 선선해질 시점이 되면 치마+레깅스+조리라는 다소 괴악한 패션이 보인다.

신발의 특성상 발의 모양을 강조해주는 효과가 있는데다가, 상대적으로 남성들에 비해서 발의 피부색이 하얀 편인 여성들이 잘 신으면 검은색의 쪼리와 일종의 대비효과를 이루며 발이 매우 예뻐보이는 특성이 있다. 또한 발을 가두는 모양이 아니고 노출시키는 형태의 신발이기 때문에 오히려 발 사이즈가 큰 여성(250~255㎜이상)들이 신어도 발이 커 보이지 않는 효과도 있다고 한다. 한번 익숙해지면 삼선보다 더 편하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여름철만 되면 필수적으로 구매하는 아이템. 다만 남성들은 삼선이나 일반적인 슬리퍼를 더 선호한다.

아예 몇 켤레씩, 그것도 색깔과 메이커별로 죄다 구매해서 집에 쌓아놓고 신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다. 특히 한참 꾸미는데 민감한 사춘기 딸을 둔 집에서 이런 현상이 많이 보이는데 이 경우, 끈이 가는 조리는 높은 확률로 딸의 소유다. 끈이 두꺼운 조리는 부모님 소유. 이 때문에 한국에선 조리가 여성전용이라는 인식이 아직까지도 많이 남아있는 편이지만 인도 등 해외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없는 모양이다.

요즘은 남자들도 많이 신게 됨으로써 남자용도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나오는데, 끈의 모양을 꽈배기형식으로 꼬았다거나 두 줄이라든가 발등 위를 지나는 끈이 하나 더 있더던가 가죽으로 만들어졌다던가 하는 식이다. 하지만 여자들처럼 컬렉션을 만드는 경우는 드문 편. 결정적으로 여자들에 비하면 잘 안 신는 편이다.

버려진 조리들은 아프리카에서 예술품이 되기도 한다. 링크

하지만 이 신발의 기원인 일본은 일반인이 조리를 신고다니는걸 보지 못한다. 이유중 하나라면 조리가 기모노에 신는 신발이라서. 즉 기모노 입을때나 신고다니는 신발이 조리라는 뜻이다. 덕분에 값도 꽤 비싼편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들어오면서 너무 평범해진거지. 그래서 일본여행갈때는 평상복에 절대 조리를 신고다니지 말자. 욕먹는다. 보통 해수욕장 등에서 수영복과 함께 신는 조리를 일본에선 "비치 샌들"이라고 별도로 부른다.

내성발톱이 있는 사람은 신기가 참으로 곤란하다(...)
  1. 국내 10, 20대 쇼핑몰에서 팔리는 조리 중에서 가장 메이저인 아이템으로 여자들이 신은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피팅 모델들이 대부분 여학생들이다보니 더욱 그렇지만.
  2. 표기상으로는 전자가 맞지만 실생활에서는 후자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3. 쪼리로 유명한 하바이아나스가 애초에 하와이에 거주중인 일본인이 신은 쪼리를 보고 만들어졌으니 말 다했다.
  4. 실제로 매우 드물게 발가락 양말과 조리를 함께신는 사람도 있다. 스타킹과 조리를 함께 신는 경우도 드물지만 있는데, 아무래도 얇다보니 양말을 신었을 때보다는 발가락 부분이 그나마 잘 들어간다.
  5. 여학생들의 경우 체육복을 입고 조리를 신는 경우도 보이는데, 학교 체육복의 특성상 발목을 꽉 조여주기 때문에 바지가 펄럭이지 않아 발이 보여서 발을 예뻐보이게 하는 조리와는 궁합이 아주 잘 맞는다.
  6. 몇몇 조리 페티쉬 중독자들은 발목이 조이는 체육복에 조리를 신은 사람에 환장하는 경우도 간혹 있는데 이 패션의 단점은 겨울에는 완전 무방비가 된다는 것. 몇몇 용자스러운 여학생들은 겨울에도 체육복에 조리를 신고 다니는 기염을 토하기도 한다.
  7. 그러나 조리의 발이 훤히 드러나는 특성에 특유의 철썩거리는 소리가 묘하게 페티시를 자극한다는 사람들도 있다.
  8. 하이힐보다 활동이 편한 플랫슈즈도, 관절에 가는 무리는 힐보다 훨씬 덜하지만 충격흡수 문제는 다를 것이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 문제가 있다. 맨발제대로 만든 운동화만한 신발은 없지만… 정장과 스니커즈를 매칭시킬 수도 없잖아!
  9. 조금이라도 번화한 곳에 가보면 10명 중 4~5명이 조리를 신고 다니는 것을 볼 수 있을 정도.
  10. 특히 대도시의 학교 밀집지역 같은 경우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고등학교 여학생들 뿐 아니라 가족 단위로 조리를 신는 집도 있다. 단, 부모들은 대체로 상술한 끈이 두껍고 납작한 종류이고 여학생들은 대부분 끈이 가는(위의 사진 같은) 조리를 많이 신는다. 그리고 색깔은 높은 확률로 검은색과 빨간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