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순양함

전투 수상함의 체계
고속정/고속함초계함호위함구축함순양함전함
어뢰정미사일 고속정원양초계함(OPV)호위구축함경순양함중순양함순양전함고속전함
배수량10,000톤 ~ 20,000톤
주포8인치
속도30∼33노트

1 개요

1921년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이후
종류주포 구경기준 배수량
중순양함8인치 이상10,000톤 이하
경순양함8인치 이하10,000톤 이하
파일:Attachment/중순양함/Example22.jpg
미국펜사콜라급 중순양함, USS Pensacola (CA-24)
1922년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이후 중순양함[1]
연도국가함급기준 배수량만재 배수량
1928년영국카운티급 중순양함9,010 톤 ~ 10,196 톤13,670 톤[2]
1928년 2월 6일미국펜사콜라급 중순양함9,100 톤11,512 톤[3]
1928년 12월 6일프랑스뒤켄급 중순양함10,000 톤12,200 톤[4]
1929년 7월 31일일본묘코급 중순양함11,633 톤14,980 톤[5]
1930년 1월 1일프랑스쉬프랑급 중순양함10,000 톤12,780 톤[6]

전함의 축소판으로 만들어진 군함이다.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의 기준이 되었으며 현대 순양함 배수량의 기준중 하나가 된 함선이라 볼 수 있다.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인해 각국이 보조함을 건조하면서 중순양함의 역사가 시작되었지만, 중순양함과 경순양함이 정확히 구분 된 것은 런던 해군 군축조약이 체결되면서부터다. 초기의 조약형 중순양함도 경순양함과 마찬가지로 1만톤의 배수량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경순양함과 다르게 주포의 크기가 8인치였으므로 화력면에서 경순양함을 압도했다.

중순양함은 조약의 결과 주포 구경도 제한되고, 방어력 향상이 배수량 제한으로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고속성능을 위주로 하고 8인치 주포를 최대한 많이 탑재하는 고속타격함으로 만들어졌다. 유바리의 컨셉을 확대개량한 셈이다. 그러나 조약이 실효한 다음에는 확실한 타격력을 보장하는 전함에 밀려서 2선급이 되었다.

1931년 런던 군축조약 이후[7]
종류주포 구경기준 배수량
갑급(중순양함)8인치10,000톤 이하(실질 1만톤 이상[8])
을급(경순양함)6.1인치 이하10,000톤 이하
width=100%
width=100%
타카오급 중순양함(Takao heavy cruiser)
1930년 런던 군축조약 이후 기준 배수량 1만톤 급 중순양함
연도국가함급기준 배수량만재 배수량
1932년 3월 30일일본타카오급 중순양함9,850 톤15,490 톤[9]
1934년 9월 15일프랑스알제리급 중순양함10,000 톤13,641 톤[10]

1930년 런던 해군 군축조약[11] 초반 미국 프랑스 등은 규칙을 잘 지켰다. 이후 일본이 규칙을 어기고 탈퇴하기 시작하면서 독일과 미국 등의 세계 각국은 중순양함을 1만톤 이상의 함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후 중순양함이란 단어는 8인치 이상의 함포를 장착한 기준 1만톤 이상의 군함으로 의미가 변질되었다.

2 일본의 조약위반(탈퇴)과 독일, 미국의 동참

1930년 런던 군축조약 이후 기준 배수량 1만톤 이상 중순양함
연도국가함급기준 배수량만재 배수량
1935년일본모가미급 중순양함12,400 톤15,057 톤[12]
1939년독일어드미럴 히퍼급 중순양함14,050 톤[13]18,200 톤
1943년미국볼티모어급 중순양함14,733 톤17,273 톤
1946년미국오리건시티급 중순양함13,700 톤17,000 톤
1948년미국디모인급 중순양함15,653 톤18,991 톤
(모가미급 중순양함)Mogami-class cruiser 이놈들 이 때부터!!

1935년 일본이 먼저 중순양함을 만재 15,057톤으로 만들어 취역시킨다. 사실 초반 모가미급은 배수량 상에서 기준을 어긴 것은 아니다. 공식적으로 기준 배수량 8,500이였고 만재 배수량으로는 10,980톤이었다. 하지만 일본은 조약을 위반하면서 주포를 8인치포로 교환하였다. 이 때 모가미급의 기준 배수량은 12,400톤이고 만재 배수량은 15,057톤 이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 정보들이 일본과 영어 위키에서 모가미급, 군축조약 관련 문서에 명시되어 있다. 또한 모가미급은 초반 6.1인치 포를 달면서 경순양함인 것으로 일본이 주장하였으나 조약 탈퇴후 8인치포를 달면서 중순양함이 된 케이스였다. 이것은 일본의 속임수였고 결과적으로 배수량과 주포 모두를 규정 위반한 것이었다. 하여튼 이러한 사실은 타 국가에도 알려지게 되었고 2차세계대전이 터지자 각국은 1 ~ 2만톤의 중순양함과 3 ~ 7만톤의 괴물 군함들을 취역 시키게 된다

