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화

KBS 1TV에서 방영하는 스포츠 프로그램 운동화에 대해서는 운동화(KBS) 항목 참조.


運動靴/Sneakers,Athletic shoe

1 개요

전적으로 운동할 때 신는 신발이라지만 사실상 평상시에 신고 다니는 편한 신발이다. 푹신푹신하고 걷기 편하라고 만들어졌기에 출퇴근 할때나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볼수 있는 신발. 대략 인조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진다. 땀을 잘 흡수하여 그런지 냄새도 상당하다.양말과 함께 냄새패티쉬의 필수요소[1]어느 신발과 달리 상당히 복잡하게 생긴것들이 많다. 아무래도 다른 신발보단 가죽의 수가 많은데다, 인체역학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인듯. 그래서인지 러닝화는 전체적인 외향도 그렇고 발바닥의 모양이 가장 복잡하다.

2 역사

어떻게 보면 옛날에 신기 편하라고 만들어진 신발(짚신,고무신등등)도 운동화의 범주에 들어간다. 우리가 알고있는 활동을 위한 최초의 운동화는 1870년에 새뮤얼 플림솔(Samuel Plimsoll)이 만든 샌드 슈즈(sand shoes)로 흔히 보는 고무로 된 깔창에 끈없이 면으로 둘러싸여진 신발을 생각하면 쉽다. 이후 영국의 체육선수인 j.w.포스터가 설립한 리복에서 스파이크가 달린 러닝화를 만들어내어 많은 올림픽 선수들의 기록 경신에 큰 기여를 했고 1917년에 농구선수 척 테일러를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농구화이자 전설적인 패션 아이템인 컨버스가 출시되었다. 그 뒤로도 러닝화에 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졌으며, 80년대 나이키를 필두로 그 유명한 와플모양의 깔창이 달린 와플 트레이너와 에어조던같은 세련되고 현대적인 운동화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그리고 90년도엔 투명한 에어쿠션이 달리거나 끈이없는[2]혁신적인 모델들이 나오기도.

추가바람

3 패션 아이템으로서

궁합이 좋아 뭔 에 조합해도 어울리며, 특히나 컨버스는 이분야의 끝판왕. 농구화 같은 경우 흑인들 사이에서 농구가 유행해서 그런지 랩퍼들의 주요 아이템이 되었다. 대표적인게 바로 나이키의 에어포스 시리즈로 이쪽은 각종 패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은 물론이고 금칠(...)같은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물론 이에 따른 수집가도 존재. 옛날에는 남성들이 주로 신고다녔지만 8~90년대 이후로 여성들도 신고다니는게 일반화되었다. 원피스나 스커트, 정장 등 이른바 점잖은 차림에 러닝화나 스니커즈를 믹스매치하는 것은 2000년대까지만 해도 꺼려지는 코디였으나[3] 2010년대에 들어 스포티즘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상당히 트렌디한 패션으로 인정받고 있다.

4 기타

만약 본인이 패션 또는 청결에 관심이 많은 위키니트라면 천 또는 망사같이 방수에 취약하거나 흡수력이 좋은 외피로 된 운동화는 기피하는 것이 좋다. 얼룩이 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빨아도 빨아도(...) 얼룩은 사라지지 않는다. 매끄러운 인조가죽이나 합성수지로 된 재질의 외피가 얼룩도 잘 지지 않으며 얼룩 제거도 쉽다.

흔히 운동화를 제작하는 메이저 브랜드들에서는 자사의 운동화를 절대로 세탁하면 안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부분의 운동화는 접착제를 사용하고 한켤레에 가죽, 에나멜, 매쉬, 캔버스, 세무 등 최소한 3가지 이상의 소재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물세탁이나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접착면이 떨어지거나 소재가 이염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제품의 회전률을 높여 판매량을 늘리려는 업계의 전략이라는 비판과 함께 애초에 소모품일 뿐인 운동화를 상전 취급하는 건 주객이 전도됐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 참고 기사 보그 코리아에서 낸 기사다. 댓글을 보면 운동화 하나가지고 뭐 그리 호들갑이냐는 댓글들에 높은 추천수가 기록돼있다

물론, 메이커 제품들은 대부분이 10만원을 오가는 높은 가격대이고 한정판 등의 특별한 경우 수십~수백만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만큼 매니아들을 위한(…) 마모 방지용 밑창 코팅제나 전용 클리너, 착색제 등도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사실 전용 탈취제를 사용하고 밑창을 주기적으로 빨아주면서 번거롭긴 하지만 외피를 재질별 전용 클리너로 닦아주면 상당히 오랫동안 깨끗이 신을 수 있긴 하다. 게다가 이염까지는 그렇다 처도 접착면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면 오래 신겠다고 빨았다가 멀쩡한 운동화 한켤레를 버리는 사태까지 갈 수 있다.[4] 위에서 문제 삼았던 회전율을 스스로 올려주는 선택지. 물론, 이런저런 논란을 다 무시하고 쿨하게 세탁기에 돌려버리는 이들도 결코 적지 않고, 운동화 전용 세탁소의 세탁 기술도 상당히 발전해있는 만큼 운동화를 어떻게 대접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주인의 판단에 달려있다.