(어드미럴 히퍼급 중순양함)Admiral Hipper-class cruiser

1939년 독일이 18,600톤으로 중순양함을 만들어 취역시키게 된다.[14] 이후 늘어난 배수량의 중순양함들은 방어력 향상 및 8인치 주포를 포함한 무장의 대량탑재를 통해 사실상 전함 다음가는 화력과 방어력을 자랑하게 된다. 다만 전함과의 교전에서는 역시 어쩔수 없었는데, 2만톤에 육박하는 중순양함이 무슨짓을 해본들 전함의 포탄에 1발만 맞아도 반신불수가 되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width=100%
(볼티모어급 중순양함)Baltimore-class cruiser/USS Baltimore (CA-68)

이후 제2차세계대전이 터지자 미국은 만재 17,273톤의 중순양함을 1943년에 취역시킨다.[15]

(디모인급 중순양함)Des Moines-class cruiser

1948년, 미국이 만재 18,991톤 디모인급 중순양함을 취역시키면서 중순양함이란 말은 1만톤 이상 ~ 2만 미만이란 체급으로 정착되어 버린다. 이렇게 역사적 맥락을 보면 알겠지만 각국의 해군들이 배수량과 체급에 얼마나 신경전을 벌이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시작은 일본이 먼저 했지만 하여튼 의미는 변질되고 정착되어 버리기 일 수였다. 지금도 체급을 한단계 아래로 감추거나 유럽에서 구축함이란 단어를 기피하는 행동, 약하고 작은 체급만 존재할 때 호위함을 구축함으로 표기하는 허허실실 전략[16], 일본의 체급 이명표기[17][18] 등은 다 이유와 역사적 전통이 있는 것이다.

3 2차대전 이후

2차대전 이후 구식화된 중순양함들은 빠르게 일선에서 사라졌다. 예외로 소련 해군은 만재 16640톤 스베들로프급 중순양함을 1951년부터 14척이나 취역시키는(그것도 흐루쇼프가 예산을 잘랐기 때문에 14척에서 멈춘 것이다) 시대착오적인 모습을 보였다.

(스베들로프급 중순양함)Sverdlov-class cruiser

미국의 디모인급 중순양함은 베트남 전쟁 때까지 현역에 있으면서 북베트남 해안에 대한 포격을 담당했다. 또한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2척과 오레곤시티급 중순양함 1척은 함대공 미사일을 최초로 장비한 방공순양함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

4 나무 위키에 항목이 있는 중순양함 목록

4.1 실제

4.2 가상

우주전함 중에서 중순양함으로 불리는 함급이 간혹 등장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순양함전함의 중간 정도의 체급인 경우가 많으나, 간혹 전함이라는 함선 체급이 없고 중순양함이 가장 큰 함선이 되는 경우도 있다.

5 관련 문서와 자료

(영어 위키 백과)Heavy cruiser - 중순양함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순양함 - cruiser , 巡洋艦

6 관련 항목

  1. 연합함대 그 출범에서 침몰까지
  2. 카운티급 자료
  3. http://en.wikipedia.org/wiki/Pensacola-class_cruiser
  4. 뒤켄급 중순양함 자료
  5. http://en.wikipedia.org/wiki/Myoko-class_cruiser
  6. http://en.wikipedia.org/wiki/Suffren-class_cruiser
  7.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16185&mobile&categoryId=200000565
  8. 독일과 일본에 때문에 1만톤 이상으로 의미가 변질됨.
  9. http://en.wikipedia.org/wiki/Takao-class_cruiser
  10. http://en.wikipedia.org/wiki/French_cruiser_Alg%C3%A9rie
  1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03&docId=726965&mobile&categoryId=503
  12. http://ru.wikipedia.org/wiki/Микума_(1935)
  13. http://ja.wikipedia.org/wiki/%E3%82%A2%E3%83%89%E3%83%9F%E3%83%A9%E3%83%AB%E3%83%BB%E3%83%92%E3%83%83%E3%83%91%E3%83%BC%E7%B4%9A%E9%87%8D%E5%B7%A1%E6%B4%8B%E8%89%A6
  14. http://en.wikipedia.org/wiki/Admiral_Hipper-class_cruiser
  15. http://en.wikipedia.org/wiki/Baltimore-class_cruiser
  16. 한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FFK)은 취역후 한동안 '한국형 구축함'이라고 국내 홍보했다. 이 배는 당시 운용하던 플레처급 구축함을 대신했기 때문에 틀린 말은 아니다. 사실, 만재 1~2천톤대 군함은 2차대전시기까지는 구축함 체급 범위에 들어간다. 다만, 70년대 이후 서구에서는 호위함과 코르벳으로 분류되는 배에 어울리는 배수량이다.
  17. 영어로는 구축함, 한문과 일어로는 호위함
  18. 물론 일본의 경우는 현재 이 아닌 자위대가 존재한다는 것, 침략전쟁을 포기한 점 등으로 인해 일부러 호위에 방점을 찍어 전투함을 호위함으로 일컫는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