초보그림쟁이에게 있어선 상당히 난이도 높은 물건에 속한다. 그렇잖아도 발 부분과 신발은 그리기 어려운데 운동화는 아무래도 다른 신발에 비해 복잡하고, 안쪽과 밖의 모양이 다른 모델들도 있기 때문에 다이나믹한 구도를 잡으면 그리기가 더 어려워진다. 여러모로 다른 신발들보다는 연구가 필요하고 정성이 많이 들어가야 하는 물건. 그런 이유에서인지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는 주로 컨버스를 신고나오는 경우가 압도적인데 아무래도 운동화중 이것이 가장 그리기 쉬워서가 아닐까 싶다. 거기다 실제 컨버스와는 달리 신발 끝이 꽤 뭉툭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남성캐릭터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아이템으로, 여성이 신고나오면 거의 활동적이거나 스포츠소녀, 보이쉬한 녀석으로 낙인찍힌다.이것도 일종의 모에요소. 복잡해질수록 포인트가 올라간다 카더라[5] 일본 학원물에선 로퍼가 정형화 되어 있어서 그런지[6] 우리나라와 달리 운동화를 신고다니는 학생들이 거의 보이질 않는다.

물론, 우리나라는 그런거 없다. 로퍼를 신는 학생은 손에 꼽으며, 초등학교 고학년만 올라가도 저마다 개성있는 운동화를 신고 다닌다. 교복은 다 똑같지만 요란한다양한 디자인의 운동화를 신는 것이 한국 중고등학교의 풍경이다. 한국 서브컬쳐물에서 중고등학생이 로퍼를 신는다면 그것은 일본의 영향으로 무의식적으로 그려낸 고증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 군대에서는 활동화라는 암호스러운 명칭으로 부르며 무상제공 한다. 다만 공익근무요원의 경우는 훈련소에 있는 동안만 B급의 물품을 무상대여해준다. 다만 행정상으로는 현역들도 활동화를 군복무 기간 동안 대여받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전투화는 전역할 때 갖고올 수 있지만 활동화는 부대에 두고 와야 한다. 솔직히 집에있는 멀쩡한 운동화 놔두고 누가 활동화 신고 싶겠냐만.

한국에서는 유독 어린이 운동화를 애니메이션 관련 상품으로 파는 경우가 많다. 관련 제품을 홍보할때 따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서 넣기도 했다.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드물게 비디오 게임도 운동화가 나온다. 그 시초는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캐릭터를 쓴 '장풍'운동화. 단 스트2 운동화(...)는 유독 튀는 케이스였고 2000년대 이후로 국산 PC 온라인게임중 저연령층에게 인기있는 게임과 판권체결한것이 가뭄에 콩나듯 나오긴 한다.

조깅, 워킹 열풍으로 조깅화 위킹화 등이 출시되기도 한다. 대게 밑창 쿠션 재질이 다르다느니, 신발 쿠션의 두께와 각도가 다르다느니 광고하는데, 실질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대부분 상술.

5 브랜드 및 주요 제품

6 특정 스포츠에 특화된 운동화

  1. 그런데 사실 냄새페티쉬의 필수요소는 운동화보다는 구두다. 단 그쪽 계통 자료가 양산되는 곳이 아무래도 일본쪽이기도 하기 때문에 단순히 운동화보다 구두가 더 냄새가 심하게 배어서인지 운동화 자체를 신지 않기 때문인지는 따져봐야 할 문제. 그보다 운동화던 구두던 부츠+@ 조합은 이길 수 없다.
  2. 리복의 퓨리나 퓨마의 디스크블레이즈가 이에 속한다. 요즘에 나온것 같아도 이것들 92년과 93년에 나온 것들이다!!
  3. 영화배우 류승범이 2006년 영화제에서 수트 차림에 바지를 롤업하고 운동화를 신고 나온 것이 당시 워스트 패션으로 뽑힌 일화는 시대를 앞서간 패션으로 유명하다. 당시만 해도 정장에 운동화를 신고 시상식에 간다는 것은 TPO에 맞지 않는다는 인식이 있었고, 당시 자료를 보면 대부분의 배우들이 구두를 신고 있다.
  4. 게다가 하나의 소재만으로 만드는 운동화는 존재하지도 않는다. 윗부분을 하나의 소재로 만든다 해도 밑창은 짤없이 다른 소재가 들어가기 때문.
  5. 다만 귀여운 컨셉의 여성이 신을 경우 컨셉이 더욱 강조되는 경우도 있다.
  6. 애초에 로퍼로 교복과 세트로 신는 신발을 지정한 학교가 많다.
  7. 아무래도 철자가 똑같은 로또 항목 1번이 워낙에 일반적으로 쓰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브랜드에 대한 소개도 저 항목에 있기 때문에 여기서도 '로또'라고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